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픽] 명태의 슬픈 특수…‘운(運)테리어’ 각광
입력 2025.02.17 (18:15)
수정 2025.02.17 (18:2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북어, 동태, 황태, 코다리, 노가리….
이름은 달라도 모두 한 생선, 명태를 가리킵니다.
그만큼 우리가 다양하게 즐겨먹는단 의미겠죠.
[KBS ‘한국인의 밥상’/2018년 1월 25일 : "명태의 내장은 하나도 버릴 게 없습니다. 명란젓, 창난젓에 아가미젓까지. 젓갈은 기본이죠."]
머리부터 꼬리까지, 어느 하나 버릴 게 없습니다.
추운 날엔 생태탕 해장엔 북엇국 소주 한 잔을 부르는 먹태도 빼놓을 수 없습니다.
달콤 쫀득한 코다리 강정엔 급식의 추억이 담겨있습니다.
그런데 이 명태를 집 안에 신줏단지 모시듯 들이는 경우가 왕왕 있습니다.
[KBS 드라마 ‘사람의 집’/1999년 4월 12일 : "형님, 이거요. 이렇게 해야지만 액땜이 되고 좋은 거라고 하대요, 형님."]
새로 이사 간 집 개업한 가게의 문에 명주실에 걸려 매달린 마른 명태 보신 적 있을 겁니다.
명태의 부릅뜬 눈과 큰 입이 나쁜 기운을 물리치고 명주실에 담긴 힘이 길한 기운을 불러온다는 액막이 전통이었죠.
최근 계엄 정국을 거치면서도, 주목을 받은 '말린 명태'.
계엄 사태를 사전 기획한 혐의로 구속된 노상원 전 정보사령관이 운영하던 점집, 빨간 '만'자가 붙은 현관문 앞에 북어가 수북이 쌓여있었습니다.
이처럼 이제는 점집에서나 볼 법한 액막이 전통이 최근 유행의 한 가운데로 걸어 들어왔습니다.
[유튜브 ‘BANGTAN TV’ : "명태 인형인데… (명태 인형이요?) 나쁜 기운 쫓아내고 좋은 기운만 있으시라고."]
요즘의 액막이 명태는 예전처럼 실제 말린 명태를 사용하진 않습니다.
인형에서부터 나무, 도자기까지 소재도 모양도 가지각색. 심지어는 직접 만들기도 합니다.
모양은 달라졌지만, 그 안에 담긴, ‘액을 막아주고 행운을 가져다 달라’는 의미는 같습니다.
그래서일까요.
한 인테리어 플랫폼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액막이 명태' 거래액은 두 달 전에 비해 40% 가까이 늘었습니다.
뒤숭숭한 사회 분위기에 불안을 느끼고 일상의 행복과 행운을 바라는 마음이 그만큼 늘었다는 게 업계의 분석입니다.
‘액막이 명태’의 때 아닌 유행에 더해 풍수지리를 현대식으로 재해석해 가구를 배치하고, 깨진 거울이나 멈춘 시계 등을 내다버리는 식의 인테리어도 ‘운테리어’라는 이름으로 주목 받고 있는 상황.
모두의 안녕이 절실한 시대의 슬픈 풍경일지도 모르겠습니다.
이름은 달라도 모두 한 생선, 명태를 가리킵니다.
그만큼 우리가 다양하게 즐겨먹는단 의미겠죠.
[KBS ‘한국인의 밥상’/2018년 1월 25일 : "명태의 내장은 하나도 버릴 게 없습니다. 명란젓, 창난젓에 아가미젓까지. 젓갈은 기본이죠."]
머리부터 꼬리까지, 어느 하나 버릴 게 없습니다.
추운 날엔 생태탕 해장엔 북엇국 소주 한 잔을 부르는 먹태도 빼놓을 수 없습니다.
달콤 쫀득한 코다리 강정엔 급식의 추억이 담겨있습니다.
그런데 이 명태를 집 안에 신줏단지 모시듯 들이는 경우가 왕왕 있습니다.
[KBS 드라마 ‘사람의 집’/1999년 4월 12일 : "형님, 이거요. 이렇게 해야지만 액땜이 되고 좋은 거라고 하대요, 형님."]
