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크라전 성명’에 ‘러 침공’도 삭제?…젤렌스키 “건설적 안보 제안”
입력 2025.02.21 (09:35)
수정 2025.02.21 (09:43)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오는 24일 우크라이나 전쟁 3주년을 맞아 나온 주요 7개국 G7 성명에서 '러시아 침공'이란 표현이 미국의 반대로 빠질 위기에 있다는 외신 보도가 나왔습니다.
최근 미국과 우크라나이간 충돌 속에 젤렌스키 대통령은 미국 특사와 만나 건설적 안보를 제안했다고 밝혔습니다.
파리 안다영 특파원입니다.
[리포트]
트럼프 정부의 러시아 편들기가 다자 외교 무대로까지 이어지고 있습니다.
영국 일간 파이낸셜타임스는 주요 7개국, G7의 우크라이나 전쟁 3주년 성명에, '러시아의 침공'이란 표현을 넣는 데 대해 미국이 반대하고 있다고 보도했습니다.
아예 전쟁을 '우크라이나 분쟁'으로 순화해 표현하고 있다고도 했습니다.
서방 소식통들은 3주년에 맞춰 오는 24일, 화상으로 열릴 G7 정상 회의에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을 초청하는 문제도 합의하지 못했다고 말했습니다.
앞서 G7은 전쟁 1, 2주년에는 젤렌스키 대통령이 참석한 가운데 회의를 열어,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을 비판하고 우크라이나에 대한 지지를 표명하는 공동 성명을 발표했습니다.
유엔총회도 우크라이나의 주권과 영토 보존을 지지하고 러시아를 규탄하는 결의안 초안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현재 50개 넘는 국가가 결의안에 이름을 올렸지만, 미국은 공동발의자로 이름을 올리는 데 거부하고 있다고 로이터통신이 보도했습니다.
이런 가운데,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이 키이우를 방문한 켈로그 미 대통령 특사를 만나 종전 문제를 논의했습니다.
회동 뒤 젤렌스키 대통령은 자신의 소셜미디어에 좋은 논의를 했다며 안보 보장과 포로 송환 문제 등에 집중했다고 밝혔습니다.
또 미국과 강력하고 효과적인 투자·안보 협정을 만들 것이며 결과를 빨리 도출하기 위한 건설적인 방법을 제안했다고 설명했습니다.
트럼프와의 갈등이 불거진 상황에서 유화적 제스처를 보였단 해석이 나옵니다.
다만 당초 예정됐던 양측의 공동 기자회견은 미국 측 요청으로 취소됐습니다.
파리에서 KBS 뉴스 안다영입니다.
영상편집:양의정/자료조사:김나영
오는 24일 우크라이나 전쟁 3주년을 맞아 나온 주요 7개국 G7 성명에서 '러시아 침공'이란 표현이 미국의 반대로 빠질 위기에 있다는 외신 보도가 나왔습니다.
최근 미국과 우크라나이간 충돌 속에 젤렌스키 대통령은 미국 특사와 만나 건설적 안보를 제안했다고 밝혔습니다.
파리 안다영 특파원입니다.
[리포트]
트럼프 정부의 러시아 편들기가 다자 외교 무대로까지 이어지고 있습니다.
영국 일간 파이낸셜타임스는 주요 7개국, G7의 우크라이나 전쟁 3주년 성명에, '러시아의 침공'이란 표현을 넣는 데 대해 미국이 반대하고 있다고 보도했습니다.
아예 전쟁을 '우크라이나 분쟁'으로 순화해 표현하고 있다고도 했습니다.
서방 소식통들은 3주년에 맞춰 오는 24일, 화상으로 열릴 G7 정상 회의에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을 초청하는 문제도 합의하지 못했다고 말했습니다.
앞서 G7은 전쟁 1, 2주년에는 젤렌스키 대통령이 참석한 가운데 회의를 열어,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을 비판하고 우크라이나에 대한 지지를 표명하는 공동 성명을 발표했습니다.
유엔총회도 우크라이나의 주권과 영토 보존을 지지하고 러시아를 규탄하는 결의안 초안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현재 50개 넘는 국가가 결의안에 이름을 올렸지만, 미국은 공동발의자로 이름을 올리는 데 거부하고 있다고 로이터통신이 보도했습니다.
이런 가운데,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이 키이우를 방문한 켈로그 미 대통령 특사를 만나 종전 문제를 논의했습니다.
회동 뒤 젤렌스키 대통령은 자신의 소셜미디어에 좋은 논의를 했다며 안보 보장과 포로 송환 문제 등에 집중했다고 밝혔습니다.
또 미국과 강력하고 효과적인 투자·안보 협정을 만들 것이며 결과를 빨리 도출하기 위한 건설적인 방법을 제안했다고 설명했습니다.
트럼프와의 갈등이 불거진 상황에서 유화적 제스처를 보였단 해석이 나옵니다.
다만 당초 예정됐던 양측의 공동 기자회견은 미국 측 요청으로 취소됐습니다.
파리에서 KBS 뉴스 안다영입니다.
