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반도체 기술 중국에 추월”…2년 만에 전문가 평가 뒤집혀
입력 2025.02.23 (18:09)
수정 2025.02.23 (19:1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의 반도체 기술 수준이 2년 만에 중국에 대부분 추월당했다는 전문가 설문 결과가 나왔습니다.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의 ‘3대 게임체인저 분야 기술 수준 심층분석’을 보면, 국내 전문가 39명 대상 설문조사 결과 지난해 기준 한국의 반도체 분야 기술 기초역량은 모든 분야에서 중국에 뒤지는 것으로 평가됐습니다.
최고 기술 선도국을 100%로 놓고, 고집적·저항기반 메모리 기술 분야는 한국이 90.9%로 중국의 94.1%보다 낮은 2위였고, 고성능·저전력 인공지능 반도체 기술도 한국이 84.1%로 중국의 88.3%보다 낮았습니다.
전력반도체는 한국이 67.5%, 중국이 79.8%, 차세대 고성능 센싱기술도 한국 81.3%, 중국 83.9%로 나타났습니다.
반도체 첨단 패키징 기술은 한국과 중국이 74.2%로 같았습니다.
기술 수준을 사업화 관점에서 평가했을 때 한국은 고집적·저항기반 메모리기술과 반도체·첨단패키징기술에서만 중국을 앞섰습니다.
이번 설문 참여 전문가들은 지난 2022년 진행된 기술 수준 평가에 참여했습니다.
2022년 설문 당시 ‘고집적·저항기반 메모리기술’과 ‘반도체 첨단 패키징기술’, ‘차세대 고성능 센싱기술’ 등은 중국보다 앞서있는 것으로 평가됐습니다.
한국의 반도체 기술 수준에 영향을 미칠 미래 이슈로는 핵심 인력 유출, 인공지능(AI) 반도체 기술, 미·중 견제, 자국 중심 정책, 공급망 현지화 등이 꼽혔습니다.
보고서는 한국 반도체 시장이 일본과 중국의 부상, 미국의 제재 등으로 불확실성이 존재하고,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과 국내 연구개발(R&D) 작은 투자규모로 인해 전망이 밝지 않다고 지적했습니다.
또, 첨단 반도체 제조 기술력 확보, 시스템반도체 분야 생태계 확대, 핵심인재 양성과 기존 인재 유출 방지 등이 필요하다고 분석했습니다.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의 ‘3대 게임체인저 분야 기술 수준 심층분석’을 보면, 국내 전문가 39명 대상 설문조사 결과 지난해 기준 한국의 반도체 분야 기술 기초역량은 모든 분야에서 중국에 뒤지는 것으로 평가됐습니다.
최고 기술 선도국을 100%로 놓고, 고집적·저항기반 메모리 기술 분야는 한국이 90.9%로 중국의 94.1%보다 낮은 2위였고, 고성능·저전력 인공지능 반도체 기술도 한국이 84.1%로 중국의 88.3%보다 낮았습니다.
전력반도체는 한국이 67.5%, 중국이 79.8%, 차세대 고성능 센싱기술도 한국 81.3%, 중국 83.9%로 나타났습니다.
반도체 첨단 패키징 기술은 한국과 중국이 74.2%로 같았습니다.
기술 수준을 사업화 관점에서 평가했을 때 한국은 고집적·저항기반 메모리기술과 반도체·첨단패키징기술에서만 중국을 앞섰습니다.
이번 설문 참여 전문가들은 지난 2022년 진행된 기술 수준 평가에 참여했습니다.
2022년 설문 당시 ‘고집적·저항기반 메모리기술’과 ‘반도체 첨단 패키징기술’, ‘차세대 고성능 센싱기술’ 등은 중국보다 앞서있는 것으로 평가됐습니다.
한국의 반도체 기술 수준에 영향을 미칠 미래 이슈로는 핵심 인력 유출, 인공지능(AI) 반도체 기술, 미·중 견제, 자국 중심 정책, 공급망 현지화 등이 꼽혔습니다.
보고서는 한국 반도체 시장이 일본과 중국의 부상, 미국의 제재 등으로 불확실성이 존재하고,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과 국내 연구개발(R&D) 작은 투자규모로 인해 전망이 밝지 않다고 지적했습니다.
