뉴욕증시, 관세·경기 불확실성 지속에 혼조…다우 0.4%↓
입력 2025.02.15 (07:31)
수정 2025.02.15 (07:3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관세정책 및 경제 영향을 둘러싼 불확실성이 지속되는 가운데 뉴욕증시가 혼조로 마감했습니다.
현지시간 14일 뉴욕증시에서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165.35포인트(-0.37%) 내린 44,546.08에 거래를 마쳤습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전장보다 0.44포인트(-0.01%) 내린 6,114.63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전장보다 81.13포인트(0.41%) 오른 20,026.77에 각각 거래를 마쳤습니다.
S&P 500 지수는 이날 신고점 경신을 코앞에 두고 상승 동력을 잃은 채 보합권에서 거래를 마쳤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관련 발언이 지속된 가운데 이날 발표된 1월 미국의 소매판매 지표가 예상 밖으로 저조하게 나타나면서 경기 관련 불확실성을 키웠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백악관에서 열린 행정명령 서명 행사에서 수입 자동차 관세 도입 일정에 대한 기자들 질문에 "아마도 4월 2일쯤"이라고 답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최근 각종 관세 부과 계획을 밝히면서 즉각 시행하지 않고 일정한 준비 기간을 둔 채 시행한다고 발표, 일단 시장에 안도감을 줬지만, 관세 관련 시장 변동성 확대의 불씨를 남겼습니다.
[사진출처 : UPI=연합뉴스]
현지시간 14일 뉴욕증시에서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165.35포인트(-0.37%) 내린 44,546.08에 거래를 마쳤습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전장보다 0.44포인트(-0.01%) 내린 6,114.63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전장보다 81.13포인트(0.41%) 오른 20,026.77에 각각 거래를 마쳤습니다.
S&P 500 지수는 이날 신고점 경신을 코앞에 두고 상승 동력을 잃은 채 보합권에서 거래를 마쳤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관련 발언이 지속된 가운데 이날 발표된 1월 미국의 소매판매 지표가 예상 밖으로 저조하게 나타나면서 경기 관련 불확실성을 키웠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백악관에서 열린 행정명령 서명 행사에서 수입 자동차 관세 도입 일정에 대한 기자들 질문에 "아마도 4월 2일쯤"이라고 답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최근 각종 관세 부과 계획을 밝히면서 즉각 시행하지 않고 일정한 준비 기간을 둔 채 시행한다고 발표, 일단 시장에 안도감을 줬지만, 관세 관련 시장 변동성 확대의 불씨를 남겼습니다.
[사진출처 : UPI=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뉴욕증시, 관세·경기 불확실성 지속에 혼조…다우 0.4%↓
-
- 입력 2025-02-15 07:31:43
- 수정2025-02-15 07:32:29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관세정책 및 경제 영향을 둘러싼 불확실성이 지속되는 가운데 뉴욕증시가 혼조로 마감했습니다.
현지시간 14일 뉴욕증시에서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165.35포인트(-0.37%) 내린 44,546.08에 거래를 마쳤습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전장보다 0.44포인트(-0.01%) 내린 6,114.63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전장보다 81.13포인트(0.41%) 오른 20,026.77에 각각 거래를 마쳤습니다.
S&P 500 지수는 이날 신고점 경신을 코앞에 두고 상승 동력을 잃은 채 보합권에서 거래를 마쳤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관련 발언이 지속된 가운데 이날 발표된 1월 미국의 소매판매 지표가 예상 밖으로 저조하게 나타나면서 경기 관련 불확실성을 키웠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백악관에서 열린 행정명령 서명 행사에서 수입 자동차 관세 도입 일정에 대한 기자들 질문에 "아마도 4월 2일쯤"이라고 답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최근 각종 관세 부과 계획을 밝히면서 즉각 시행하지 않고 일정한 준비 기간을 둔 채 시행한다고 발표, 일단 시장에 안도감을 줬지만, 관세 관련 시장 변동성 확대의 불씨를 남겼습니다.
[사진출처 : UPI=연합뉴스]
현지시간 14일 뉴욕증시에서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165.35포인트(-0.37%) 내린 44,546.08에 거래를 마쳤습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전장보다 0.44포인트(-0.01%) 내린 6,114.63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전장보다 81.13포인트(0.41%) 오른 20,026.77에 각각 거래를 마쳤습니다.
S&P 500 지수는 이날 신고점 경신을 코앞에 두고 상승 동력을 잃은 채 보합권에서 거래를 마쳤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관련 발언이 지속된 가운데 이날 발표된 1월 미국의 소매판매 지표가 예상 밖으로 저조하게 나타나면서 경기 관련 불확실성을 키웠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백악관에서 열린 행정명령 서명 행사에서 수입 자동차 관세 도입 일정에 대한 기자들 질문에 "아마도 4월 2일쯤"이라고 답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최근 각종 관세 부과 계획을 밝히면서 즉각 시행하지 않고 일정한 준비 기간을 둔 채 시행한다고 발표, 일단 시장에 안도감을 줬지만, 관세 관련 시장 변동성 확대의 불씨를 남겼습니다.
[사진출처 : UPI=연합뉴스]
-
-
오수호 기자 odd@kbs.co.kr
오수호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