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민주콩고 반군 지원’ 르완다 장관 제재
입력 2025.02.21 (19:16)
수정 2025.02.21 (19:5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미국 정부가 콩고민주공화국(민주콩고)의 반군을 지원한다는 이유로 르완다의 장관과 민주콩고 반군 지도자 등을 제재했다고 알자지라방송과 AFP통신 등이 현지시각 20일 보도했습니다.
미 재무부는 20일 성명에서 제임스 카바레베 르완다 지역통합부 장관이 민주콩고 투치족 반군 M23에 대한 르완다군의 지원을 조율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이어 M23이 포함된 반정부 무장단체 콩고강동맹(AFC)의 로렌스 카누카 킹스턴 대변인과 그가 영국과 프랑스에서 운영하는 두 회사도 제재 대상에 추가됐다고 밝혔습니다.
재무부는 이들 개인과 회사가 민주콩고에서 일어난 폭력과 인권 침해에 연루돼 있다며 “이번 조처는 르완다가 앙골라가 주도하는 ‘루안다 프로세스’에 따라 협상에 복귀해 민주콩고 동부 분쟁을 해결해야 할 필요성을 강조한다”고 덧붙였습니다.
이에 대해 욜란데 마콜로 르완다 정부 대변인은 “근거 없는 부당한 제재”라며 “국제 사회는 정치적 해결을 위한 지역의 노력을 훼손하지 않도록 지원해야 한다”고 반박했습니다.
르완다의 지원을 받는 것으로 의심받는 M23은 지난달 27일부터 29일까지 진행한 대규모 공세로 인구 200만의 동부 최대 도시인 고마를 장악한 데 이어 지난 16일 동부 제2의 도시인 남키부주 주도 부카부도 점령했습니다.
부카부까지 함락되면서 북키부주와 남키부주의 상당 부분을 장악한 M23은 키부호수를 따라 민주콩고 동부와 르완다 사이의 모든 국경을 포함해 2021년 무장 공격 재개 이후 최대 영역을 통제하게 됐습니다.
민주콩고는 M23의 배후로 인접한 르완다를 지목하고 유엔과 서방 국가 등 국제사회도 이에 동의하지만 르완다는 이를 부인하고 있습니다.
유엔은 르완다가 M23을 효과적으로 통제하고 있으며 최소 4천명의 병력이 반군과 함께 싸우는 것으로 파악하고 있습니다.
유엔과 민주콩고 정부 등에 따르면 최근 고마에서 벌어진 정부군과 반군의 교전으로 3천명 가까이 숨진 것으로 추정됩니다.
특히 부카부 함락 이후 민주콩고에서 약 3만명이 국경을 넘어 인접국 부룬디에 25년 만에 최대 규모로 피란했다고 유엔난민기구는 전했습니다.
[사진 출처 : AFP=연합뉴스]
미 재무부는 20일 성명에서 제임스 카바레베 르완다 지역통합부 장관이 민주콩고 투치족 반군 M23에 대한 르완다군의 지원을 조율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이어 M23이 포함된 반정부 무장단체 콩고강동맹(AFC)의 로렌스 카누카 킹스턴 대변인과 그가 영국과 프랑스에서 운영하는 두 회사도 제재 대상에 추가됐다고 밝혔습니다.
재무부는 이들 개인과 회사가 민주콩고에서 일어난 폭력과 인권 침해에 연루돼 있다며 “이번 조처는 르완다가 앙골라가 주도하는 ‘루안다 프로세스’에 따라 협상에 복귀해 민주콩고 동부 분쟁을 해결해야 할 필요성을 강조한다”고 덧붙였습니다.
이에 대해 욜란데 마콜로 르완다 정부 대변인은 “근거 없는 부당한 제재”라며 “국제 사회는 정치적 해결을 위한 지역의 노력을 훼손하지 않도록 지원해야 한다”고 반박했습니다.
르완다의 지원을 받는 것으로 의심받는 M23은 지난달 27일부터 29일까지 진행한 대규모 공세로 인구 200만의 동부 최대 도시인 고마를 장악한 데 이어 지난 16일 동부 제2의 도시인 남키부주 주도 부카부도 점령했습니다.
부카부까지 함락되면서 북키부주와 남키부주의 상당 부분을 장악한 M23은 키부호수를 따라 민주콩고 동부와 르완다 사이의 모든 국경을 포함해 2021년 무장 공격 재개 이후 최대 영역을 통제하게 됐습니다.
민주콩고는 M23의 배후로 인접한 르완다를 지목하고 유엔과 서방 국가 등 국제사회도 이에 동의하지만 르완다는 이를 부인하고 있습니다.
유엔은 르완다가 M23을 효과적으로 통제하고 있으며 최소 4천명의 병력이 반군과 함께 싸우는 것으로 파악하고 있습니다.
유엔과 민주콩고 정부 등에 따르면 최근 고마에서 벌어진 정부군과 반군의 교전으로 3천명 가까이 숨진 것으로 추정됩니다.
특히 부카부 함락 이후 민주콩고에서 약 3만명이 국경을 넘어 인접국 부룬디에 25년 만에 최대 규모로 피란했다고 유엔난민기구는 전했습니다.
