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북 ‘완전한 비핵화’”…한미일 “대북제재 강화”
입력 2025.02.16 (12:01)
수정 2025.02.16 (12:09)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미국 트럼프 2기 정부 출범 이후 처음으로 한미 외교수장이 만나 동맹의 굳건함을 확인하고 대북 정책 공조를 약속했습니다.
한미일 외교수장도 공동성명을 통해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 목표를 확인했는데 대중 견제 메시지도 포함됐습니다.
뮌헨에서 조빛나 특파원이 보도합니다.
[리포트]
조태열 외교부 장관과 마코 루비오 미국 국무장관은 40분간의 첫 만남에서 북핵 문제에 많은 시간을 할애했습니다.
양국은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 목표를 재확인하고 대북정책 공조를 약속했습니다.
트럼프 행정부가 대북정책을 세우고 북미대화를 시도하는 국면에서 이른바 '한국 패싱' 우려가 제기되는 가운데, 미국이 한국과 긴밀한 협력 의지를 거듭 확인했다고 외교부 당국자는 설명했습니다.
관심이 높았던 관세 적용 문제에 대해 조 장관은 '상호 이익이 되는 해법을 모색하자'는 한국의 입장을 전했고 루비오 장관은 관계부처에 전달하겠다고 뜻을 밝혔습니다.
이어서 만난 한미일 외교장관은 공동성명을 발표했습니다.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에 대한 확고한 의지를 재확인하고 대북제재를 더욱 강화해 나가기로 했습니다.
특히 타이완의 적절한 국제기구의 참여에 지지를 표명했습니다.
3국 성명에 이런 내용이 포함된 것은 처음으로 대중 강경책을 펴는 트럼프 행정부의 의지가 반영된 것으로 보입니다.
외교부 당국자는 중국 문제에 있어 미국은 기존에 보였던 입장을 설명하면서 한국과 일본과 계속 협력을 요청하는 수준의 논의가 있었다고 설명했습니다.
한편 뮌헨안보회의에 토론에 참여한 조태열 장관은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에 집중하는 것이 한미동맹에도 영향이 있을 수 있다고 짚었습니다.
[조태열/외교부장관 : "하지만 한 가지 분명한 것은 (한미)동맹은 동맹이고 (한중)전략적 협력 동반자 관계는 동반자관계라는 것입니다. 특히 안보 문제에 관해서는 중국의 요구를 수용하기 위해 할 수 있는 일에는 한계가 있습니다."]
미중경쟁의 격화가 가져올 어려운 외교적 과제에 조 장관은 정책의 투명성과 예측 가능성이 매우 중요하다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뮌헨에서 KBS 뉴스 조빛나입니다.
영상편집:한찬의
미국 트럼프 2기 정부 출범 이후 처음으로 한미 외교수장이 만나 동맹의 굳건함을 확인하고 대북 정책 공조를 약속했습니다.
한미일 외교수장도 공동성명을 통해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 목표를 확인했는데 대중 견제 메시지도 포함됐습니다.
뮌헨에서 조빛나 특파원이 보도합니다.
[리포트]
조태열 외교부 장관과 마코 루비오 미국 국무장관은 40분간의 첫 만남에서 북핵 문제에 많은 시간을 할애했습니다.
양국은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 목표를 재확인하고 대북정책 공조를 약속했습니다.
트럼프 행정부가 대북정책을 세우고 북미대화를 시도하는 국면에서 이른바 '한국 패싱' 우려가 제기되는 가운데, 미국이 한국과 긴밀한 협력 의지를 거듭 확인했다고 외교부 당국자는 설명했습니다.
관심이 높았던 관세 적용 문제에 대해 조 장관은 '상호 이익이 되는 해법을 모색하자'는 한국의 입장을 전했고 루비오 장관은 관계부처에 전달하겠다고 뜻을 밝혔습니다.
이어서 만난 한미일 외교장관은 공동성명을 발표했습니다.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에 대한 확고한 의지를 재확인하고 대북제재를 더욱 강화해 나가기로 했습니다.
특히 타이완의 적절한 국제기구의 참여에 지지를 표명했습니다.
3국 성명에 이런 내용이 포함된 것은 처음으로 대중 강경책을 펴는 트럼프 행정부의 의지가 반영된 것으로 보입니다.
외교부 당국자는 중국 문제에 있어 미국은 기존에 보였던 입장을 설명하면서 한국과 일본과 계속 협력을 요청하는 수준의 논의가 있었다고 설명했습니다.
한편 뮌헨안보회의에 토론에 참여한 조태열 장관은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에 집중하는 것이 한미동맹에도 영향이 있을 수 있다고 짚었습니다.
[조태열/외교부장관 : "하지만 한 가지 분명한 것은 (한미)동맹은 동맹이고 (한중)전략적 협력 동반자 관계는 동반자관계라는 것입니다. 특히 안보 문제에 관해서는 중국의 요구를 수용하기 위해 할 수 있는 일에는 한계가 있습니다."]
미중경쟁의 격화가 가져올 어려운 외교적 과제에 조 장관은 정책의 투명성과 예측 가능성이 매우 중요하다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뮌헨에서 KBS 뉴스 조빛나입니다.
