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굴욕적 합의” 강릉시민사회단체협 대학 통합 반대

입력 2025.02.20 (19:25) 수정 2025.02.20 (19:58)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강릉원주대와 강원대가 통합안에 합의한 가운데, 강릉 지역에서 반발이 잇따르고 있습니다.

통합 대학의 교명과 대학본부 위치를 양보했는데, 직원들까지 줄게 됐다면서 굴욕적인 합의라고 성토하는데요.

다른 곳으로 가야할지도 모를 교직원들도 반발하고 있습니다.

정면구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강릉지역 30여 개 단체가 참여하는 시민사회단체협의회 대표자들이 강릉원주대학교에 모였습니다.

강원대와의 통합안 합의로 강릉원주대 위상이 격하되고 연쇄적으로 규모 축소도 우려된다며, 교육부에 글로컬대학30사업을 중단하라고 요구했습니다.

특히 통합대학의 교명에 이어 대학본부 위치까지 양보했는데, 강릉 근무 직원 수마저 줄게 됐다면서 굴욕적 합의라고 지적했습니다.

[최종봉/강릉시민사회단체협의회 회장 : "지역하고 같이 이렇게 맞춰가야 하는데 결국 이렇게 되면 (대학 통합으로) 강릉은 지역 소멸이 더 된다고 보거든요. 그래서 저희들은 적극 반대가 나올 수밖에 없는 그런 상황입니다."]

앞으로 지역사회와 연대해 일방적 통합을 막아내겠다며, 교육부 등에 대한 항의 방문도 예고했습니다.

통합 이후 일부 공무원들이 다른 지역으로 자리를 옮겨야 하는 만큼 직원들도 다소 동요하는 분위기입니다.

이번 합의로 강릉에서 근무하는 공무원 19명이 원주 등으로 이동할 전망입니다.

공무원들은 대학 측이 당사자들에게 아무런 설명 없이 합의했다며, 총장실을 항의 방문하는 등 반발하고 있습니다.

일부 직원은 강제적 인사 이동이 없을 것이라는 애초 통합 추진 원칙이 깨졌다며, 재검토가 필요하다고 지적했습니다.

교육부는 내년도 대입 일정 등을 감안할 때, 두 대학이 제출한 통합 신청서의 최종 승인 여부가 늦어도 올해 4월까지는 나올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신청서 심의는 외부 전문가로 구성된 위원회가 통합 시너지 등을 심사할 예정인데, 지역사회 반발이 어떤 영향을 미칠지도 주목됩니다.

KBS 뉴스 정면구입니다.

촬영기자:김중용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굴욕적 합의” 강릉시민사회단체협 대학 통합 반대
    • 입력 2025-02-20 19:25:07
    • 수정2025-02-20 19:58:09
    뉴스7(춘천)
[앵커]

강릉원주대와 강원대가 통합안에 합의한 가운데, 강릉 지역에서 반발이 잇따르고 있습니다.

통합 대학의 교명과 대학본부 위치를 양보했는데, 직원들까지 줄게 됐다면서 굴욕적인 합의라고 성토하는데요.

다른 곳으로 가야할지도 모를 교직원들도 반발하고 있습니다.

정면구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강릉지역 30여 개 단체가 참여하는 시민사회단체협의회 대표자들이 강릉원주대학교에 모였습니다.

강원대와의 통합안 합의로 강릉원주대 위상이 격하되고 연쇄적으로 규모 축소도 우려된다며, 교육부에 글로컬대학30사업을 중단하라고 요구했습니다.

특히 통합대학의 교명에 이어 대학본부 위치까지 양보했는데, 강릉 근무 직원 수마저 줄게 됐다면서 굴욕적 합의라고 지적했습니다.

[최종봉/강릉시민사회단체협의회 회장 : "지역하고 같이 이렇게 맞춰가야 하는데 결국 이렇게 되면 (대학 통합으로) 강릉은 지역 소멸이 더 된다고 보거든요. 그래서 저희들은 적극 반대가 나올 수밖에 없는 그런 상황입니다."]

앞으로 지역사회와 연대해 일방적 통합을 막아내겠다며, 교육부 등에 대한 항의 방문도 예고했습니다.

통합 이후 일부 공무원들이 다른 지역으로 자리를 옮겨야 하는 만큼 직원들도 다소 동요하는 분위기입니다.

이번 합의로 강릉에서 근무하는 공무원 19명이 원주 등으로 이동할 전망입니다.

공무원들은 대학 측이 당사자들에게 아무런 설명 없이 합의했다며, 총장실을 항의 방문하는 등 반발하고 있습니다.

일부 직원은 강제적 인사 이동이 없을 것이라는 애초 통합 추진 원칙이 깨졌다며, 재검토가 필요하다고 지적했습니다.

교육부는 내년도 대입 일정 등을 감안할 때, 두 대학이 제출한 통합 신청서의 최종 승인 여부가 늦어도 올해 4월까지는 나올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신청서 심의는 외부 전문가로 구성된 위원회가 통합 시너지 등을 심사할 예정인데, 지역사회 반발이 어떤 영향을 미칠지도 주목됩니다.

KBS 뉴스 정면구입니다.

촬영기자:김중용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춘천-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