르노코리아 국내 최초 전기차 ‘혼류 생산’
입력 2025.02.18 (19:56)
수정 2025.02.18 (20:2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르노코리아가 올해 말부터 전기차 양산에 본격 돌입합니다.
이를 위해 지난 한 달 동안 자동차 생산을 일체 중단하고 대대적인 설비 보강 공사를 벌였는데, 국내에서 처음으로 기존 내연기관차와 함께 전기차를 혼합 생산할 수 있는 전용 설비를 갖췄습니다.
보도에 김계애 기자입니다.
[리포트]
시설 재정비를 위해 지난 한 달 동안 문을 닫은 르노코리아 부산공장.
내연기관차보다 25% 무거운 전기차 생산을 위해 조립 공장 생산 라인을 대부분 교체했습니다.
이번 공사로 부산공장은 국내 최초로 내연기관차와 전기차를 동시에 생산하는 '혼류 생산'으로 전환됐습니다.
한 라인에서 내연기관차와 전기차가 섞여 공정이 진행되는 겁니다.
로봇 880여 대가 용접하는 차체 공장에는 전기차 생산을 위해 로봇 140여 대를 새로 도입했습니다.
[김석범/르노코리아 차체공장 기술팀장 : "알루미늄은 스폿 용접으로는 대체하기 어려워 메커니컬(기계적) 접합으로 적용하고 있고, 뒤쪽에 보이는 대형 로봇이 볼트를 알루미늄과 철판 사이에 박아 넣어서 접합하는 신규 공정입니다."]
르노코리아는 부산공장을 미래차 생산기지로 전환하기 위해 하이브리드 모델 생산에 우선 7천억 원을 투자하고, 차세대 전기차 모델 개발과 생산까지 확정되면 2027년 투자 규모가 1조 5천억 원으로 확대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해진/르노코리아 부산공장 제조본부장 : "(혼류 생산 체제 구축으로) 앞으로 어떤 차종도 생산 제약 없이 생산할 수 있는 미래의 지속가능성 기반을 만들었다는 의미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이달부터 본격 재가동에 들어간 르노코리아는 올 하반기 북미 수출용 전기차 폴스타 4 위탁 생산에 돌입하며 미래차 프로젝트 핵심 기지로의 첫발을 내딛습니다.
KBS 뉴스 김계애입니다.
촬영기자:장준영
르노코리아가 올해 말부터 전기차 양산에 본격 돌입합니다.
이를 위해 지난 한 달 동안 자동차 생산을 일체 중단하고 대대적인 설비 보강 공사를 벌였는데, 국내에서 처음으로 기존 내연기관차와 함께 전기차를 혼합 생산할 수 있는 전용 설비를 갖췄습니다.
보도에 김계애 기자입니다.
[리포트]
시설 재정비를 위해 지난 한 달 동안 문을 닫은 르노코리아 부산공장.
내연기관차보다 25% 무거운 전기차 생산을 위해 조립 공장 생산 라인을 대부분 교체했습니다.
이번 공사로 부산공장은 국내 최초로 내연기관차와 전기차를 동시에 생산하는 '혼류 생산'으로 전환됐습니다.
한 라인에서 내연기관차와 전기차가 섞여 공정이 진행되는 겁니다.
로봇 880여 대가 용접하는 차체 공장에는 전기차 생산을 위해 로봇 140여 대를 새로 도입했습니다.
[김석범/르노코리아 차체공장 기술팀장 : "알루미늄은 스폿 용접으로는 대체하기 어려워 메커니컬(기계적) 접합으로 적용하고 있고, 뒤쪽에 보이는 대형 로봇이 볼트를 알루미늄과 철판 사이에 박아 넣어서 접합하는 신규 공정입니다."]
르노코리아는 부산공장을 미래차 생산기지로 전환하기 위해 하이브리드 모델 생산에 우선 7천억 원을 투자하고, 차세대 전기차 모델 개발과 생산까지 확정되면 2027년 투자 규모가 1조 5천억 원으로 확대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해진/르노코리아 부산공장 제조본부장 : "(혼류 생산 체제 구축으로) 앞으로 어떤 차종도 생산 제약 없이 생산할 수 있는 미래의 지속가능성 기반을 만들었다는 의미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이달부터 본격 재가동에 들어간 르노코리아는 올 하반기 북미 수출용 전기차 폴스타 4 위탁 생산에 돌입하며 미래차 프로젝트 핵심 기지로의 첫발을 내딛습니다.
KBS 뉴스 김계애입니다.
