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현태 단장 “국회 단전, 대통령 지시 없었어…특전사령관 스스로 생각한 것”
입력 2025.02.17 (16:18)
수정 2025.02.17 (19:1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김현태 육군 특수전사령부 707특수임무단장은 더불어민주당이 비상계엄 선포 당시 국회 단전 지시 의혹을 제기한 것과 관련해 "(윤석열) 대통령 지시는 일체 없었다"고 말했습니다.
김 단장은 오늘(17일) 국회 국방위원회 현안 질의에 출석해 "단전은 (곽종근) 특전사령관이 12월 4일 00시 30분에 대통령 전화를 받고, 스스로 무엇인가를 하기 위해서 생각해 낸 여러 가지 중 한 가지"라면서 이같이 밝혔습니다.
김 단장은 해당 의혹을 제기한 민주당 국정조사 특위 위원들의 기자회견에 대해 "내용이 맞지 않는 뉴스"라고 답했습니다.
김 단장은 "(국회) 지하 1층만 잠시 불이 꺼졌고 암흑천지도 아니었다"며 "옆에 국회 관계자와 유튜버, 기자 등도 같이 있었는데 저희 요원이 임의로 한 개 스위치를 내렸더니 꺼지면서 자동으로 비상등이 켜졌다"고 밝혔습니다.
김 단장은 "'더 이상 진입이 어렵고 들어갈 수 없다'고 하니 (곽종근) 사령관이 전기라도 내릴 수 있으면 찾아보라고 했다"며 "국회 봉쇄 및 확보 임무에 필요한 지시로 이해했다"고 강조했습니다.
김 단장은 "임무를 받고 간 저희 요원의 말을 빌리면, 제가 '지하에 내려가서 불 끄는 것을 찾아봐라'라고 말을 하니 본인은 '단장 의도가 지하 1층 문을 닫는 데 필요한 조치라 이해했다'고 답했다"고도 전했습니다.
김 단장은 군 병력이 국회의사당 창문을 파손하고 내부로 진입한 데 대해선 "사령관에게 '몸싸움이 심하고, 부상자가 발생할 수 있으니 병력을 빼겠다'고 했고, 사령관도 '국민 안전이 최우선이니 병력을 빼고 다른 루트를 찾아보라'고 했다"면서 "병력을 빼고 다른 루트를 찾는 과정에서 모든 창문이 잠겨 있어서 제가 지시해서 창문을 깨고 (국회 내부로) 들어갔다"고 말했습니다.
김 단장은 야당 의원들이 곽종근 전 특수전사령관을 회유했다는 의혹과 관련해선 "(지난해) 12월 10일 국회에서 점심 식사를 하고, (휴식을 하고 있던 방으로) 민주당 전문위원이라는 분이 들어와서 곽 전 사령관과 한참을 얘기했다"며 "그때 '이미 대세는 기울었다. 민주당이 지켜줄 것이다' 이런 말을 많이 했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그런 와중에 전문위원이 (민주당 의원에게) 연락을 한 것 같다"면서 박범계, 부승찬 민주당 의원과 곽 전 사령관이 대화를 나눈 상황을 설명했습니다.
이어 김 단장은 부승찬 의원이 곽 전 사령관에게 "'모 기업 회장 전문 변호사다. 외국에서 들어오고 있고 민주당에서 믿는 잘 아는 변호사를 붙여주겠다'고 했다"고 전했습니다.
한편, 오늘 현안질의에 야당 국방위원들은 국민의힘의 일방적인 의사일정 진행이라고 반발하며 불참했습니다.
국방위 야당 간사인 더불어민주당 부승찬 의원은 현안질의 시작 전 의사진행발언을 통해 "김 단장은 증인, 참고인이 아닌 단순한 참석자에 불과해 거짓 진술해도 소용이 없다"고 항의 발언을 한 뒤 퇴장했습니다.
같은 당 소속 허영 의원도 "여당 입장에서 계속 질의하는 것은 회유와 강요에 의한 질의"라면서 "회의를 인정할 수 없다"고 말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김 단장은 오늘(17일) 국회 국방위원회 현안 질의에 출석해 "단전은 (곽종근) 특전사령관이 12월 4일 00시 30분에 대통령 전화를 받고, 스스로 무엇인가를 하기 위해서 생각해 낸 여러 가지 중 한 가지"라면서 이같이 밝혔습니다.
김 단장은 해당 의혹을 제기한 민주당 국정조사 특위 위원들의 기자회견에 대해 "내용이 맞지 않는 뉴스"라고 답했습니다.
김 단장은 "(국회) 지하 1층만 잠시 불이 꺼졌고 암흑천지도 아니었다"며 "옆에 국회 관계자와 유튜버, 기자 등도 같이 있었는데 저희 요원이 임의로 한 개 스위치를 내렸더니 꺼지면서 자동으로 비상등이 켜졌다"고 밝혔습니다.
김 단장은 "'더 이상 진입이 어렵고 들어갈 수 없다'고 하니 (곽종근) 사령관이 전기라도 내릴 수 있으면 찾아보라고 했다"며 "국회 봉쇄 및 확보 임무에 필요한 지시로 이해했다"고 강조했습니다.