새로 이사 간 집 개업한 가게의 문에 명주실에 걸려 매달린 마른 명태 보신 적 있을 겁니다.
명태의 부릅뜬 눈과 큰 입이 나쁜 기운을 물리치고 명주실에 담긴 힘이 길한 기운을 불러온다는 액막이 전통이었죠.
최근 계엄 정국을 거치면서도, 주목을 받은 '말린 명태'.
계엄 사태를 사전 기획한 혐의로 구속된 노상원 전 정보사령관이 운영하던 점집, 빨간 '만'자가 붙은 현관문 앞에 북어가 수북이 쌓여있었습니다.
이처럼 이제는 점집에서나 볼 법한 액막이 전통이 최근 유행의 한 가운데로 걸어 들어왔습니다.
[유튜브 ‘BANGTAN TV’ : "명태 인형인데… (명태 인형이요?) 나쁜 기운 쫓아내고 좋은 기운만 있으시라고."]
요즘의 액막이 명태는 예전처럼 실제 말린 명태를 사용하진 않습니다.
인형에서부터 나무, 도자기까지 소재도 모양도 가지각색. 심지어는 직접 만들기도 합니다.
모양은 달라졌지만, 그 안에 담긴, ‘액을 막아주고 행운을 가져다 달라’는 의미는 같습니다.
그래서일까요.
한 인테리어 플랫폼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액막이 명태' 거래액은 두 달 전에 비해 40% 가까이 늘었습니다.
뒤숭숭한 사회 분위기에 불안을 느끼고 일상의 행복과 행운을 바라는 마음이 그만큼 늘었다는 게 업계의 분석입니다.
‘액막이 명태’의 때 아닌 유행에 더해 풍수지리를 현대식으로 재해석해 가구를 배치하고, 깨진 거울이나 멈춘 시계 등을 내다버리는 식의 인테리어도 ‘운테리어’라는 이름으로 주목 받고 있는 상황.
모두의 안녕이 절실한 시대의 슬픈 풍경일지도 모르겠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이슈픽] 명태의 슬픈 특수…‘운(運)테리어’ 각광
-
- 입력 2025-02-17 18:15:53
- 수정2025-02-17 18:25:28

북어, 동태, 황태, 코다리, 노가리….
이름은 달라도 모두 한 생선, 명태를 가리킵니다.
그만큼 우리가 다양하게 즐겨먹는단 의미겠죠.
[KBS ‘한국인의 밥상’/2018년 1월 25일 : "명태의 내장은 하나도 버릴 게 없습니다. 명란젓, 창난젓에 아가미젓까지. 젓갈은 기본이죠."]
머리부터 꼬리까지, 어느 하나 버릴 게 없습니다.
추운 날엔 생태탕 해장엔 북엇국 소주 한 잔을 부르는 먹태도 빼놓을 수 없습니다.
달콤 쫀득한 코다리 강정엔 급식의 추억이 담겨있습니다.
그런데 이 명태를 집 안에 신줏단지 모시듯 들이는 경우가 왕왕 있습니다.
[KBS 드라마 ‘사람의 집’/1999년 4월 12일 : "형님, 이거요. 이렇게 해야지만 액땜이 되고 좋은 거라고 하대요, 형님."]
새로 이사 간 집 개업한 가게의 문에 명주실에 걸려 매달린 마른 명태 보신 적 있을 겁니다.
명태의 부릅뜬 눈과 큰 입이 나쁜 기운을 물리치고 명주실에 담긴 힘이 길한 기운을 불러온다는 액막이 전통이었죠.
최근 계엄 정국을 거치면서도, 주목을 받은 '말린 명태'.
계엄 사태를 사전 기획한 혐의로 구속된 노상원 전 정보사령관이 운영하던 점집, 빨간 '만'자가 붙은 현관문 앞에 북어가 수북이 쌓여있었습니다.
이처럼 이제는 점집에서나 볼 법한 액막이 전통이 최근 유행의 한 가운데로 걸어 들어왔습니다.
[유튜브 ‘BANGTAN TV’ : "명태 인형인데… (명태 인형이요?) 나쁜 기운 쫓아내고 좋은 기운만 있으시라고."]
