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현동 주미대사, 알래스카 주지사와 LNG 협력 논의
입력 2025.02.21 (09:06)
수정 2025.02.21 (09:09)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조현동 주미대사가 마이크 던리비 미 알래스카주 주지사와 만나 알래스카산 액화천연가스(LNG)와 관련한 협력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고 주미대사관이 밝혔습니다.
조 대사는 한국과 알래스카 사이의 호혜적 교역 관계를 강조하고, 알래스카 LNG 프로젝트를 통한 양측간 경제 분야 연계 확대 방안을 논의했다고 대사관이 사회관계망서비스(SNS) 계정을 통해 전했습니다.
한국의 알래스카산 LNG 수입 또는 개발 참여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전쟁'과 관련한 한국의 대응책 중 하나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이 미국의 무역수지 적자 완화와 세수 확대, 미국내 제조업 기반 재건 등을 목표로 전세계를 상대로 관세 카드를 빼 든 상황에서 한국의 알래스카산 LNG 도입은 '윈윈'의 방안 중 하나로 꼽힙니다. LNG 교역을 통해 미국은 대한국 무역수지 적자를 줄이고, 한국은 '에너지 안보'를 강화할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가 있습니다.
알래스카가 지역구인 댄 설리번 미 연방 상원의원(공화)은 지난 5일 한 세미나에서 미국이 한일과 대만 등에 알래스카산 LNG를 수출함으로써 무역적자를 연간 100억 달러(약 14조 4천억원)를 줄일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일본은 지난 7일 워싱턴에서 열린 미일정상회담 계기에 미국산 LNG 수입을 확대하기로 하면서 알래스카산 석유와 LNG 관련 합작 사업 논의에 나섰습니다. 한국도 알래스카 가스 프로젝트 참여 가능성을 놓고 신중하게 검토를 진행 중인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주미대사관 트루스소셜 계정 캡처]
조 대사는 한국과 알래스카 사이의 호혜적 교역 관계를 강조하고, 알래스카 LNG 프로젝트를 통한 양측간 경제 분야 연계 확대 방안을 논의했다고 대사관이 사회관계망서비스(SNS) 계정을 통해 전했습니다.
한국의 알래스카산 LNG 수입 또는 개발 참여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전쟁'과 관련한 한국의 대응책 중 하나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이 미국의 무역수지 적자 완화와 세수 확대, 미국내 제조업 기반 재건 등을 목표로 전세계를 상대로 관세 카드를 빼 든 상황에서 한국의 알래스카산 LNG 도입은 '윈윈'의 방안 중 하나로 꼽힙니다. LNG 교역을 통해 미국은 대한국 무역수지 적자를 줄이고, 한국은 '에너지 안보'를 강화할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가 있습니다.
알래스카가 지역구인 댄 설리번 미 연방 상원의원(공화)은 지난 5일 한 세미나에서 미국이 한일과 대만 등에 알래스카산 LNG를 수출함으로써 무역적자를 연간 100억 달러(약 14조 4천억원)를 줄일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일본은 지난 7일 워싱턴에서 열린 미일정상회담 계기에 미국산 LNG 수입을 확대하기로 하면서 알래스카산 석유와 LNG 관련 합작 사업 논의에 나섰습니다. 한국도 알래스카 가스 프로젝트 참여 가능성을 놓고 신중하게 검토를 진행 중인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주미대사관 트루스소셜 계정 캡처]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조현동 주미대사, 알래스카 주지사와 LNG 협력 논의
-
- 입력 2025-02-21 09:06:50
- 수정2025-02-21 09:09:18

조현동 주미대사가 마이크 던리비 미 알래스카주 주지사와 만나 알래스카산 액화천연가스(LNG)와 관련한 협력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고 주미대사관이 밝혔습니다.
조 대사는 한국과 알래스카 사이의 호혜적 교역 관계를 강조하고, 알래스카 LNG 프로젝트를 통한 양측간 경제 분야 연계 확대 방안을 논의했다고 대사관이 사회관계망서비스(SNS) 계정을 통해 전했습니다.
한국의 알래스카산 LNG 수입 또는 개발 참여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전쟁'과 관련한 한국의 대응책 중 하나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이 미국의 무역수지 적자 완화와 세수 확대, 미국내 제조업 기반 재건 등을 목표로 전세계를 상대로 관세 카드를 빼 든 상황에서 한국의 알래스카산 LNG 도입은 '윈윈'의 방안 중 하나로 꼽힙니다. LNG 교역을 통해 미국은 대한국 무역수지 적자를 줄이고, 한국은 '에너지 안보'를 강화할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가 있습니다.
알래스카가 지역구인 댄 설리번 미 연방 상원의원(공화)은 지난 5일 한 세미나에서 미국이 한일과 대만 등에 알래스카산 LNG를 수출함으로써 무역적자를 연간 100억 달러(약 14조 4천억원)를 줄일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일본은 지난 7일 워싱턴에서 열린 미일정상회담 계기에 미국산 LNG 수입을 확대하기로 하면서 알래스카산 석유와 LNG 관련 합작 사업 논의에 나섰습니다. 한국도 알래스카 가스 프로젝트 참여 가능성을 놓고 신중하게 검토를 진행 중인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주미대사관 트루스소셜 계정 캡처]
조 대사는 한국과 알래스카 사이의 호혜적 교역 관계를 강조하고, 알래스카 LNG 프로젝트를 통한 양측간 경제 분야 연계 확대 방안을 논의했다고 대사관이 사회관계망서비스(SNS) 계정을 통해 전했습니다.
한국의 알래스카산 LNG 수입 또는 개발 참여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전쟁'과 관련한 한국의 대응책 중 하나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이 미국의 무역수지 적자 완화와 세수 확대, 미국내 제조업 기반 재건 등을 목표로 전세계를 상대로 관세 카드를 빼 든 상황에서 한국의 알래스카산 LNG 도입은 '윈윈'의 방안 중 하나로 꼽힙니다. LNG 교역을 통해 미국은 대한국 무역수지 적자를 줄이고, 한국은 '에너지 안보'를 강화할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가 있습니다.
알래스카가 지역구인 댄 설리번 미 연방 상원의원(공화)은 지난 5일 한 세미나에서 미국이 한일과 대만 등에 알래스카산 LNG를 수출함으로써 무역적자를 연간 100억 달러(약 14조 4천억원)를 줄일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일본은 지난 7일 워싱턴에서 열린 미일정상회담 계기에 미국산 LNG 수입을 확대하기로 하면서 알래스카산 석유와 LNG 관련 합작 사업 논의에 나섰습니다. 한국도 알래스카 가스 프로젝트 참여 가능성을 놓고 신중하게 검토를 진행 중인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주미대사관 트루스소셜 계정 캡처]
-
-
김양순 기자 ysooni@kbs.co.kr
김양순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