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도 지하화 시작…철로 덮고 상부 개발

입력 2025.02.21 (09:13) 수정 2025.02.21 (09:23)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부산의 숙원인 철도 지하화가 드디어 확정됐습니다.

부산역에서 부산진역 구간부터 먼저 시작되는데 철로 위에 구조물을 덮고 상부를 개발하는 방식입니다.

강지아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부산 도심을 가로지르는 전체 경부선 구간은 19km.

정부는 이 가운데 부산역에서 부산진역 사이 2.8km 구간을 철도 지하화 선도 사업으로 선정했습니다.

부산역 조차장과 부산진역 컨테이너 야적장 등이 포함되는데 명칭은 '지하화'지만 철로 위에 구조물을 덮고 상부를 개발하는 방식입니다.

축구장 52개 크기인 약 37만㎡ 규모로 현재 개발 계획상 상업 시설과 업무 시설이 절반가량이고 공원과 공공임대주택도 들어섭니다.

[임경모/부산시 도시혁신균형실장 : "(개발 비용은) 전액으로 철도 공단에서 부담해서 가기 때문에 1조 9천억이라는 돈이 저희 시에 투자됨으로써 지역 경제에도 활성화가 기대되고 있습니다."]

이번 사업으로 원도심과 북항재개발 지역이 보행도로 등으로 연결되면서 시너지 효과가 기대됩니다.

[강정규/동아대 부동산대학원장 : "업무와 상업시설 위주로 돼 있는 토지 이용 계획을 보다 다양한 기능을 담을 수 있도록 하는 계획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이 되고, 단절된 도시 기능을 회복시키기 위해서는 현재의 원도심 상권과 기능을 선행해서 회복해야 할 필요가 있습니다."]

부산시는 내년까지 기본 계획을 수립하고 빠르면 2029년부터 본격적인 공사가 이루어질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또 당초 제안했다 제외된 구포-가야차량기지 8.7km 구간에 대해서도 관계기관과 긴밀히 협력해 올해 철도지하화 통합개발 종합계획에 반영되도록 노력한다는 방침입니다.

KBS 뉴스 강지아입니다.

촬영기자:김기태/그래픽:조양성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철도 지하화 시작…철로 덮고 상부 개발
    • 입력 2025-02-21 09:13:43
    • 수정2025-02-21 09:23:17
    뉴스광장(부산)
[앵커]

부산의 숙원인 철도 지하화가 드디어 확정됐습니다.

부산역에서 부산진역 구간부터 먼저 시작되는데 철로 위에 구조물을 덮고 상부를 개발하는 방식입니다.

강지아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부산 도심을 가로지르는 전체 경부선 구간은 19km.

정부는 이 가운데 부산역에서 부산진역 사이 2.8km 구간을 철도 지하화 선도 사업으로 선정했습니다.

부산역 조차장과 부산진역 컨테이너 야적장 등이 포함되는데 명칭은 '지하화'지만 철로 위에 구조물을 덮고 상부를 개발하는 방식입니다.

축구장 52개 크기인 약 37만㎡ 규모로 현재 개발 계획상 상업 시설과 업무 시설이 절반가량이고 공원과 공공임대주택도 들어섭니다.

[임경모/부산시 도시혁신균형실장 : "(개발 비용은) 전액으로 철도 공단에서 부담해서 가기 때문에 1조 9천억이라는 돈이 저희 시에 투자됨으로써 지역 경제에도 활성화가 기대되고 있습니다."]

이번 사업으로 원도심과 북항재개발 지역이 보행도로 등으로 연결되면서 시너지 효과가 기대됩니다.

[강정규/동아대 부동산대학원장 : "업무와 상업시설 위주로 돼 있는 토지 이용 계획을 보다 다양한 기능을 담을 수 있도록 하는 계획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이 되고, 단절된 도시 기능을 회복시키기 위해서는 현재의 원도심 상권과 기능을 선행해서 회복해야 할 필요가 있습니다."]

부산시는 내년까지 기본 계획을 수립하고 빠르면 2029년부터 본격적인 공사가 이루어질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또 당초 제안했다 제외된 구포-가야차량기지 8.7km 구간에 대해서도 관계기관과 긴밀히 협력해 올해 철도지하화 통합개발 종합계획에 반영되도록 노력한다는 방침입니다.

KBS 뉴스 강지아입니다.

촬영기자:김기태/그래픽:조양성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부산-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