꽃다발도 중고 거래…사라진 졸업식 특수
입력 2025.02.21 (21:55)
수정 2025.02.24 (14:2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졸업식과 입학식이 이어지는 요즘.
꽃다발 수요가 늘고 있습니다.
그런데, 꽃값이 크게 오른 데다 꽃다발 중고 거래가 인기를 끌면서 화훼농가의 어려움이 커지고 있습니다.
보도에 서정윤 기자입니다.
[리포트]
졸업식이 열리는 대학교 앞.
꽃다발이 진열돼 있지만 정작 꽃을 사 가는 사람은 드뭅니다.
[김도현/부산시 해운대구 : "한번 쓰고 버리는 건데 이게 가격이 많이 올랐더라고요. 저번에 샀던 거보다. 그래서 조금은 부담이 있었습니다."]
비싼 생화 대신 조화나 비누 꽃 같은 대체품을 찾기도 합니다.
[졸업식 참석 가족 : "(생화는) 시들기도 하고 처리하기도 곤란하고 비누니까 향기도 날 것 같고."]
심지어 꽃다발 중고 거래가 성행하고 있습니다.
중고 거래 앱에는 한 번 쓴 꽃다발을 판다는 글이 수두룩합니다.
시중에서 사는 것보다 절반가량 돈으로 꽃다발을 구할 수 있습니다.
[최윤영·이동준/부산시 남구 : "오늘 사용하고 당근에 올릴 생각도 있습니다. 필요한 사람 있으면 그렇게 해서 저렴하게 팔면 좋은 것 같기도 하고요."]
이렇다 보니 1년 중 최대 대목인데도 화훼업계는 울상입니다.
생산비용은 오르는데 수요까지 줄어 '이중고'를 겪고 있습니다.
졸업식 꽃다발로 많이 쓰이는 이 장미의 한 단 가격은 만 8천 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3배 가까이 올랐습니다.
꽃다발에 쓰이는 '절화' 거래량은 올해 57만여 단으로, 2년 전보다 17%가 줄었습니다.
[김말순/꽃 도매상 : "인건비 비싸고 기름값 오르고 이러니까 물가는 오르고 자기들(농민들) 재배하는 물량도 좀 적고 아무래도 그래서 좀 꽃집들이 힘들어요."]
이제 졸업식 특수마저 사라진 화훼업계.
경기 불황에 소비 심리까지 위축되며 화훼업계의 시름은 더욱 깊어지고 있습니다.
KBS 뉴스 서정윤입니다.
촬영기자:윤동욱
졸업식과 입학식이 이어지는 요즘.
꽃다발 수요가 늘고 있습니다.
그런데, 꽃값이 크게 오른 데다 꽃다발 중고 거래가 인기를 끌면서 화훼농가의 어려움이 커지고 있습니다.
보도에 서정윤 기자입니다.
[리포트]
졸업식이 열리는 대학교 앞.
꽃다발이 진열돼 있지만 정작 꽃을 사 가는 사람은 드뭅니다.
[김도현/부산시 해운대구 : "한번 쓰고 버리는 건데 이게 가격이 많이 올랐더라고요. 저번에 샀던 거보다. 그래서 조금은 부담이 있었습니다."]
비싼 생화 대신 조화나 비누 꽃 같은 대체품을 찾기도 합니다.
[졸업식 참석 가족 : "(생화는) 시들기도 하고 처리하기도 곤란하고 비누니까 향기도 날 것 같고."]
심지어 꽃다발 중고 거래가 성행하고 있습니다.
중고 거래 앱에는 한 번 쓴 꽃다발을 판다는 글이 수두룩합니다.
시중에서 사는 것보다 절반가량 돈으로 꽃다발을 구할 수 있습니다.
[최윤영·이동준/부산시 남구 : "오늘 사용하고 당근에 올릴 생각도 있습니다. 필요한 사람 있으면 그렇게 해서 저렴하게 팔면 좋은 것 같기도 하고요."]
이렇다 보니 1년 중 최대 대목인데도 화훼업계는 울상입니다.
생산비용은 오르는데 수요까지 줄어 '이중고'를 겪고 있습니다.
졸업식 꽃다발로 많이 쓰이는 이 장미의 한 단 가격은 만 8천 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3배 가까이 올랐습니다.
꽃다발에 쓰이는 '절화' 거래량은 올해 57만여 단으로, 2년 전보다 17%가 줄었습니다.
[김말순/꽃 도매상 : "인건비 비싸고 기름값 오르고 이러니까 물가는 오르고 자기들(농민들) 재배하는 물량도 좀 적고 아무래도 그래서 좀 꽃집들이 힘들어요."]
이제 졸업식 특수마저 사라진 화훼업계.
경기 불황에 소비 심리까지 위축되며 화훼업계의 시름은 더욱 깊어지고 있습니다.
KBS 뉴스 서정윤입니다.