영상편집:한찬의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한미 “북 ‘완전한 비핵화’”…한미일 “대북제재 강화”
-
- 입력 2025-02-16 12:01:37
- 수정2025-02-16 12:09:57
![](/data/news/2025/02/16/20250216_FZaeoQ.jpg)
[앵커]
미국 트럼프 2기 정부 출범 이후 처음으로 한미 외교수장이 만나 동맹의 굳건함을 확인하고 대북 정책 공조를 약속했습니다.
한미일 외교수장도 공동성명을 통해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 목표를 확인했는데 대중 견제 메시지도 포함됐습니다.
뮌헨에서 조빛나 특파원이 보도합니다.
[리포트]
조태열 외교부 장관과 마코 루비오 미국 국무장관은 40분간의 첫 만남에서 북핵 문제에 많은 시간을 할애했습니다.
양국은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 목표를 재확인하고 대북정책 공조를 약속했습니다.
트럼프 행정부가 대북정책을 세우고 북미대화를 시도하는 국면에서 이른바 '한국 패싱' 우려가 제기되는 가운데, 미국이 한국과 긴밀한 협력 의지를 거듭 확인했다고 외교부 당국자는 설명했습니다.
관심이 높았던 관세 적용 문제에 대해 조 장관은 '상호 이익이 되는 해법을 모색하자'는 한국의 입장을 전했고 루비오 장관은 관계부처에 전달하겠다고 뜻을 밝혔습니다.
이어서 만난 한미일 외교장관은 공동성명을 발표했습니다.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에 대한 확고한 의지를 재확인하고 대북제재를 더욱 강화해 나가기로 했습니다.
특히 타이완의 적절한 국제기구의 참여에 지지를 표명했습니다.
3국 성명에 이런 내용이 포함된 것은 처음으로 대중 강경책을 펴는 트럼프 행정부의 의지가 반영된 것으로 보입니다.
외교부 당국자는 중국 문제에 있어 미국은 기존에 보였던 입장을 설명하면서 한국과 일본과 계속 협력을 요청하는 수준의 논의가 있었다고 설명했습니다.
한편 뮌헨안보회의에 토론에 참여한 조태열 장관은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에 집중하는 것이 한미동맹에도 영향이 있을 수 있다고 짚었습니다.
[조태열/외교부장관 : "하지만 한 가지 분명한 것은 (한미)동맹은 동맹이고 (한중)전략적 협력 동반자 관계는 동반자관계라는 것입니다. 특히 안보 문제에 관해서는 중국의 요구를 수용하기 위해 할 수 있는 일에는 한계가 있습니다."]
미중경쟁의 격화가 가져올 어려운 외교적 과제에 조 장관은 정책의 투명성과 예측 가능성이 매우 중요하다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뮌헨에서 KBS 뉴스 조빛나입니다.
영상편집:한찬의
미국 트럼프 2기 정부 출범 이후 처음으로 한미 외교수장이 만나 동맹의 굳건함을 확인하고 대북 정책 공조를 약속했습니다.
한미일 외교수장도 공동성명을 통해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 목표를 확인했는데 대중 견제 메시지도 포함됐습니다.
뮌헨에서 조빛나 특파원이 보도합니다.
[리포트]
조태열 외교부 장관과 마코 루비오 미국 국무장관은 40분간의 첫 만남에서 북핵 문제에 많은 시간을 할애했습니다.
양국은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 목표를 재확인하고 대북정책 공조를 약속했습니다.
트럼프 행정부가 대북정책을 세우고 북미대화를 시도하는 국면에서 이른바 '한국 패싱' 우려가 제기되는 가운데, 미국이 한국과 긴밀한 협력 의지를 거듭 확인했다고 외교부 당국자는 설명했습니다.
관심이 높았던 관세 적용 문제에 대해 조 장관은 '상호 이익이 되는 해법을 모색하자'는 한국의 입장을 전했고 루비오 장관은 관계부처에 전달하겠다고 뜻을 밝혔습니다.
이어서 만난 한미일 외교장관은 공동성명을 발표했습니다.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에 대한 확고한 의지를 재확인하고 대북제재를 더욱 강화해 나가기로 했습니다.
특히 타이완의 적절한 국제기구의 참여에 지지를 표명했습니다.
3국 성명에 이런 내용이 포함된 것은 처음으로 대중 강경책을 펴는 트럼프 행정부의 의지가 반영된 것으로 보입니다.
외교부 당국자는 중국 문제에 있어 미국은 기존에 보였던 입장을 설명하면서 한국과 일본과 계속 협력을 요청하는 수준의 논의가 있었다고 설명했습니다.
한편 뮌헨안보회의에 토론에 참여한 조태열 장관은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에 집중하는 것이 한미동맹에도 영향이 있을 수 있다고 짚었습니다.
[조태열/외교부장관 : "하지만 한 가지 분명한 것은 (한미)동맹은 동맹이고 (한중)전략적 협력 동반자 관계는 동반자관계라는 것입니다. 특히 안보 문제에 관해서는 중국의 요구를 수용하기 위해 할 수 있는 일에는 한계가 있습니다."]
미중경쟁의 격화가 가져올 어려운 외교적 과제에 조 장관은 정책의 투명성과 예측 가능성이 매우 중요하다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뮌헨에서 KBS 뉴스 조빛나입니다.
영상편집:한찬의
-
-
조빛나 기자 hymn@kbs.co.kr
조빛나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