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차 배터리 안전성 정부가 직접 인증…배터리 이력도 직접 관리
입력 2025.02.16 (11:00)
수정 2025.02.16 (11:0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앞으로 전기차 배터리 안전성을 정부가 직접 시험을 통해 인증합니다.
국토교통부는 정부가 전기차 배터리 안전성을 직접 인증하고, 개별 배터리 식별 번호를 부여해 생산부터 폐기까지 전 주기를 관리하는 이력관리제를 내일(17일)부터 시행한다고 밝혔습니다.
그동안 전기차는 배터리를 제작사가 직접 안정성을 인증하는 자기인증 방식을 거쳐 제작·판매됐습니다.
그러나 최근 잇단 전기차 화재로 배터리 안전성에 대한 불안이 커지면서 정부가 지난해 10월부터 전기차 배터리 인증제 시범 사업을 진행했고, 하위법령을 통해 세부 절차 등을 마련해 이달부터 시행합니다.
국토부는 자기인증 제도 시행 후 20여 년 만에 바뀐 이번 제도로 정부가 배터리와 같은 신기술에 대한 안전성을 사전에 확보하고 신기술 도입에 따른 위험부담도 정부가 업계와 분담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배터리 인증제와 함께 도입되는 배터리 이력관리제는 제작 시 개별 배터리에 식별번호를 부여하고 이를 자동차등록원부에 등록하게 해 전기차 배터리의 제작부터 운행, 폐기까지 전 주기 배터리 이력을 관리하는 제도입니다.
내일(17일)이후 전기차를 새로 구입하는 경우 자동차등록원부에 배터리 식별번호가 표시됩니다.
배터리 식별번호를 바탕으로 정부는 배터리 안전성 인증 등 제작 단계 주요 정보를 포함해 전기차 운행 중 해당 배터리의 정비, 검사 이력 등도 확인할 수 있게 됩니다. 이를 통해 전기차 화재 등 사고 발생 시 신속한 원인 분석이 가능해지는 등 배터리 안전성이 제고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배터리 교환 시에도 교환된 배터리 식별번호를 변경 등록하도록 해 배터리 이력을 촘촘하게 추적 관리합니다. 자동차 리콜로 배터리가 교환되는 경우에는 자동차 결함 정보시스템을 통해 변경된 배터리 식별번호가 연계돼 등록되도록 하는 등 전기차 소유주 불편은 최소화할 예정입니다.
국토부는 이 같은 배터리 이력 관리 시스템을 2027년까지 구축해 향후 사용 후 배터리 등 연관 산업도 활성화해 나갈 계획입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국토교통부는 정부가 전기차 배터리 안전성을 직접 인증하고, 개별 배터리 식별 번호를 부여해 생산부터 폐기까지 전 주기를 관리하는 이력관리제를 내일(17일)부터 시행한다고 밝혔습니다.
그동안 전기차는 배터리를 제작사가 직접 안정성을 인증하는 자기인증 방식을 거쳐 제작·판매됐습니다.
그러나 최근 잇단 전기차 화재로 배터리 안전성에 대한 불안이 커지면서 정부가 지난해 10월부터 전기차 배터리 인증제 시범 사업을 진행했고, 하위법령을 통해 세부 절차 등을 마련해 이달부터 시행합니다.
국토부는 자기인증 제도 시행 후 20여 년 만에 바뀐 이번 제도로 정부가 배터리와 같은 신기술에 대한 안전성을 사전에 확보하고 신기술 도입에 따른 위험부담도 정부가 업계와 분담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배터리 인증제와 함께 도입되는 배터리 이력관리제는 제작 시 개별 배터리에 식별번호를 부여하고 이를 자동차등록원부에 등록하게 해 전기차 배터리의 제작부터 운행, 폐기까지 전 주기 배터리 이력을 관리하는 제도입니다.
내일(17일)이후 전기차를 새로 구입하는 경우 자동차등록원부에 배터리 식별번호가 표시됩니다.
배터리 식별번호를 바탕으로 정부는 배터리 안전성 인증 등 제작 단계 주요 정보를 포함해 전기차 운행 중 해당 배터리의 정비, 검사 이력 등도 확인할 수 있게 됩니다. 이를 통해 전기차 화재 등 사고 발생 시 신속한 원인 분석이 가능해지는 등 배터리 안전성이 제고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배터리 교환 시에도 교환된 배터리 식별번호를 변경 등록하도록 해 배터리 이력을 촘촘하게 추적 관리합니다. 자동차 리콜로 배터리가 교환되는 경우에는 자동차 결함 정보시스템을 통해 변경된 배터리 식별번호가 연계돼 등록되도록 하는 등 전기차 소유주 불편은 최소화할 예정입니다.
