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스라엘 탱크, 요르단강 서안 진입…23년 만에 처음
입력 2025.02.24 (03:10)
수정 2025.02.24 (07:2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이스라엘군 탱크가 23년 만에 처음으로 요르단강 서안에 진입했습니다.
AP통신에 따르면 23일(현지시간) 이스라엘에 대항하는 팔레스타인측 무장 투쟁의 거점인 서안 북부 제닌 지역에 탱크 몇 대가 이동하는 것이 목격됐습니다.
이 지역에 탱크가 배치된 것은 이스라엘군이 팔레스타인 봉기에 맞섰던 2002년이 마지막이었다고 통신은 전했습니다.
이스라엘 카츠 이스라엘 국방장관은 서안의 모든 난민 캠프에서 "테러를 막기 위해 활동 강도를 높이라"고 군에 명령했습니다.
또 서안 일부 난민 캠프에서 "내년까지 장기 주둔에 대비하라"고 지시하기도 했다고 AP통신은 덧붙였습니다.
이스라엘은 지난달 19일 가자지구에서 팔레스타인 무장정파 하마스와 휴전한 뒤 팔레스타인 무장정파 제거를 명분으로 서안 곳곳에서 군사작전을 벌이고 있습니다.
이로 인해 제닌, 툴카렘, 투바스 인근 등 서안 북부지역 3곳에서만 팔레스타인 주민 수천 명이 집을 떠나는 등 약 4만 명이 피란길에 올랐다고 유엔은 전했습니다.
이스라엘이 서안을 점령한 1967년 이후 가장 많은 수의 피란민이 발생한 것입니다.
서안은 국제법상 팔레스타인 자치정부(PA)가 행정권을 가진 땅이지만, 이스라엘이 1967년 3차 중동전쟁에서 승리한 후 점령하고 있습니다.
이후 유대인 정착촌을 건설해 이스라엘인 50만 명이 서안으로 이주한 상태입니다.
[사진 출처 : AP=연합뉴스]
AP통신에 따르면 23일(현지시간) 이스라엘에 대항하는 팔레스타인측 무장 투쟁의 거점인 서안 북부 제닌 지역에 탱크 몇 대가 이동하는 것이 목격됐습니다.
이 지역에 탱크가 배치된 것은 이스라엘군이 팔레스타인 봉기에 맞섰던 2002년이 마지막이었다고 통신은 전했습니다.
이스라엘 카츠 이스라엘 국방장관은 서안의 모든 난민 캠프에서 "테러를 막기 위해 활동 강도를 높이라"고 군에 명령했습니다.
또 서안 일부 난민 캠프에서 "내년까지 장기 주둔에 대비하라"고 지시하기도 했다고 AP통신은 덧붙였습니다.
이스라엘은 지난달 19일 가자지구에서 팔레스타인 무장정파 하마스와 휴전한 뒤 팔레스타인 무장정파 제거를 명분으로 서안 곳곳에서 군사작전을 벌이고 있습니다.
이로 인해 제닌, 툴카렘, 투바스 인근 등 서안 북부지역 3곳에서만 팔레스타인 주민 수천 명이 집을 떠나는 등 약 4만 명이 피란길에 올랐다고 유엔은 전했습니다.
이스라엘이 서안을 점령한 1967년 이후 가장 많은 수의 피란민이 발생한 것입니다.
서안은 국제법상 팔레스타인 자치정부(PA)가 행정권을 가진 땅이지만, 이스라엘이 1967년 3차 중동전쟁에서 승리한 후 점령하고 있습니다.
이후 유대인 정착촌을 건설해 이스라엘인 50만 명이 서안으로 이주한 상태입니다.
[사진 출처 : AP=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이스라엘 탱크, 요르단강 서안 진입…23년 만에 처음
-
- 입력 2025-02-24 03:10:09
- 수정2025-02-24 07:25:51

이스라엘군 탱크가 23년 만에 처음으로 요르단강 서안에 진입했습니다.
AP통신에 따르면 23일(현지시간) 이스라엘에 대항하는 팔레스타인측 무장 투쟁의 거점인 서안 북부 제닌 지역에 탱크 몇 대가 이동하는 것이 목격됐습니다.
이 지역에 탱크가 배치된 것은 이스라엘군이 팔레스타인 봉기에 맞섰던 2002년이 마지막이었다고 통신은 전했습니다.
이스라엘 카츠 이스라엘 국방장관은 서안의 모든 난민 캠프에서 "테러를 막기 위해 활동 강도를 높이라"고 군에 명령했습니다.
또 서안 일부 난민 캠프에서 "내년까지 장기 주둔에 대비하라"고 지시하기도 했다고 AP통신은 덧붙였습니다.
이스라엘은 지난달 19일 가자지구에서 팔레스타인 무장정파 하마스와 휴전한 뒤 팔레스타인 무장정파 제거를 명분으로 서안 곳곳에서 군사작전을 벌이고 있습니다.
이로 인해 제닌, 툴카렘, 투바스 인근 등 서안 북부지역 3곳에서만 팔레스타인 주민 수천 명이 집을 떠나는 등 약 4만 명이 피란길에 올랐다고 유엔은 전했습니다.
이스라엘이 서안을 점령한 1967년 이후 가장 많은 수의 피란민이 발생한 것입니다.
서안은 국제법상 팔레스타인 자치정부(PA)가 행정권을 가진 땅이지만, 이스라엘이 1967년 3차 중동전쟁에서 승리한 후 점령하고 있습니다.
이후 유대인 정착촌을 건설해 이스라엘인 50만 명이 서안으로 이주한 상태입니다.
[사진 출처 : AP=연합뉴스]
AP통신에 따르면 23일(현지시간) 이스라엘에 대항하는 팔레스타인측 무장 투쟁의 거점인 서안 북부 제닌 지역에 탱크 몇 대가 이동하는 것이 목격됐습니다.
이 지역에 탱크가 배치된 것은 이스라엘군이 팔레스타인 봉기에 맞섰던 2002년이 마지막이었다고 통신은 전했습니다.
이스라엘 카츠 이스라엘 국방장관은 서안의 모든 난민 캠프에서 "테러를 막기 위해 활동 강도를 높이라"고 군에 명령했습니다.
또 서안 일부 난민 캠프에서 "내년까지 장기 주둔에 대비하라"고 지시하기도 했다고 AP통신은 덧붙였습니다.
이스라엘은 지난달 19일 가자지구에서 팔레스타인 무장정파 하마스와 휴전한 뒤 팔레스타인 무장정파 제거를 명분으로 서안 곳곳에서 군사작전을 벌이고 있습니다.
이로 인해 제닌, 툴카렘, 투바스 인근 등 서안 북부지역 3곳에서만 팔레스타인 주민 수천 명이 집을 떠나는 등 약 4만 명이 피란길에 올랐다고 유엔은 전했습니다.
이스라엘이 서안을 점령한 1967년 이후 가장 많은 수의 피란민이 발생한 것입니다.
서안은 국제법상 팔레스타인 자치정부(PA)가 행정권을 가진 땅이지만, 이스라엘이 1967년 3차 중동전쟁에서 승리한 후 점령하고 있습니다.
이후 유대인 정착촌을 건설해 이스라엘인 50만 명이 서안으로 이주한 상태입니다.
[사진 출처 : AP=연합뉴스]
-
-
양민효 기자 gonggam@kbs.co.kr
양민효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