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단체 “중도공사-강개공 통합 방안은 도민 기만”
입력 2025.02.18 (19:11)
수정 2025.02.18 (19:59)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강원중도개발공사를 강원개발공사로 넘기는 강원도 계획에 반발이 커지고 있습니다.
시민사회단체는 통합이 가장 재정 타격이 적다는 강원도 설명은 눈속임이라고 비판했습니다.
이청초 기자입니다.
[리포트]
["즉각 중단하라!"]
춘천지역 시민단체들이 강원중도개발공사와 강원개발공사의 통합 즉각 중단을 촉구했습니다.
일단, 강원도가 제시한 중도공사 회생 방안 3가지 셈법부터가 '도민 기만'이라고 지적합니다.
파산 피해는 최대로, 합병 비용은 최소로 계산해 합병만을 해결책으로 내세웠단 겁니다.
[윤민섭/춘천시의원 : "500억 원만 투입해 합병이 진행되면 중도 토지의 온전한 존속과 기존의 문제가 일거에 해결되는 것처럼 호도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김진태 강원도지사 책임론도 들고 나왔습니다.
2022년 금융사태를 덮기 위해 중도공사 빚 2,050억 원을 갚아주고서 이제와 회수 가능성은 없다고 발을 뺀다는 겁니다.
[나철성/강원평화경제연구소장 : "현재 상황에서 돌려받을 수 있는 방법은 없다, 2,050억 원 돌려 못 받겠다라고 단 한마디 사과도 없이 부지사가 선언을 한 겁니다."]
하지만 두 공사 통합이 최선이라는 강원도 입장에는 변함이 없습니다.
더 큰 손해를 막기 위한 조치인만큼 배임도 성립하지 않는다고 설명합니다.
[김진태/강원도지사/어제 : "(배임은) 가장 중요한 건 손해가 있어야 되죠. 손해가 있어야 되는데, (통합) 그걸 안 했을 때 손해가 더 큽니다."]
하지만 강원도 셈법의 근거 자료부터 공개하라는 요구는 계속 확산하고 있습니다.
[정재웅/강원도의원 : "의회의 동의를 받기 위해서는 이런 세부적인 내역까지 공개를 하고, 비용 채권과 부채의 수치의 비교를 정확하게 해야 된다."]
시민사회단체는 김진태 도정의 이같은 통합안에 대해 감사 청구 등 법적, 행정적 절차를 밟겠다는 입장이어서 앞으로 논란은 이어질 전망입니다.
KBS 뉴스 이청초입니다.
촬영기자:이장주
강원중도개발공사를 강원개발공사로 넘기는 강원도 계획에 반발이 커지고 있습니다.
시민사회단체는 통합이 가장 재정 타격이 적다는 강원도 설명은 눈속임이라고 비판했습니다.
이청초 기자입니다.
[리포트]
["즉각 중단하라!"]
춘천지역 시민단체들이 강원중도개발공사와 강원개발공사의 통합 즉각 중단을 촉구했습니다.
일단, 강원도가 제시한 중도공사 회생 방안 3가지 셈법부터가 '도민 기만'이라고 지적합니다.
파산 피해는 최대로, 합병 비용은 최소로 계산해 합병만을 해결책으로 내세웠단 겁니다.
[윤민섭/춘천시의원 : "500억 원만 투입해 합병이 진행되면 중도 토지의 온전한 존속과 기존의 문제가 일거에 해결되는 것처럼 호도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김진태 강원도지사 책임론도 들고 나왔습니다.
2022년 금융사태를 덮기 위해 중도공사 빚 2,050억 원을 갚아주고서 이제와 회수 가능성은 없다고 발을 뺀다는 겁니다.
[나철성/강원평화경제연구소장 : "현재 상황에서 돌려받을 수 있는 방법은 없다, 2,050억 원 돌려 못 받겠다라고 단 한마디 사과도 없이 부지사가 선언을 한 겁니다."]
하지만 두 공사 통합이 최선이라는 강원도 입장에는 변함이 없습니다.
더 큰 손해를 막기 위한 조치인만큼 배임도 성립하지 않는다고 설명합니다.
[김진태/강원도지사/어제 : "(배임은) 가장 중요한 건 손해가 있어야 되죠. 손해가 있어야 되는데, (통합) 그걸 안 했을 때 손해가 더 큽니다."]
하지만 강원도 셈법의 근거 자료부터 공개하라는 요구는 계속 확산하고 있습니다.
[정재웅/강원도의원 : "의회의 동의를 받기 위해서는 이런 세부적인 내역까지 공개를 하고, 비용 채권과 부채의 수치의 비교를 정확하게 해야 된다."]
시민사회단체는 김진태 도정의 이같은 통합안에 대해 감사 청구 등 법적, 행정적 절차를 밟겠다는 입장이어서 앞으로 논란은 이어질 전망입니다.
KBS 뉴스 이청초입니다.
