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위, ‘3천 억 횡령’ 경남은행에 36억 과징금 부과
입력 2025.02.19 (18:36)
수정 2025.02.19 (18:38)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3천억 원대 횡령 사건이 발생했던 BNK경남은행에 대해 금융위원회가 36억 원 넘는 과징금을 부과하기로 했습니다.
금융위원회는 오늘(19일) 제23차 정례 회의를 열고, 경남은행에 감사인 지정 1년과 과징금 36억 1천만 원 부과 등을 의결했습니다.
또 전 최고경영자(CEO), 전 최고 재무 담당자(CFO), 횡령 직원, 현 CEO 등 4명에겐 7억 9천만 원의 과징금을 부과하기로 결정했습니다.
금융위는 경남은행이 지난 2021년 소속 직원의 자금 횡령을 재무제표에 적절히 반영하지 않았다고 판단했습니다.
금융위 관계자는 “경남은행은 횡령 사건의 피해자이기도 하지만, 이를 제대로 재무제표에 반영하지 못한 책임도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지난해 11월 금융위는 경남은행에 6개월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신규 취급을 할 수 없는 ‘일부 영업정지’ 처분을 내리기도 했습니다.
경남은행에서는 2008년부터 2022년까지 14년에 걸쳐 3천억 원 규모의 횡령 사고가 발생했습니다.
PF 대출 업무를 담당하던 전직 간부가 문서 위조 등을 통해 회삿돈 3,089억 원을 빼돌렸습니다. 이렇게 횡령한 돈은 주식 투자 등에 쓰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지난 14일 해당 간부는 항소심에서 징역 35년을 선고받았습니다.
금융위원회는 오늘(19일) 제23차 정례 회의를 열고, 경남은행에 감사인 지정 1년과 과징금 36억 1천만 원 부과 등을 의결했습니다.
또 전 최고경영자(CEO), 전 최고 재무 담당자(CFO), 횡령 직원, 현 CEO 등 4명에겐 7억 9천만 원의 과징금을 부과하기로 결정했습니다.
금융위는 경남은행이 지난 2021년 소속 직원의 자금 횡령을 재무제표에 적절히 반영하지 않았다고 판단했습니다.
금융위 관계자는 “경남은행은 횡령 사건의 피해자이기도 하지만, 이를 제대로 재무제표에 반영하지 못한 책임도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지난해 11월 금융위는 경남은행에 6개월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신규 취급을 할 수 없는 ‘일부 영업정지’ 처분을 내리기도 했습니다.
경남은행에서는 2008년부터 2022년까지 14년에 걸쳐 3천억 원 규모의 횡령 사고가 발생했습니다.
PF 대출 업무를 담당하던 전직 간부가 문서 위조 등을 통해 회삿돈 3,089억 원을 빼돌렸습니다. 이렇게 횡령한 돈은 주식 투자 등에 쓰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지난 14일 해당 간부는 항소심에서 징역 35년을 선고받았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금융위, ‘3천 억 횡령’ 경남은행에 36억 과징금 부과
-
- 입력 2025-02-19 18:36:15
- 수정2025-02-19 18:38:46

3천억 원대 횡령 사건이 발생했던 BNK경남은행에 대해 금융위원회가 36억 원 넘는 과징금을 부과하기로 했습니다.
금융위원회는 오늘(19일) 제23차 정례 회의를 열고, 경남은행에 감사인 지정 1년과 과징금 36억 1천만 원 부과 등을 의결했습니다.
또 전 최고경영자(CEO), 전 최고 재무 담당자(CFO), 횡령 직원, 현 CEO 등 4명에겐 7억 9천만 원의 과징금을 부과하기로 결정했습니다.
금융위는 경남은행이 지난 2021년 소속 직원의 자금 횡령을 재무제표에 적절히 반영하지 않았다고 판단했습니다.
금융위 관계자는 “경남은행은 횡령 사건의 피해자이기도 하지만, 이를 제대로 재무제표에 반영하지 못한 책임도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지난해 11월 금융위는 경남은행에 6개월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신규 취급을 할 수 없는 ‘일부 영업정지’ 처분을 내리기도 했습니다.
경남은행에서는 2008년부터 2022년까지 14년에 걸쳐 3천억 원 규모의 횡령 사고가 발생했습니다.
PF 대출 업무를 담당하던 전직 간부가 문서 위조 등을 통해 회삿돈 3,089억 원을 빼돌렸습니다. 이렇게 횡령한 돈은 주식 투자 등에 쓰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지난 14일 해당 간부는 항소심에서 징역 35년을 선고받았습니다.
금융위원회는 오늘(19일) 제23차 정례 회의를 열고, 경남은행에 감사인 지정 1년과 과징금 36억 1천만 원 부과 등을 의결했습니다.
또 전 최고경영자(CEO), 전 최고 재무 담당자(CFO), 횡령 직원, 현 CEO 등 4명에겐 7억 9천만 원의 과징금을 부과하기로 결정했습니다.
금융위는 경남은행이 지난 2021년 소속 직원의 자금 횡령을 재무제표에 적절히 반영하지 않았다고 판단했습니다.
금융위 관계자는 “경남은행은 횡령 사건의 피해자이기도 하지만, 이를 제대로 재무제표에 반영하지 못한 책임도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지난해 11월 금융위는 경남은행에 6개월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신규 취급을 할 수 없는 ‘일부 영업정지’ 처분을 내리기도 했습니다.
경남은행에서는 2008년부터 2022년까지 14년에 걸쳐 3천억 원 규모의 횡령 사고가 발생했습니다.
PF 대출 업무를 담당하던 전직 간부가 문서 위조 등을 통해 회삿돈 3,089억 원을 빼돌렸습니다. 이렇게 횡령한 돈은 주식 투자 등에 쓰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지난 14일 해당 간부는 항소심에서 징역 35년을 선고받았습니다.
-
-
황현규 기자 help@kbs.co.kr
황현규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