영상편집:양의정/자료조사:김나영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우크라전 성명’에 ‘러 침공’도 삭제?…젤렌스키 “건설적 안보 제안”
-
- 입력 2025-02-21 09:35:29
- 수정2025-02-21 09:43:05

[앵커]
오는 24일 우크라이나 전쟁 3주년을 맞아 나온 주요 7개국 G7 성명에서 '러시아 침공'이란 표현이 미국의 반대로 빠질 위기에 있다는 외신 보도가 나왔습니다.
최근 미국과 우크라나이간 충돌 속에 젤렌스키 대통령은 미국 특사와 만나 건설적 안보를 제안했다고 밝혔습니다.
파리 안다영 특파원입니다.
[리포트]
트럼프 정부의 러시아 편들기가 다자 외교 무대로까지 이어지고 있습니다.
영국 일간 파이낸셜타임스는 주요 7개국, G7의 우크라이나 전쟁 3주년 성명에, '러시아의 침공'이란 표현을 넣는 데 대해 미국이 반대하고 있다고 보도했습니다.
아예 전쟁을 '우크라이나 분쟁'으로 순화해 표현하고 있다고도 했습니다.
서방 소식통들은 3주년에 맞춰 오는 24일, 화상으로 열릴 G7 정상 회의에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을 초청하는 문제도 합의하지 못했다고 말했습니다.
앞서 G7은 전쟁 1, 2주년에는 젤렌스키 대통령이 참석한 가운데 회의를 열어,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을 비판하고 우크라이나에 대한 지지를 표명하는 공동 성명을 발표했습니다.
유엔총회도 우크라이나의 주권과 영토 보존을 지지하고 러시아를 규탄하는 결의안 초안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현재 50개 넘는 국가가 결의안에 이름을 올렸지만, 미국은 공동발의자로 이름을 올리는 데 거부하고 있다고 로이터통신이 보도했습니다.
이런 가운데,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이 키이우를 방문한 켈로그 미 대통령 특사를 만나 종전 문제를 논의했습니다.
회동 뒤 젤렌스키 대통령은 자신의 소셜미디어에 좋은 논의를 했다며 안보 보장과 포로 송환 문제 등에 집중했다고 밝혔습니다.
또 미국과 강력하고 효과적인 투자·안보 협정을 만들 것이며 결과를 빨리 도출하기 위한 건설적인 방법을 제안했다고 설명했습니다.
트럼프와의 갈등이 불거진 상황에서 유화적 제스처를 보였단 해석이 나옵니다.
다만 당초 예정됐던 양측의 공동 기자회견은 미국 측 요청으로 취소됐습니다.
파리에서 KBS 뉴스 안다영입니다.
영상편집:양의정/자료조사:김나영
오는 24일 우크라이나 전쟁 3주년을 맞아 나온 주요 7개국 G7 성명에서 '러시아 침공'이란 표현이 미국의 반대로 빠질 위기에 있다는 외신 보도가 나왔습니다.
최근 미국과 우크라나이간 충돌 속에 젤렌스키 대통령은 미국 특사와 만나 건설적 안보를 제안했다고 밝혔습니다.
파리 안다영 특파원입니다.
[리포트]
트럼프 정부의 러시아 편들기가 다자 외교 무대로까지 이어지고 있습니다.
영국 일간 파이낸셜타임스는 주요 7개국, G7의 우크라이나 전쟁 3주년 성명에, '러시아의 침공'이란 표현을 넣는 데 대해 미국이 반대하고 있다고 보도했습니다.
아예 전쟁을 '우크라이나 분쟁'으로 순화해 표현하고 있다고도 했습니다.
서방 소식통들은 3주년에 맞춰 오는 24일, 화상으로 열릴 G7 정상 회의에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을 초청하는 문제도 합의하지 못했다고 말했습니다.
앞서 G7은 전쟁 1, 2주년에는 젤렌스키 대통령이 참석한 가운데 회의를 열어,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을 비판하고 우크라이나에 대한 지지를 표명하는 공동 성명을 발표했습니다.
유엔총회도 우크라이나의 주권과 영토 보존을 지지하고 러시아를 규탄하는 결의안 초안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현재 50개 넘는 국가가 결의안에 이름을 올렸지만, 미국은 공동발의자로 이름을 올리는 데 거부하고 있다고 로이터통신이 보도했습니다.
이런 가운데,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이 키이우를 방문한 켈로그 미 대통령 특사를 만나 종전 문제를 논의했습니다.
회동 뒤 젤렌스키 대통령은 자신의 소셜미디어에 좋은 논의를 했다며 안보 보장과 포로 송환 문제 등에 집중했다고 밝혔습니다.
또 미국과 강력하고 효과적인 투자·안보 협정을 만들 것이며 결과를 빨리 도출하기 위한 건설적인 방법을 제안했다고 설명했습니다.
트럼프와의 갈등이 불거진 상황에서 유화적 제스처를 보였단 해석이 나옵니다.
다만 당초 예정됐던 양측의 공동 기자회견은 미국 측 요청으로 취소됐습니다.
파리에서 KBS 뉴스 안다영입니다.
영상편집:양의정/자료조사:김나영
-
-
안다영 기자 browneyes@kbs.co.kr
안다영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