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이완도 ‘초고령사회’ 진입 예정…“노동인구 해마다 감소”
입력 2025.02.23 (17:17)
수정 2025.02.23 (17:18)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저출산의 여파로 타이완 노동인구가 해마다 20만 명씩 감소할 거라는 전망이 나왔습니다.
자유시보 등 타이완 언론은 오늘(23일) 타이완 국가발전위원회의 최신 인구 추정 보고서를 인용해, 올해 타이완이 65세 이상 인구가 전체의 20% 이상을 차지하는 초고령사회로 진입할 거라며 이같이 밝혔습니다.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타이완의 신생아 수는 13만 4천여 명으로, 지난 2016년 이후 9년 연속 감소했고 2040년 이후에는 10만 명 이하로 떨어질 거로 분석됐습니다.
특히 타이완 인구 가운데 가장 많은 50~60대의 법적 퇴직 연령이 다가오고 있어, 15~64세 노동인구는 2040년쯤이면 1천317만 명으로 줄어들 것으로 추산됐습니다.
반면 65세 이상 고령 인구는 2016년 3백만 명을 넘어선 이후 해마다 늘어 지난해에는 450만 명을 기록했습니다.
같은 기간 고령 인구의 노동 참여율은 2016년 8.6%에서 지난해 말 9.9%로 소폭 상승하는 데 그쳤습니다.
타이완의 합계출산율은 지난 2023년 0.87명에서 지난해 0.86명으로 떨어졌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자유시보 등 타이완 언론은 오늘(23일) 타이완 국가발전위원회의 최신 인구 추정 보고서를 인용해, 올해 타이완이 65세 이상 인구가 전체의 20% 이상을 차지하는 초고령사회로 진입할 거라며 이같이 밝혔습니다.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타이완의 신생아 수는 13만 4천여 명으로, 지난 2016년 이후 9년 연속 감소했고 2040년 이후에는 10만 명 이하로 떨어질 거로 분석됐습니다.
특히 타이완 인구 가운데 가장 많은 50~60대의 법적 퇴직 연령이 다가오고 있어, 15~64세 노동인구는 2040년쯤이면 1천317만 명으로 줄어들 것으로 추산됐습니다.
반면 65세 이상 고령 인구는 2016년 3백만 명을 넘어선 이후 해마다 늘어 지난해에는 450만 명을 기록했습니다.
같은 기간 고령 인구의 노동 참여율은 2016년 8.6%에서 지난해 말 9.9%로 소폭 상승하는 데 그쳤습니다.
타이완의 합계출산율은 지난 2023년 0.87명에서 지난해 0.86명으로 떨어졌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타이완도 ‘초고령사회’ 진입 예정…“노동인구 해마다 감소”
-
- 입력 2025-02-23 17:17:44
- 수정2025-02-23 17:18:55

저출산의 여파로 타이완 노동인구가 해마다 20만 명씩 감소할 거라는 전망이 나왔습니다.
자유시보 등 타이완 언론은 오늘(23일) 타이완 국가발전위원회의 최신 인구 추정 보고서를 인용해, 올해 타이완이 65세 이상 인구가 전체의 20% 이상을 차지하는 초고령사회로 진입할 거라며 이같이 밝혔습니다.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타이완의 신생아 수는 13만 4천여 명으로, 지난 2016년 이후 9년 연속 감소했고 2040년 이후에는 10만 명 이하로 떨어질 거로 분석됐습니다.
특히 타이완 인구 가운데 가장 많은 50~60대의 법적 퇴직 연령이 다가오고 있어, 15~64세 노동인구는 2040년쯤이면 1천317만 명으로 줄어들 것으로 추산됐습니다.
반면 65세 이상 고령 인구는 2016년 3백만 명을 넘어선 이후 해마다 늘어 지난해에는 450만 명을 기록했습니다.
같은 기간 고령 인구의 노동 참여율은 2016년 8.6%에서 지난해 말 9.9%로 소폭 상승하는 데 그쳤습니다.
타이완의 합계출산율은 지난 2023년 0.87명에서 지난해 0.86명으로 떨어졌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자유시보 등 타이완 언론은 오늘(23일) 타이완 국가발전위원회의 최신 인구 추정 보고서를 인용해, 올해 타이완이 65세 이상 인구가 전체의 20% 이상을 차지하는 초고령사회로 진입할 거라며 이같이 밝혔습니다.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타이완의 신생아 수는 13만 4천여 명으로, 지난 2016년 이후 9년 연속 감소했고 2040년 이후에는 10만 명 이하로 떨어질 거로 분석됐습니다.
특히 타이완 인구 가운데 가장 많은 50~60대의 법적 퇴직 연령이 다가오고 있어, 15~64세 노동인구는 2040년쯤이면 1천317만 명으로 줄어들 것으로 추산됐습니다.
반면 65세 이상 고령 인구는 2016년 3백만 명을 넘어선 이후 해마다 늘어 지난해에는 450만 명을 기록했습니다.
같은 기간 고령 인구의 노동 참여율은 2016년 8.6%에서 지난해 말 9.9%로 소폭 상승하는 데 그쳤습니다.
타이완의 합계출산율은 지난 2023년 0.87명에서 지난해 0.86명으로 떨어졌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
조태흠 기자 jotem@kbs.co.kr
조태흠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