촬영기자:이장주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시민단체 “중도공사-강개공 통합 방안은 도민 기만”
-
- 입력 2025-02-18 19:11:56
- 수정2025-02-18 19:59:58

[앵커]
강원중도개발공사를 강원개발공사로 넘기는 강원도 계획에 반발이 커지고 있습니다.
시민사회단체는 통합이 가장 재정 타격이 적다는 강원도 설명은 눈속임이라고 비판했습니다.
이청초 기자입니다.
[리포트]
["즉각 중단하라!"]
춘천지역 시민단체들이 강원중도개발공사와 강원개발공사의 통합 즉각 중단을 촉구했습니다.
일단, 강원도가 제시한 중도공사 회생 방안 3가지 셈법부터가 '도민 기만'이라고 지적합니다.
파산 피해는 최대로, 합병 비용은 최소로 계산해 합병만을 해결책으로 내세웠단 겁니다.
[윤민섭/춘천시의원 : "500억 원만 투입해 합병이 진행되면 중도 토지의 온전한 존속과 기존의 문제가 일거에 해결되는 것처럼 호도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김진태 강원도지사 책임론도 들고 나왔습니다.
2022년 금융사태를 덮기 위해 중도공사 빚 2,050억 원을 갚아주고서 이제와 회수 가능성은 없다고 발을 뺀다는 겁니다.
[나철성/강원평화경제연구소장 : "현재 상황에서 돌려받을 수 있는 방법은 없다, 2,050억 원 돌려 못 받겠다라고 단 한마디 사과도 없이 부지사가 선언을 한 겁니다."]
하지만 두 공사 통합이 최선이라는 강원도 입장에는 변함이 없습니다.
더 큰 손해를 막기 위한 조치인만큼 배임도 성립하지 않는다고 설명합니다.
[김진태/강원도지사/어제 : "(배임은) 가장 중요한 건 손해가 있어야 되죠. 손해가 있어야 되는데, (통합) 그걸 안 했을 때 손해가 더 큽니다."]
하지만 강원도 셈법의 근거 자료부터 공개하라는 요구는 계속 확산하고 있습니다.
[정재웅/강원도의원 : "의회의 동의를 받기 위해서는 이런 세부적인 내역까지 공개를 하고, 비용 채권과 부채의 수치의 비교를 정확하게 해야 된다."]
시민사회단체는 김진태 도정의 이같은 통합안에 대해 감사 청구 등 법적, 행정적 절차를 밟겠다는 입장이어서 앞으로 논란은 이어질 전망입니다.
KBS 뉴스 이청초입니다.
촬영기자:이장주
강원중도개발공사를 강원개발공사로 넘기는 강원도 계획에 반발이 커지고 있습니다.
시민사회단체는 통합이 가장 재정 타격이 적다는 강원도 설명은 눈속임이라고 비판했습니다.
이청초 기자입니다.
[리포트]
["즉각 중단하라!"]
춘천지역 시민단체들이 강원중도개발공사와 강원개발공사의 통합 즉각 중단을 촉구했습니다.
일단, 강원도가 제시한 중도공사 회생 방안 3가지 셈법부터가 '도민 기만'이라고 지적합니다.
파산 피해는 최대로, 합병 비용은 최소로 계산해 합병만을 해결책으로 내세웠단 겁니다.
[윤민섭/춘천시의원 : "500억 원만 투입해 합병이 진행되면 중도 토지의 온전한 존속과 기존의 문제가 일거에 해결되는 것처럼 호도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김진태 강원도지사 책임론도 들고 나왔습니다.
2022년 금융사태를 덮기 위해 중도공사 빚 2,050억 원을 갚아주고서 이제와 회수 가능성은 없다고 발을 뺀다는 겁니다.
[나철성/강원평화경제연구소장 : "현재 상황에서 돌려받을 수 있는 방법은 없다, 2,050억 원 돌려 못 받겠다라고 단 한마디 사과도 없이 부지사가 선언을 한 겁니다."]
하지만 두 공사 통합이 최선이라는 강원도 입장에는 변함이 없습니다.
더 큰 손해를 막기 위한 조치인만큼 배임도 성립하지 않는다고 설명합니다.
[김진태/강원도지사/어제 : "(배임은) 가장 중요한 건 손해가 있어야 되죠. 손해가 있어야 되는데, (통합) 그걸 안 했을 때 손해가 더 큽니다."]
하지만 강원도 셈법의 근거 자료부터 공개하라는 요구는 계속 확산하고 있습니다.
[정재웅/강원도의원 : "의회의 동의를 받기 위해서는 이런 세부적인 내역까지 공개를 하고, 비용 채권과 부채의 수치의 비교를 정확하게 해야 된다."]
시민사회단체는 김진태 도정의 이같은 통합안에 대해 감사 청구 등 법적, 행정적 절차를 밟겠다는 입장이어서 앞으로 논란은 이어질 전망입니다.
KBS 뉴스 이청초입니다.
촬영기자:이장주
-
-
이청초 기자 chocho@kbs.co.kr
이청초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