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성비에 기술력까지…중국 가전, 우리 거실 안착

입력 2025.02.24 (19:19) 수정 2025.02.24 (22:1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우리 대기업들의 견고한 텃밭이었던 국내 가전 시장에 변화가 감지되고 있습니다.

중국 가전 얘깁니다.

써보니 '가성비'뿐 아니라 '기술력'도 괜찮더라는 입소문을 타면서 속속 우리 거실에 안착 중입니다.

보도에 류란 기자입니다.

[리포트]

["청소를 재개합니다."]

맞벌이 가정인 김희정 씨 집에서 로봇 청소기는 없으면 안 될 존잽니다.

반려동물이 있어 청소에 깐깐한 편인데, 꽤 만족스럽습니다.

[김희정/서울시 영등포구 : "주변에 사용하는 친구들이 많기도 하고, 중국 제품들이 오히려 바닥을 눌러주는 힘이라든지 이런 것들이 더 좋다고 후기가 많아서 (구입했습니다)."]

공기청정기와 선풍기 같은 다른 가전도 조금씩 중국 제품이 늘었습니다.

[김희정/서울시 영등포구 : "초반에는 '중국 제품' 하면 사용이 좀 꺼려졌는데, (지금은) 바꾸고 싶은 생각은 없습니다."]

몇 년 사이 입소문을 타면서, 국내 로봇청소기 시장의 점유율 1, 3위는 중국산입니다.

둘을 합하면 점유율 60%를 넘는 걸로 가전 업계는 보고 있습니다.

가격이 싼 것도 아닙니다.

자동 세척 기능같이 국산 제품보다 한발 앞선 기술력을 내세우고 있습니다.

[성나리/경기도 성남시 : "국내산을 더 선호하는 편이긴 한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중국산) 제품이 잘 만들어져서 나온 것 같더라고요."]

TV 시장에선 '가성비 좋은 대형 TV'를 앞세운 중국 TCL이 파고들고 있습니다.

성능이 같은 75인치가 국산보다 백오십에서 이백만 원이 쌉니다.

[신윤섭/롯데하이마트 부점장 : "중국 브랜드라는 이미지 때문에 처음에는 조금 꺼림칙해하실 수 있지만, 스펙이라든지 가격을 들으면 구매하시는 경우가 많습니다."]

가능성을 확인한 중국 업체들은 본격적으로 우리 시장을 공략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최근 '딥시크' 사태 등으로 보안 문제가 대두되면서 중국산의 거실 점령이 계속될지 주목됩니다.

특히 로봇청소기와 홈카메라 등을 통한 개인정보 유출 논란이 끊이지 않고 있습니다.

KBS 뉴스 류란입니다.

촬영기자:고영민 정민욱/영상편집:박은주/그래픽:박미주/화면출처:ECOVACS ROBOTICS 유튜브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가성비에 기술력까지…중국 가전, 우리 거실 안착
    • 입력 2025-02-24 19:19:21
    • 수정2025-02-24 22:16:21
    뉴스 7
[앵커]

우리 대기업들의 견고한 텃밭이었던 국내 가전 시장에 변화가 감지되고 있습니다.

중국 가전 얘깁니다.

써보니 '가성비'뿐 아니라 '기술력'도 괜찮더라는 입소문을 타면서 속속 우리 거실에 안착 중입니다.

보도에 류란 기자입니다.

[리포트]

["청소를 재개합니다."]

맞벌이 가정인 김희정 씨 집에서 로봇 청소기는 없으면 안 될 존잽니다.

반려동물이 있어 청소에 깐깐한 편인데, 꽤 만족스럽습니다.

[김희정/서울시 영등포구 : "주변에 사용하는 친구들이 많기도 하고, 중국 제품들이 오히려 바닥을 눌러주는 힘이라든지 이런 것들이 더 좋다고 후기가 많아서 (구입했습니다)."]

공기청정기와 선풍기 같은 다른 가전도 조금씩 중국 제품이 늘었습니다.

[김희정/서울시 영등포구 : "초반에는 '중국 제품' 하면 사용이 좀 꺼려졌는데, (지금은) 바꾸고 싶은 생각은 없습니다."]

몇 년 사이 입소문을 타면서, 국내 로봇청소기 시장의 점유율 1, 3위는 중국산입니다.

둘을 합하면 점유율 60%를 넘는 걸로 가전 업계는 보고 있습니다.

가격이 싼 것도 아닙니다.

자동 세척 기능같이 국산 제품보다 한발 앞선 기술력을 내세우고 있습니다.

[성나리/경기도 성남시 : "국내산을 더 선호하는 편이긴 한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중국산) 제품이 잘 만들어져서 나온 것 같더라고요."]

TV 시장에선 '가성비 좋은 대형 TV'를 앞세운 중국 TCL이 파고들고 있습니다.

성능이 같은 75인치가 국산보다 백오십에서 이백만 원이 쌉니다.

[신윤섭/롯데하이마트 부점장 : "중국 브랜드라는 이미지 때문에 처음에는 조금 꺼림칙해하실 수 있지만, 스펙이라든지 가격을 들으면 구매하시는 경우가 많습니다."]

가능성을 확인한 중국 업체들은 본격적으로 우리 시장을 공략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최근 '딥시크' 사태 등으로 보안 문제가 대두되면서 중국산의 거실 점령이 계속될지 주목됩니다.

특히 로봇청소기와 홈카메라 등을 통한 개인정보 유출 논란이 끊이지 않고 있습니다.

KBS 뉴스 류란입니다.

촬영기자:고영민 정민욱/영상편집:박은주/그래픽:박미주/화면출처:ECOVACS ROBOTICS 유튜브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