촬영기자:장준영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르노코리아 국내 최초 전기차 ‘혼류 생산’
-
- 입력 2025-02-18 19:56:10
- 수정2025-02-18 20:25:15

[앵커]
르노코리아가 올해 말부터 전기차 양산에 본격 돌입합니다.
이를 위해 지난 한 달 동안 자동차 생산을 일체 중단하고 대대적인 설비 보강 공사를 벌였는데, 국내에서 처음으로 기존 내연기관차와 함께 전기차를 혼합 생산할 수 있는 전용 설비를 갖췄습니다.
보도에 김계애 기자입니다.
[리포트]
시설 재정비를 위해 지난 한 달 동안 문을 닫은 르노코리아 부산공장.
내연기관차보다 25% 무거운 전기차 생산을 위해 조립 공장 생산 라인을 대부분 교체했습니다.
이번 공사로 부산공장은 국내 최초로 내연기관차와 전기차를 동시에 생산하는 '혼류 생산'으로 전환됐습니다.
한 라인에서 내연기관차와 전기차가 섞여 공정이 진행되는 겁니다.
로봇 880여 대가 용접하는 차체 공장에는 전기차 생산을 위해 로봇 140여 대를 새로 도입했습니다.
[김석범/르노코리아 차체공장 기술팀장 : "알루미늄은 스폿 용접으로는 대체하기 어려워 메커니컬(기계적) 접합으로 적용하고 있고, 뒤쪽에 보이는 대형 로봇이 볼트를 알루미늄과 철판 사이에 박아 넣어서 접합하는 신규 공정입니다."]
르노코리아는 부산공장을 미래차 생산기지로 전환하기 위해 하이브리드 모델 생산에 우선 7천억 원을 투자하고, 차세대 전기차 모델 개발과 생산까지 확정되면 2027년 투자 규모가 1조 5천억 원으로 확대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해진/르노코리아 부산공장 제조본부장 : "(혼류 생산 체제 구축으로) 앞으로 어떤 차종도 생산 제약 없이 생산할 수 있는 미래의 지속가능성 기반을 만들었다는 의미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이달부터 본격 재가동에 들어간 르노코리아는 올 하반기 북미 수출용 전기차 폴스타 4 위탁 생산에 돌입하며 미래차 프로젝트 핵심 기지로의 첫발을 내딛습니다.
KBS 뉴스 김계애입니다.
촬영기자:장준영
르노코리아가 올해 말부터 전기차 양산에 본격 돌입합니다.
이를 위해 지난 한 달 동안 자동차 생산을 일체 중단하고 대대적인 설비 보강 공사를 벌였는데, 국내에서 처음으로 기존 내연기관차와 함께 전기차를 혼합 생산할 수 있는 전용 설비를 갖췄습니다.
보도에 김계애 기자입니다.
[리포트]
시설 재정비를 위해 지난 한 달 동안 문을 닫은 르노코리아 부산공장.
내연기관차보다 25% 무거운 전기차 생산을 위해 조립 공장 생산 라인을 대부분 교체했습니다.
이번 공사로 부산공장은 국내 최초로 내연기관차와 전기차를 동시에 생산하는 '혼류 생산'으로 전환됐습니다.
한 라인에서 내연기관차와 전기차가 섞여 공정이 진행되는 겁니다.
로봇 880여 대가 용접하는 차체 공장에는 전기차 생산을 위해 로봇 140여 대를 새로 도입했습니다.
[김석범/르노코리아 차체공장 기술팀장 : "알루미늄은 스폿 용접으로는 대체하기 어려워 메커니컬(기계적) 접합으로 적용하고 있고, 뒤쪽에 보이는 대형 로봇이 볼트를 알루미늄과 철판 사이에 박아 넣어서 접합하는 신규 공정입니다."]
르노코리아는 부산공장을 미래차 생산기지로 전환하기 위해 하이브리드 모델 생산에 우선 7천억 원을 투자하고, 차세대 전기차 모델 개발과 생산까지 확정되면 2027년 투자 규모가 1조 5천억 원으로 확대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해진/르노코리아 부산공장 제조본부장 : "(혼류 생산 체제 구축으로) 앞으로 어떤 차종도 생산 제약 없이 생산할 수 있는 미래의 지속가능성 기반을 만들었다는 의미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이달부터 본격 재가동에 들어간 르노코리아는 올 하반기 북미 수출용 전기차 폴스타 4 위탁 생산에 돌입하며 미래차 프로젝트 핵심 기지로의 첫발을 내딛습니다.
KBS 뉴스 김계애입니다.
촬영기자:장준영
-
-
김계애 기자 stone917@kbs.co.kr
김계애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