[사진 출처 : AFP=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미국, ‘민주콩고 반군 지원’ 르완다 장관 제재
-
- 입력 2025-02-21 19:16:07
- 수정2025-02-21 19:52:23

미국 정부가 콩고민주공화국(민주콩고)의 반군을 지원한다는 이유로 르완다의 장관과 민주콩고 반군 지도자 등을 제재했다고 알자지라방송과 AFP통신 등이 현지시각 20일 보도했습니다.
미 재무부는 20일 성명에서 제임스 카바레베 르완다 지역통합부 장관이 민주콩고 투치족 반군 M23에 대한 르완다군의 지원을 조율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이어 M23이 포함된 반정부 무장단체 콩고강동맹(AFC)의 로렌스 카누카 킹스턴 대변인과 그가 영국과 프랑스에서 운영하는 두 회사도 제재 대상에 추가됐다고 밝혔습니다.
재무부는 이들 개인과 회사가 민주콩고에서 일어난 폭력과 인권 침해에 연루돼 있다며 “이번 조처는 르완다가 앙골라가 주도하는 ‘루안다 프로세스’에 따라 협상에 복귀해 민주콩고 동부 분쟁을 해결해야 할 필요성을 강조한다”고 덧붙였습니다.
이에 대해 욜란데 마콜로 르완다 정부 대변인은 “근거 없는 부당한 제재”라며 “국제 사회는 정치적 해결을 위한 지역의 노력을 훼손하지 않도록 지원해야 한다”고 반박했습니다.
르완다의 지원을 받는 것으로 의심받는 M23은 지난달 27일부터 29일까지 진행한 대규모 공세로 인구 200만의 동부 최대 도시인 고마를 장악한 데 이어 지난 16일 동부 제2의 도시인 남키부주 주도 부카부도 점령했습니다.
부카부까지 함락되면서 북키부주와 남키부주의 상당 부분을 장악한 M23은 키부호수를 따라 민주콩고 동부와 르완다 사이의 모든 국경을 포함해 2021년 무장 공격 재개 이후 최대 영역을 통제하게 됐습니다.
민주콩고는 M23의 배후로 인접한 르완다를 지목하고 유엔과 서방 국가 등 국제사회도 이에 동의하지만 르완다는 이를 부인하고 있습니다.
유엔은 르완다가 M23을 효과적으로 통제하고 있으며 최소 4천명의 병력이 반군과 함께 싸우는 것으로 파악하고 있습니다.
유엔과 민주콩고 정부 등에 따르면 최근 고마에서 벌어진 정부군과 반군의 교전으로 3천명 가까이 숨진 것으로 추정됩니다.
특히 부카부 함락 이후 민주콩고에서 약 3만명이 국경을 넘어 인접국 부룬디에 25년 만에 최대 규모로 피란했다고 유엔난민기구는 전했습니다.
[사진 출처 : AFP=연합뉴스]
미 재무부는 20일 성명에서 제임스 카바레베 르완다 지역통합부 장관이 민주콩고 투치족 반군 M23에 대한 르완다군의 지원을 조율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이어 M23이 포함된 반정부 무장단체 콩고강동맹(AFC)의 로렌스 카누카 킹스턴 대변인과 그가 영국과 프랑스에서 운영하는 두 회사도 제재 대상에 추가됐다고 밝혔습니다.
재무부는 이들 개인과 회사가 민주콩고에서 일어난 폭력과 인권 침해에 연루돼 있다며 “이번 조처는 르완다가 앙골라가 주도하는 ‘루안다 프로세스’에 따라 협상에 복귀해 민주콩고 동부 분쟁을 해결해야 할 필요성을 강조한다”고 덧붙였습니다.
이에 대해 욜란데 마콜로 르완다 정부 대변인은 “근거 없는 부당한 제재”라며 “국제 사회는 정치적 해결을 위한 지역의 노력을 훼손하지 않도록 지원해야 한다”고 반박했습니다.
르완다의 지원을 받는 것으로 의심받는 M23은 지난달 27일부터 29일까지 진행한 대규모 공세로 인구 200만의 동부 최대 도시인 고마를 장악한 데 이어 지난 16일 동부 제2의 도시인 남키부주 주도 부카부도 점령했습니다.
부카부까지 함락되면서 북키부주와 남키부주의 상당 부분을 장악한 M23은 키부호수를 따라 민주콩고 동부와 르완다 사이의 모든 국경을 포함해 2021년 무장 공격 재개 이후 최대 영역을 통제하게 됐습니다.
민주콩고는 M23의 배후로 인접한 르완다를 지목하고 유엔과 서방 국가 등 국제사회도 이에 동의하지만 르완다는 이를 부인하고 있습니다.
유엔은 르완다가 M23을 효과적으로 통제하고 있으며 최소 4천명의 병력이 반군과 함께 싸우는 것으로 파악하고 있습니다.
유엔과 민주콩고 정부 등에 따르면 최근 고마에서 벌어진 정부군과 반군의 교전으로 3천명 가까이 숨진 것으로 추정됩니다.
특히 부카부 함락 이후 민주콩고에서 약 3만명이 국경을 넘어 인접국 부룬디에 25년 만에 최대 규모로 피란했다고 유엔난민기구는 전했습니다.
[사진 출처 : AFP=연합뉴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