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리도 시장원리 필요” 대출금리 인하 전방위 압박

입력 2025.02.24 (21:32) 수정 2025.02.24 (22:03)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최근 금융당국이 시중은행에 대출금리 인하를 압박하고 있습니다.

기준금리 인하에도 시장금리는 안 내리는 걸 문제 삼은 건데요.

내일(25일)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결정하는 시점과 묘하게 맞물립니다.

송수진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은행 주택담보대출의 요즘 금리를 검색해 봤습니다.

3%대 후반에서 5% 초·중반대.

지난해 연말 평균 4.4%대를 찍은 뒤 계속 그 수준입니다.

지난해 4분기 기준금리가 0.5%p 내린 효과가 사라진 겁니다.

정기예금 금리는 반대입니다.

최근 잇따라 내려 기준금리보다 더 낮은 2%대가 됐습니다.

[시중은행 관계자 : "(자금) 조달의 필요성이 있는 은행들은 예금 금리를 한동안 좀 고금리로 유지하고, 자금 조달의 수요가 없으면 (예금 금리가) 좀 내려가는 경향이…."]

기준금리에 따라 움직이는 지표금리에 가산금리를 더하고 우대금리를 빼면, 고객별 대출금리가 나옵니다.

이 가산금리와 우대금리에 금융당국이 칼을 빼 들었습니다.

금융감독원은 최근 시중은행에 공문을 보냈습니다.

2023년 1월 이후 매월, 가산금리와 우대금리를 얼마까지 어떤 사유로 적용해 왔는지를 다음 달 초까지 보고하라고 했습니다.

김병환 금융위원장도 "이제는 때가 됐다"며 공개적으로 압박했습니다.

[김병환/금융위원장 : "대출 금리도 가격이기 때문에 시장 원리는 작동해야 한다. 그런 측면에서 이제는 반영할 때가 된 것 같다는 생각을 가지고 있고."]

내일 한국은행은 올해 두 번째 기준금리 결정 회의를 엽니다.

기준금리가 내릴 경우 시장에 빨리 효과가 미치도록, 금융당국이 일종의 사전 정지 작업에 나선 모양새입니다.

KBS 뉴스 송수진입니다.

촬영기자:조창훈/영상편집:차정남/그래픽:이근희 박미주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금리도 시장원리 필요” 대출금리 인하 전방위 압박
    • 입력 2025-02-24 21:32:10
    • 수정2025-02-24 22:03:21
    뉴스 9
[앵커]

최근 금융당국이 시중은행에 대출금리 인하를 압박하고 있습니다.

기준금리 인하에도 시장금리는 안 내리는 걸 문제 삼은 건데요.

내일(25일)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결정하는 시점과 묘하게 맞물립니다.

송수진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은행 주택담보대출의 요즘 금리를 검색해 봤습니다.

3%대 후반에서 5% 초·중반대.

지난해 연말 평균 4.4%대를 찍은 뒤 계속 그 수준입니다.

지난해 4분기 기준금리가 0.5%p 내린 효과가 사라진 겁니다.

정기예금 금리는 반대입니다.

최근 잇따라 내려 기준금리보다 더 낮은 2%대가 됐습니다.

[시중은행 관계자 : "(자금) 조달의 필요성이 있는 은행들은 예금 금리를 한동안 좀 고금리로 유지하고, 자금 조달의 수요가 없으면 (예금 금리가) 좀 내려가는 경향이…."]

기준금리에 따라 움직이는 지표금리에 가산금리를 더하고 우대금리를 빼면, 고객별 대출금리가 나옵니다.

이 가산금리와 우대금리에 금융당국이 칼을 빼 들었습니다.

금융감독원은 최근 시중은행에 공문을 보냈습니다.

2023년 1월 이후 매월, 가산금리와 우대금리를 얼마까지 어떤 사유로 적용해 왔는지를 다음 달 초까지 보고하라고 했습니다.

김병환 금융위원장도 "이제는 때가 됐다"며 공개적으로 압박했습니다.

[김병환/금융위원장 : "대출 금리도 가격이기 때문에 시장 원리는 작동해야 한다. 그런 측면에서 이제는 반영할 때가 된 것 같다는 생각을 가지고 있고."]

내일 한국은행은 올해 두 번째 기준금리 결정 회의를 엽니다.

기준금리가 내릴 경우 시장에 빨리 효과가 미치도록, 금융당국이 일종의 사전 정지 작업에 나선 모양새입니다.

KBS 뉴스 송수진입니다.

촬영기자:조창훈/영상편집:차정남/그래픽:이근희 박미주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