봄철 대형 산불 위험↑…“무단 소각 안 돼요”
입력 2025.02.19 (12:00)
수정 2025.02.19 (17:23)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산불 발생 가능성이 높은 봄철을 앞두고 정부가 주의를 당부했습니다.
행정안전부는 봄은 건조하고 강한 바람이 부는 시기로, 겨우내 메마른 풀과 낙엽 등이 남아있어 산불 발생과 확산 가능성이 크다고 밝혔습니다.
행안부에 따르면, 지난 2015년부터 10년간 발생한 산불은 한 해 평균 546건으로 이 가운데 봄철인 3월과 4월에 난 산불이 전체의 46%를 차지했습니다.
이 시기에 발생한 산림 피해 면적은 전체 피해 면적의 86%에 이릅니다.
행안부는 봄철 산불 예방을 위해 산에 갈 땐 성냥 같은 화기를 가져가지 말고, 야영과 취사는 허가된 구역에서만 해야 한다고 밝혔습니다.
또, 영농 부산물과 쓰레기를 무단 소각하지 않도록 유의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특히, 무단 소각 행위만으로도 과태료를 부과받을 수 있으며, 산림으로부터 100m 이내에서의 소각 행위는 처벌 대상이라고 설명했습니다.
황기연 행정안전부 예방정책국장은 “올해 초부터 산불 발생이 증가하고 있어, 산불 취약 지역을 중심으로 철저한 대비가 필요하다”며, “산불 예방에 많은 관심과 동참을 부탁드린다”고 말했습니다.
행정안전부는 봄은 건조하고 강한 바람이 부는 시기로, 겨우내 메마른 풀과 낙엽 등이 남아있어 산불 발생과 확산 가능성이 크다고 밝혔습니다.
행안부에 따르면, 지난 2015년부터 10년간 발생한 산불은 한 해 평균 546건으로 이 가운데 봄철인 3월과 4월에 난 산불이 전체의 46%를 차지했습니다.
이 시기에 발생한 산림 피해 면적은 전체 피해 면적의 86%에 이릅니다.
행안부는 봄철 산불 예방을 위해 산에 갈 땐 성냥 같은 화기를 가져가지 말고, 야영과 취사는 허가된 구역에서만 해야 한다고 밝혔습니다.
또, 영농 부산물과 쓰레기를 무단 소각하지 않도록 유의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특히, 무단 소각 행위만으로도 과태료를 부과받을 수 있으며, 산림으로부터 100m 이내에서의 소각 행위는 처벌 대상이라고 설명했습니다.
황기연 행정안전부 예방정책국장은 “올해 초부터 산불 발생이 증가하고 있어, 산불 취약 지역을 중심으로 철저한 대비가 필요하다”며, “산불 예방에 많은 관심과 동참을 부탁드린다”고 말했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봄철 대형 산불 위험↑…“무단 소각 안 돼요”
-
- 입력 2025-02-19 12:00:52
- 수정2025-02-19 17:23:27

산불 발생 가능성이 높은 봄철을 앞두고 정부가 주의를 당부했습니다.
행정안전부는 봄은 건조하고 강한 바람이 부는 시기로, 겨우내 메마른 풀과 낙엽 등이 남아있어 산불 발생과 확산 가능성이 크다고 밝혔습니다.
행안부에 따르면, 지난 2015년부터 10년간 발생한 산불은 한 해 평균 546건으로 이 가운데 봄철인 3월과 4월에 난 산불이 전체의 46%를 차지했습니다.
이 시기에 발생한 산림 피해 면적은 전체 피해 면적의 86%에 이릅니다.
행안부는 봄철 산불 예방을 위해 산에 갈 땐 성냥 같은 화기를 가져가지 말고, 야영과 취사는 허가된 구역에서만 해야 한다고 밝혔습니다.
또, 영농 부산물과 쓰레기를 무단 소각하지 않도록 유의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특히, 무단 소각 행위만으로도 과태료를 부과받을 수 있으며, 산림으로부터 100m 이내에서의 소각 행위는 처벌 대상이라고 설명했습니다.
황기연 행정안전부 예방정책국장은 “올해 초부터 산불 발생이 증가하고 있어, 산불 취약 지역을 중심으로 철저한 대비가 필요하다”며, “산불 예방에 많은 관심과 동참을 부탁드린다”고 말했습니다.
행정안전부는 봄은 건조하고 강한 바람이 부는 시기로, 겨우내 메마른 풀과 낙엽 등이 남아있어 산불 발생과 확산 가능성이 크다고 밝혔습니다.
행안부에 따르면, 지난 2015년부터 10년간 발생한 산불은 한 해 평균 546건으로 이 가운데 봄철인 3월과 4월에 난 산불이 전체의 46%를 차지했습니다.
이 시기에 발생한 산림 피해 면적은 전체 피해 면적의 86%에 이릅니다.
행안부는 봄철 산불 예방을 위해 산에 갈 땐 성냥 같은 화기를 가져가지 말고, 야영과 취사는 허가된 구역에서만 해야 한다고 밝혔습니다.
또, 영농 부산물과 쓰레기를 무단 소각하지 않도록 유의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특히, 무단 소각 행위만으로도 과태료를 부과받을 수 있으며, 산림으로부터 100m 이내에서의 소각 행위는 처벌 대상이라고 설명했습니다.
황기연 행정안전부 예방정책국장은 “올해 초부터 산불 발생이 증가하고 있어, 산불 취약 지역을 중심으로 철저한 대비가 필요하다”며, “산불 예방에 많은 관심과 동참을 부탁드린다”고 말했습니다.
-
-
이세흠 기자 hmm@kbs.co.kr
이세흠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