촬영기자:윤동욱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꽃다발도 중고 거래…사라진 졸업식 특수
-
- 입력 2025-02-21 21:55:15
- 수정2025-02-24 14:21:15

[앵커]
졸업식과 입학식이 이어지는 요즘.
꽃다발 수요가 늘고 있습니다.
그런데, 꽃값이 크게 오른 데다 꽃다발 중고 거래가 인기를 끌면서 화훼농가의 어려움이 커지고 있습니다.
보도에 서정윤 기자입니다.
[리포트]
졸업식이 열리는 대학교 앞.
꽃다발이 진열돼 있지만 정작 꽃을 사 가는 사람은 드뭅니다.
[김도현/부산시 해운대구 : "한번 쓰고 버리는 건데 이게 가격이 많이 올랐더라고요. 저번에 샀던 거보다. 그래서 조금은 부담이 있었습니다."]
비싼 생화 대신 조화나 비누 꽃 같은 대체품을 찾기도 합니다.
[졸업식 참석 가족 : "(생화는) 시들기도 하고 처리하기도 곤란하고 비누니까 향기도 날 것 같고."]
심지어 꽃다발 중고 거래가 성행하고 있습니다.
중고 거래 앱에는 한 번 쓴 꽃다발을 판다는 글이 수두룩합니다.
시중에서 사는 것보다 절반가량 돈으로 꽃다발을 구할 수 있습니다.
[최윤영·이동준/부산시 남구 : "오늘 사용하고 당근에 올릴 생각도 있습니다. 필요한 사람 있으면 그렇게 해서 저렴하게 팔면 좋은 것 같기도 하고요."]
이렇다 보니 1년 중 최대 대목인데도 화훼업계는 울상입니다.
생산비용은 오르는데 수요까지 줄어 '이중고'를 겪고 있습니다.
졸업식 꽃다발로 많이 쓰이는 이 장미의 한 단 가격은 만 8천 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3배 가까이 올랐습니다.
꽃다발에 쓰이는 '절화' 거래량은 올해 57만여 단으로, 2년 전보다 17%가 줄었습니다.
[김말순/꽃 도매상 : "인건비 비싸고 기름값 오르고 이러니까 물가는 오르고 자기들(농민들) 재배하는 물량도 좀 적고 아무래도 그래서 좀 꽃집들이 힘들어요."]
이제 졸업식 특수마저 사라진 화훼업계.
경기 불황에 소비 심리까지 위축되며 화훼업계의 시름은 더욱 깊어지고 있습니다.
KBS 뉴스 서정윤입니다.
촬영기자:윤동욱
졸업식과 입학식이 이어지는 요즘.
꽃다발 수요가 늘고 있습니다.
그런데, 꽃값이 크게 오른 데다 꽃다발 중고 거래가 인기를 끌면서 화훼농가의 어려움이 커지고 있습니다.
보도에 서정윤 기자입니다.
[리포트]
졸업식이 열리는 대학교 앞.
꽃다발이 진열돼 있지만 정작 꽃을 사 가는 사람은 드뭅니다.
[김도현/부산시 해운대구 : "한번 쓰고 버리는 건데 이게 가격이 많이 올랐더라고요. 저번에 샀던 거보다. 그래서 조금은 부담이 있었습니다."]
비싼 생화 대신 조화나 비누 꽃 같은 대체품을 찾기도 합니다.
[졸업식 참석 가족 : "(생화는) 시들기도 하고 처리하기도 곤란하고 비누니까 향기도 날 것 같고."]
심지어 꽃다발 중고 거래가 성행하고 있습니다.
중고 거래 앱에는 한 번 쓴 꽃다발을 판다는 글이 수두룩합니다.
시중에서 사는 것보다 절반가량 돈으로 꽃다발을 구할 수 있습니다.
[최윤영·이동준/부산시 남구 : "오늘 사용하고 당근에 올릴 생각도 있습니다. 필요한 사람 있으면 그렇게 해서 저렴하게 팔면 좋은 것 같기도 하고요."]
이렇다 보니 1년 중 최대 대목인데도 화훼업계는 울상입니다.
생산비용은 오르는데 수요까지 줄어 '이중고'를 겪고 있습니다.
졸업식 꽃다발로 많이 쓰이는 이 장미의 한 단 가격은 만 8천 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3배 가까이 올랐습니다.
꽃다발에 쓰이는 '절화' 거래량은 올해 57만여 단으로, 2년 전보다 17%가 줄었습니다.
[김말순/꽃 도매상 : "인건비 비싸고 기름값 오르고 이러니까 물가는 오르고 자기들(농민들) 재배하는 물량도 좀 적고 아무래도 그래서 좀 꽃집들이 힘들어요."]
이제 졸업식 특수마저 사라진 화훼업계.
경기 불황에 소비 심리까지 위축되며 화훼업계의 시름은 더욱 깊어지고 있습니다.
KBS 뉴스 서정윤입니다.
촬영기자:윤동욱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