국토부는 이 같은 배터리 이력 관리 시스템을 2027년까지 구축해 향후 사용 후 배터리 등 연관 산업도 활성화해 나갈 계획입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전기차 배터리 안전성 정부가 직접 인증…배터리 이력도 직접 관리
-
- 입력 2025-02-16 11:00:30
- 수정2025-02-16 11:07:17

앞으로 전기차 배터리 안전성을 정부가 직접 시험을 통해 인증합니다.
국토교통부는 정부가 전기차 배터리 안전성을 직접 인증하고, 개별 배터리 식별 번호를 부여해 생산부터 폐기까지 전 주기를 관리하는 이력관리제를 내일(17일)부터 시행한다고 밝혔습니다.
그동안 전기차는 배터리를 제작사가 직접 안정성을 인증하는 자기인증 방식을 거쳐 제작·판매됐습니다.
그러나 최근 잇단 전기차 화재로 배터리 안전성에 대한 불안이 커지면서 정부가 지난해 10월부터 전기차 배터리 인증제 시범 사업을 진행했고, 하위법령을 통해 세부 절차 등을 마련해 이달부터 시행합니다.
국토부는 자기인증 제도 시행 후 20여 년 만에 바뀐 이번 제도로 정부가 배터리와 같은 신기술에 대한 안전성을 사전에 확보하고 신기술 도입에 따른 위험부담도 정부가 업계와 분담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배터리 인증제와 함께 도입되는 배터리 이력관리제는 제작 시 개별 배터리에 식별번호를 부여하고 이를 자동차등록원부에 등록하게 해 전기차 배터리의 제작부터 운행, 폐기까지 전 주기 배터리 이력을 관리하는 제도입니다.
내일(17일)이후 전기차를 새로 구입하는 경우 자동차등록원부에 배터리 식별번호가 표시됩니다.
배터리 식별번호를 바탕으로 정부는 배터리 안전성 인증 등 제작 단계 주요 정보를 포함해 전기차 운행 중 해당 배터리의 정비, 검사 이력 등도 확인할 수 있게 됩니다. 이를 통해 전기차 화재 등 사고 발생 시 신속한 원인 분석이 가능해지는 등 배터리 안전성이 제고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배터리 교환 시에도 교환된 배터리 식별번호를 변경 등록하도록 해 배터리 이력을 촘촘하게 추적 관리합니다. 자동차 리콜로 배터리가 교환되는 경우에는 자동차 결함 정보시스템을 통해 변경된 배터리 식별번호가 연계돼 등록되도록 하는 등 전기차 소유주 불편은 최소화할 예정입니다.
국토부는 이 같은 배터리 이력 관리 시스템을 2027년까지 구축해 향후 사용 후 배터리 등 연관 산업도 활성화해 나갈 계획입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국토교통부는 정부가 전기차 배터리 안전성을 직접 인증하고, 개별 배터리 식별 번호를 부여해 생산부터 폐기까지 전 주기를 관리하는 이력관리제를 내일(17일)부터 시행한다고 밝혔습니다.
그동안 전기차는 배터리를 제작사가 직접 안정성을 인증하는 자기인증 방식을 거쳐 제작·판매됐습니다.
그러나 최근 잇단 전기차 화재로 배터리 안전성에 대한 불안이 커지면서 정부가 지난해 10월부터 전기차 배터리 인증제 시범 사업을 진행했고, 하위법령을 통해 세부 절차 등을 마련해 이달부터 시행합니다.
국토부는 자기인증 제도 시행 후 20여 년 만에 바뀐 이번 제도로 정부가 배터리와 같은 신기술에 대한 안전성을 사전에 확보하고 신기술 도입에 따른 위험부담도 정부가 업계와 분담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배터리 인증제와 함께 도입되는 배터리 이력관리제는 제작 시 개별 배터리에 식별번호를 부여하고 이를 자동차등록원부에 등록하게 해 전기차 배터리의 제작부터 운행, 폐기까지 전 주기 배터리 이력을 관리하는 제도입니다.
내일(17일)이후 전기차를 새로 구입하는 경우 자동차등록원부에 배터리 식별번호가 표시됩니다.
배터리 식별번호를 바탕으로 정부는 배터리 안전성 인증 등 제작 단계 주요 정보를 포함해 전기차 운행 중 해당 배터리의 정비, 검사 이력 등도 확인할 수 있게 됩니다. 이를 통해 전기차 화재 등 사고 발생 시 신속한 원인 분석이 가능해지는 등 배터리 안전성이 제고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배터리 교환 시에도 교환된 배터리 식별번호를 변경 등록하도록 해 배터리 이력을 촘촘하게 추적 관리합니다. 자동차 리콜로 배터리가 교환되는 경우에는 자동차 결함 정보시스템을 통해 변경된 배터리 식별번호가 연계돼 등록되도록 하는 등 전기차 소유주 불편은 최소화할 예정입니다.
국토부는 이 같은 배터리 이력 관리 시스템을 2027년까지 구축해 향후 사용 후 배터리 등 연관 산업도 활성화해 나갈 계획입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
이지은 기자 written@kbs.co.kr
이지은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