김 단장은 "임무를 받고 간 저희 요원의 말을 빌리면, 제가 '지하에 내려가서 불 끄는 것을 찾아봐라'라고 말을 하니 본인은 '단장 의도가 지하 1층 문을 닫는 데 필요한 조치라 이해했다'고 답했다"고도 전했습니다.
김 단장은 군 병력이 국회의사당 창문을 파손하고 내부로 진입한 데 대해선 "사령관에게 '몸싸움이 심하고, 부상자가 발생할 수 있으니 병력을 빼겠다'고 했고, 사령관도 '국민 안전이 최우선이니 병력을 빼고 다른 루트를 찾아보라'고 했다"면서 "병력을 빼고 다른 루트를 찾는 과정에서 모든 창문이 잠겨 있어서 제가 지시해서 창문을 깨고 (국회 내부로) 들어갔다"고 말했습니다.
김 단장은 야당 의원들이 곽종근 전 특수전사령관을 회유했다는 의혹과 관련해선 "(지난해) 12월 10일 국회에서 점심 식사를 하고, (휴식을 하고 있던 방으로) 민주당 전문위원이라는 분이 들어와서 곽 전 사령관과 한참을 얘기했다"며 "그때 '이미 대세는 기울었다. 민주당이 지켜줄 것이다' 이런 말을 많이 했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그런 와중에 전문위원이 (민주당 의원에게) 연락을 한 것 같다"면서 박범계, 부승찬 민주당 의원과 곽 전 사령관이 대화를 나눈 상황을 설명했습니다.
이어 김 단장은 부승찬 의원이 곽 전 사령관에게 "'모 기업 회장 전문 변호사다. 외국에서 들어오고 있고 민주당에서 믿는 잘 아는 변호사를 붙여주겠다'고 했다"고 전했습니다.
한편, 오늘 현안질의에 야당 국방위원들은 국민의힘의 일방적인 의사일정 진행이라고 반발하며 불참했습니다.
국방위 야당 간사인 더불어민주당 부승찬 의원은 현안질의 시작 전 의사진행발언을 통해 "김 단장은 증인, 참고인이 아닌 단순한 참석자에 불과해 거짓 진술해도 소용이 없다"고 항의 발언을 한 뒤 퇴장했습니다.
같은 당 소속 허영 의원도 "여당 입장에서 계속 질의하는 것은 회유와 강요에 의한 질의"라면서 "회의를 인정할 수 없다"고 말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김현태 단장 “국회 단전, 대통령 지시 없었어…특전사령관 스스로 생각한 것”
-
- 입력 2025-02-17 16:18:34
- 수정2025-02-17 19:15:16

김현태 육군 특수전사령부 707특수임무단장은 더불어민주당이 비상계엄 선포 당시 국회 단전 지시 의혹을 제기한 것과 관련해 "(윤석열) 대통령 지시는 일체 없었다"고 말했습니다.
김 단장은 오늘(17일) 국회 국방위원회 현안 질의에 출석해 "단전은 (곽종근) 특전사령관이 12월 4일 00시 30분에 대통령 전화를 받고, 스스로 무엇인가를 하기 위해서 생각해 낸 여러 가지 중 한 가지"라면서 이같이 밝혔습니다.
김 단장은 해당 의혹을 제기한 민주당 국정조사 특위 위원들의 기자회견에 대해 "내용이 맞지 않는 뉴스"라고 답했습니다.
김 단장은 "(국회) 지하 1층만 잠시 불이 꺼졌고 암흑천지도 아니었다"며 "옆에 국회 관계자와 유튜버, 기자 등도 같이 있었는데 저희 요원이 임의로 한 개 스위치를 내렸더니 꺼지면서 자동으로 비상등이 켜졌다"고 밝혔습니다.
김 단장은 "'더 이상 진입이 어렵고 들어갈 수 없다'고 하니 (곽종근) 사령관이 전기라도 내릴 수 있으면 찾아보라고 했다"며 "국회 봉쇄 및 확보 임무에 필요한 지시로 이해했다"고 강조했습니다.
김 단장은 "임무를 받고 간 저희 요원의 말을 빌리면, 제가 '지하에 내려가서 불 끄는 것을 찾아봐라'라고 말을 하니 본인은 '단장 의도가 지하 1층 문을 닫는 데 필요한 조치라 이해했다'고 답했다"고도 전했습니다.
김 단장은 군 병력이 국회의사당 창문을 파손하고 내부로 진입한 데 대해선 "사령관에게 '몸싸움이 심하고, 부상자가 발생할 수 있으니 병력을 빼겠다'고 했고, 사령관도 '국민 안전이 최우선이니 병력을 빼고 다른 루트를 찾아보라'고 했다"면서 "병력을 빼고 다른 루트를 찾는 과정에서 모든 창문이 잠겨 있어서 제가 지시해서 창문을 깨고 (국회 내부로) 들어갔다"고 말했습니다.