요즘의 액막이 명태는 예전처럼 실제 말린 명태를 사용하진 않습니다.
인형에서부터 나무, 도자기까지 소재도 모양도 가지각색. 심지어는 직접 만들기도 합니다.
모양은 달라졌지만, 그 안에 담긴, ‘액을 막아주고 행운을 가져다 달라’는 의미는 같습니다.
그래서일까요.
한 인테리어 플랫폼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액막이 명태' 거래액은 두 달 전에 비해 40% 가까이 늘었습니다.
뒤숭숭한 사회 분위기에 불안을 느끼고 일상의 행복과 행운을 바라는 마음이 그만큼 늘었다는 게 업계의 분석입니다.
‘액막이 명태’의 때 아닌 유행에 더해 풍수지리를 현대식으로 재해석해 가구를 배치하고, 깨진 거울이나 멈춘 시계 등을 내다버리는 식의 인테리어도 ‘운테리어’라는 이름으로 주목 받고 있는 상황.
모두의 안녕이 절실한 시대의 슬픈 풍경일지도 모르겠습니다.
이름은 달라도 모두 한 생선, 명태를 가리킵니다.
그만큼 우리가 다양하게 즐겨먹는단 의미겠죠.
[KBS ‘한국인의 밥상’/2018년 1월 25일 : "명태의 내장은 하나도 버릴 게 없습니다. 명란젓, 창난젓에 아가미젓까지. 젓갈은 기본이죠."]
머리부터 꼬리까지, 어느 하나 버릴 게 없습니다.
추운 날엔 생태탕 해장엔 북엇국 소주 한 잔을 부르는 먹태도 빼놓을 수 없습니다.
달콤 쫀득한 코다리 강정엔 급식의 추억이 담겨있습니다.
그런데 이 명태를 집 안에 신줏단지 모시듯 들이는 경우가 왕왕 있습니다.
[KBS 드라마 ‘사람의 집’/1999년 4월 12일 : "형님, 이거요. 이렇게 해야지만 액땜이 되고 좋은 거라고 하대요, 형님."]
새로 이사 간 집 개업한 가게의 문에 명주실에 걸려 매달린 마른 명태 보신 적 있을 겁니다.
명태의 부릅뜬 눈과 큰 입이 나쁜 기운을 물리치고 명주실에 담긴 힘이 길한 기운을 불러온다는 액막이 전통이었죠.
최근 계엄 정국을 거치면서도, 주목을 받은 '말린 명태'.
계엄 사태를 사전 기획한 혐의로 구속된 노상원 전 정보사령관이 운영하던 점집, 빨간 '만'자가 붙은 현관문 앞에 북어가 수북이 쌓여있었습니다.
이처럼 이제는 점집에서나 볼 법한 액막이 전통이 최근 유행의 한 가운데로 걸어 들어왔습니다.
[유튜브 ‘BANGTAN TV’ : "명태 인형인데… (명태 인형이요?) 나쁜 기운 쫓아내고 좋은 기운만 있으시라고."]
요즘의 액막이 명태는 예전처럼 실제 말린 명태를 사용하진 않습니다.
인형에서부터 나무, 도자기까지 소재도 모양도 가지각색. 심지어는 직접 만들기도 합니다.
모양은 달라졌지만, 그 안에 담긴, ‘액을 막아주고 행운을 가져다 달라’는 의미는 같습니다.
그래서일까요.
한 인테리어 플랫폼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액막이 명태' 거래액은 두 달 전에 비해 40% 가까이 늘었습니다.
뒤숭숭한 사회 분위기에 불안을 느끼고 일상의 행복과 행운을 바라는 마음이 그만큼 늘었다는 게 업계의 분석입니다.
‘액막이 명태’의 때 아닌 유행에 더해 풍수지리를 현대식으로 재해석해 가구를 배치하고, 깨진 거울이나 멈춘 시계 등을 내다버리는 식의 인테리어도 ‘운테리어’라는 이름으로 주목 받고 있는 상황.
모두의 안녕이 절실한 시대의 슬픈 풍경일지도 모르겠습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