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연구진 “신종 박쥐 코로나바이러스 발견…동물→사람으로 전파 가능”

입력 2025.02.22 (16:33) 수정 2025.02.22 (16:3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국 연구진이 사람에게 전파될 가능성이 있는 ‘신종 박쥐 코로나바이러스’를 발견했다고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가 오늘(21일) 보도했습니다.

이 신문 보도에 따르면 중국과학원 우한바이러스연구소 연구원들은 지난 18일 생명 분야 권위지인 ‘셀’(Cell)에 게재한 논문을 통해 새로운 코로나바이러스(HKU5-CoV-2)를 발견했다고 밝혔습니다.

‘신종 박쥐 코로나바이러스’는 코로나19를 유발하는 바이러스(Sars-CoV-2)와 마찬가지로 인간 수용체를 통해 침투할 수 있어 동물에서 사람으로 전파될 위험이 있습니다.

‘신종 박쥐 코로나바이러스’는 지난 2012년부터 지난해 5월까지 전 세계에서 환자 2,600여 명의 감염이 확인됐고 전체 감염자의 36%가 사망한 중동호흡기증후군, 일명 메르스(MERS)을 일으키는 코로나바이러스 계열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중국 연구진은 다만, 코로나19 바이러스처럼 인간 세포에 쉽게 침투하지는 못한다고 설명했습니다.

연구진은 “인간에게서 검출된 것이 아니라 실험실에서 확인된 것일 뿐”이라고 전하면서 “인간 집단에서 출현할 위험이 과장돼선 안 된다”고 경고했습니다.

연구진이 속한 우한바이러스연구소는 코로나19 발원설로도 잘 알려진 곳입니다.

이 곳은 코로나 팬데믹을 낳은 바이러스가 이 연구소의 실험실에서 유출됐다고 알려졌습니다.

연구를 주도한 스정리 박사는 중국에서 ‘배트우먼’(batwoman)이라 불릴 정도로 박쥐 바이러스의 권위자로 알려져 있습니다.

관련 보도가 나온 날 모더나(6.6%), 노바백스(7.8%), 화이자(2.6%) 등 일부 백신 제조업체의 주가가 상승했다고 블룸버그통신은 22일 전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셀(Cell) 홈페이지 캡처]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中 연구진 “신종 박쥐 코로나바이러스 발견…동물→사람으로 전파 가능”
    • 입력 2025-02-22 16:33:43
    • 수정2025-02-22 16:36:50
    국제
중국 연구진이 사람에게 전파될 가능성이 있는 ‘신종 박쥐 코로나바이러스’를 발견했다고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가 오늘(21일) 보도했습니다.

이 신문 보도에 따르면 중국과학원 우한바이러스연구소 연구원들은 지난 18일 생명 분야 권위지인 ‘셀’(Cell)에 게재한 논문을 통해 새로운 코로나바이러스(HKU5-CoV-2)를 발견했다고 밝혔습니다.

‘신종 박쥐 코로나바이러스’는 코로나19를 유발하는 바이러스(Sars-CoV-2)와 마찬가지로 인간 수용체를 통해 침투할 수 있어 동물에서 사람으로 전파될 위험이 있습니다.

‘신종 박쥐 코로나바이러스’는 지난 2012년부터 지난해 5월까지 전 세계에서 환자 2,600여 명의 감염이 확인됐고 전체 감염자의 36%가 사망한 중동호흡기증후군, 일명 메르스(MERS)을 일으키는 코로나바이러스 계열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중국 연구진은 다만, 코로나19 바이러스처럼 인간 세포에 쉽게 침투하지는 못한다고 설명했습니다.

연구진은 “인간에게서 검출된 것이 아니라 실험실에서 확인된 것일 뿐”이라고 전하면서 “인간 집단에서 출현할 위험이 과장돼선 안 된다”고 경고했습니다.

연구진이 속한 우한바이러스연구소는 코로나19 발원설로도 잘 알려진 곳입니다.

이 곳은 코로나 팬데믹을 낳은 바이러스가 이 연구소의 실험실에서 유출됐다고 알려졌습니다.

연구를 주도한 스정리 박사는 중국에서 ‘배트우먼’(batwoman)이라 불릴 정도로 박쥐 바이러스의 권위자로 알려져 있습니다.

관련 보도가 나온 날 모더나(6.6%), 노바백스(7.8%), 화이자(2.6%) 등 일부 백신 제조업체의 주가가 상승했다고 블룸버그통신은 22일 전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셀(Cell) 홈페이지 캡처]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