김 단장은 야당 의원들이 곽종근 전 특수전사령관을 회유했다는 의혹과 관련해선 "(지난해) 12월 10일 국회에서 점심 식사를 하고, (휴식을 하고 있던 방으로) 민주당 전문위원이라는 분이 들어와서 곽 전 사령관과 한참을 얘기했다"며 "그때 '이미 대세는 기울었다. 민주당이 지켜줄 것이다' 이런 말을 많이 했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그런 와중에 전문위원이 (민주당 의원에게) 연락을 한 것 같다"면서 박범계, 부승찬 민주당 의원과 곽 전 사령관이 대화를 나눈 상황을 설명했습니다.
이어 김 단장은 부승찬 의원이 곽 전 사령관에게 "'모 기업 회장 전문 변호사다. 외국에서 들어오고 있고 민주당에서 믿는 잘 아는 변호사를 붙여주겠다'고 했다"고 전했습니다.
한편, 오늘 현안질의에 야당 국방위원들은 국민의힘의 일방적인 의사일정 진행이라고 반발하며 불참했습니다.
국방위 야당 간사인 더불어민주당 부승찬 의원은 현안질의 시작 전 의사진행발언을 통해 "김 단장은 증인, 참고인이 아닌 단순한 참석자에 불과해 거짓 진술해도 소용이 없다"고 항의 발언을 한 뒤 퇴장했습니다.
같은 당 소속 허영 의원도 "여당 입장에서 계속 질의하는 것은 회유와 강요에 의한 질의"라면서 "회의를 인정할 수 없다"고 말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김 단장은 오늘(17일) 국회 국방위원회 현안 질의에 출석해 "단전은 (곽종근) 특전사령관이 12월 4일 00시 30분에 대통령 전화를 받고, 스스로 무엇인가를 하기 위해서 생각해 낸 여러 가지 중 한 가지"라면서 이같이 밝혔습니다.
김 단장은 해당 의혹을 제기한 민주당 국정조사 특위 위원들의 기자회견에 대해 "내용이 맞지 않는 뉴스"라고 답했습니다.
김 단장은 "(국회) 지하 1층만 잠시 불이 꺼졌고 암흑천지도 아니었다"며 "옆에 국회 관계자와 유튜버, 기자 등도 같이 있었는데 저희 요원이 임의로 한 개 스위치를 내렸더니 꺼지면서 자동으로 비상등이 켜졌다"고 밝혔습니다.
김 단장은 "'더 이상 진입이 어렵고 들어갈 수 없다'고 하니 (곽종근) 사령관이 전기라도 내릴 수 있으면 찾아보라고 했다"며 "국회 봉쇄 및 확보 임무에 필요한 지시로 이해했다"고 강조했습니다.
김 단장은 "임무를 받고 간 저희 요원의 말을 빌리면, 제가 '지하에 내려가서 불 끄는 것을 찾아봐라'라고 말을 하니 본인은 '단장 의도가 지하 1층 문을 닫는 데 필요한 조치라 이해했다'고 답했다"고도 전했습니다.
김 단장은 군 병력이 국회의사당 창문을 파손하고 내부로 진입한 데 대해선 "사령관에게 '몸싸움이 심하고, 부상자가 발생할 수 있으니 병력을 빼겠다'고 했고, 사령관도 '국민 안전이 최우선이니 병력을 빼고 다른 루트를 찾아보라'고 했다"면서 "병력을 빼고 다른 루트를 찾는 과정에서 모든 창문이 잠겨 있어서 제가 지시해서 창문을 깨고 (국회 내부로) 들어갔다"고 말했습니다.
김 단장은 야당 의원들이 곽종근 전 특수전사령관을 회유했다는 의혹과 관련해선 "(지난해) 12월 10일 국회에서 점심 식사를 하고, (휴식을 하고 있던 방으로) 민주당 전문위원이라는 분이 들어와서 곽 전 사령관과 한참을 얘기했다"며 "그때 '이미 대세는 기울었다. 민주당이 지켜줄 것이다' 이런 말을 많이 했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그런 와중에 전문위원이 (민주당 의원에게) 연락을 한 것 같다"면서 박범계, 부승찬 민주당 의원과 곽 전 사령관이 대화를 나눈 상황을 설명했습니다.
이어 김 단장은 부승찬 의원이 곽 전 사령관에게 "'모 기업 회장 전문 변호사다. 외국에서 들어오고 있고 민주당에서 믿는 잘 아는 변호사를 붙여주겠다'고 했다"고 전했습니다.
한편, 오늘 현안질의에 야당 국방위원들은 국민의힘의 일방적인 의사일정 진행이라고 반발하며 불참했습니다.
국방위 야당 간사인 더불어민주당 부승찬 의원은 현안질의 시작 전 의사진행발언을 통해 "김 단장은 증인, 참고인이 아닌 단순한 참석자에 불과해 거짓 진술해도 소용이 없다"고 항의 발언을 한 뒤 퇴장했습니다.
같은 당 소속 허영 의원도 "여당 입장에서 계속 질의하는 것은 회유와 강요에 의한 질의"라면서 "회의를 인정할 수 없다"고 말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
김유대 기자 ydkim@kbs.co.kr
김유대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슈
윤석열 대통령 구속기소…헌정 최초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