또, 첨단 반도체 제조 기술력 확보, 시스템반도체 분야 생태계 확대, 핵심인재 양성과 기존 인재 유출 방지 등이 필요하다고 분석했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한국 반도체 기술 중국에 추월”…2년 만에 전문가 평가 뒤집혀
-
- 입력 2025-02-23 18:09:18
- 수정2025-02-23 19:15:22

한국의 반도체 기술 수준이 2년 만에 중국에 대부분 추월당했다는 전문가 설문 결과가 나왔습니다.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의 ‘3대 게임체인저 분야 기술 수준 심층분석’을 보면, 국내 전문가 39명 대상 설문조사 결과 지난해 기준 한국의 반도체 분야 기술 기초역량은 모든 분야에서 중국에 뒤지는 것으로 평가됐습니다.
최고 기술 선도국을 100%로 놓고, 고집적·저항기반 메모리 기술 분야는 한국이 90.9%로 중국의 94.1%보다 낮은 2위였고, 고성능·저전력 인공지능 반도체 기술도 한국이 84.1%로 중국의 88.3%보다 낮았습니다.
전력반도체는 한국이 67.5%, 중국이 79.8%, 차세대 고성능 센싱기술도 한국 81.3%, 중국 83.9%로 나타났습니다.
반도체 첨단 패키징 기술은 한국과 중국이 74.2%로 같았습니다.
기술 수준을 사업화 관점에서 평가했을 때 한국은 고집적·저항기반 메모리기술과 반도체·첨단패키징기술에서만 중국을 앞섰습니다.
이번 설문 참여 전문가들은 지난 2022년 진행된 기술 수준 평가에 참여했습니다.
2022년 설문 당시 ‘고집적·저항기반 메모리기술’과 ‘반도체 첨단 패키징기술’, ‘차세대 고성능 센싱기술’ 등은 중국보다 앞서있는 것으로 평가됐습니다.
한국의 반도체 기술 수준에 영향을 미칠 미래 이슈로는 핵심 인력 유출, 인공지능(AI) 반도체 기술, 미·중 견제, 자국 중심 정책, 공급망 현지화 등이 꼽혔습니다.
보고서는 한국 반도체 시장이 일본과 중국의 부상, 미국의 제재 등으로 불확실성이 존재하고,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과 국내 연구개발(R&D) 작은 투자규모로 인해 전망이 밝지 않다고 지적했습니다.
또, 첨단 반도체 제조 기술력 확보, 시스템반도체 분야 생태계 확대, 핵심인재 양성과 기존 인재 유출 방지 등이 필요하다고 분석했습니다.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의 ‘3대 게임체인저 분야 기술 수준 심층분석’을 보면, 국내 전문가 39명 대상 설문조사 결과 지난해 기준 한국의 반도체 분야 기술 기초역량은 모든 분야에서 중국에 뒤지는 것으로 평가됐습니다.
최고 기술 선도국을 100%로 놓고, 고집적·저항기반 메모리 기술 분야는 한국이 90.9%로 중국의 94.1%보다 낮은 2위였고, 고성능·저전력 인공지능 반도체 기술도 한국이 84.1%로 중국의 88.3%보다 낮았습니다.
전력반도체는 한국이 67.5%, 중국이 79.8%, 차세대 고성능 센싱기술도 한국 81.3%, 중국 83.9%로 나타났습니다.
반도체 첨단 패키징 기술은 한국과 중국이 74.2%로 같았습니다.
기술 수준을 사업화 관점에서 평가했을 때 한국은 고집적·저항기반 메모리기술과 반도체·첨단패키징기술에서만 중국을 앞섰습니다.
이번 설문 참여 전문가들은 지난 2022년 진행된 기술 수준 평가에 참여했습니다.
2022년 설문 당시 ‘고집적·저항기반 메모리기술’과 ‘반도체 첨단 패키징기술’, ‘차세대 고성능 센싱기술’ 등은 중국보다 앞서있는 것으로 평가됐습니다.
한국의 반도체 기술 수준에 영향을 미칠 미래 이슈로는 핵심 인력 유출, 인공지능(AI) 반도체 기술, 미·중 견제, 자국 중심 정책, 공급망 현지화 등이 꼽혔습니다.
보고서는 한국 반도체 시장이 일본과 중국의 부상, 미국의 제재 등으로 불확실성이 존재하고,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과 국내 연구개발(R&D) 작은 투자규모로 인해 전망이 밝지 않다고 지적했습니다.
또, 첨단 반도체 제조 기술력 확보, 시스템반도체 분야 생태계 확대, 핵심인재 양성과 기존 인재 유출 방지 등이 필요하다고 분석했습니다.
-
-
임재성 기자 newsism@kbs.co.kr
임재성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