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프랑스 정상회담…“우크라 몇 주내 종전 가능”
입력 2025.02.25 (15:18)
수정 2025.02.25 (15:5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과 만나 우크라이나 종전 협상 등에 대해 논의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몇 주 안에 종전이 가능하다면서 이르면 이번 주에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이 워싱턴에 방문할 거라고 밝혔습니다.
워싱턴 김지숙 특파원입니다.
[리포트]
서방 동맹의 균열 조짐 속에서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과 만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먼저, 몇 주 안에 우크라이나 전쟁을 끝낼 수 있다며 자신감을 드러냈습니다.
[도널드 트럼프/미국 대통령 : "우리가 몇 주라는 짧은 기간 동안 상당한 진전을 이루었다고 생각합니다. 우리가 현명하게 행동한다면, 몇 주 안에 우크라이나 전쟁을 끝낼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우크라이나에 유럽 평화유지군이 주둔하는걸 받아들일 거라는 겁니다.
이에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도 군대를 파견할 준비가 돼 있다며 동조했습니다.
[에마뉘엘 마크롱/프랑스 대통령 : "우리는 이 정보를 다른 유럽 국가들과 공유했습니다. 안보 보장을 제공할 준비가 되어 있고 기꺼이 그렇게 할 것입니다. 여기에는 아마도 군대 파병이 포함될 수 있습니다."]
그러면서 우크라이나에 압박해 온 '광물 협정'은 최종 합의에 가까이 와있다며 이르면 이번 주, 젤렌스키 대통령이 서명을 위해 미국에 올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
[도널드 트럼프/미국 대통령 : "젤렌스키 대통령은 이번 주나 다음 주에 협정에 서명하기 위해 올 수도 있습니다. 그렇게 된다면 좋을 것입니다. 젤렌스키 대통령을 백악관에서 만나기를 원합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회담에 앞서 자신의 SNS에 푸틴 대통령과 경제 개발 협력을 논의하고 있다고 알리기도 했습니다.
미·러 간 밀착 행보가 러시아의 침공에 면죄부를 줄 수 있다는 비판도 높아지고 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다만, 푸틴 대통령과의 만남에 대해선 적절한 시기에 모스크바를 방문할 수 있다면서도 5월 9일, 러시아 전승절에 맞춰 방문하는 건 조금 이른 거 같다고 선을 그었습니다.
워싱턴에서 KBS 뉴스 김지숙입니다.
영상편집:이인영 사명환/자료조사:박은진 김나영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과 만나 우크라이나 종전 협상 등에 대해 논의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몇 주 안에 종전이 가능하다면서 이르면 이번 주에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이 워싱턴에 방문할 거라고 밝혔습니다.
워싱턴 김지숙 특파원입니다.
[리포트]
서방 동맹의 균열 조짐 속에서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과 만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먼저, 몇 주 안에 우크라이나 전쟁을 끝낼 수 있다며 자신감을 드러냈습니다.
[도널드 트럼프/미국 대통령 : "우리가 몇 주라는 짧은 기간 동안 상당한 진전을 이루었다고 생각합니다. 우리가 현명하게 행동한다면, 몇 주 안에 우크라이나 전쟁을 끝낼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우크라이나에 유럽 평화유지군이 주둔하는걸 받아들일 거라는 겁니다.
이에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도 군대를 파견할 준비가 돼 있다며 동조했습니다.
[에마뉘엘 마크롱/프랑스 대통령 : "우리는 이 정보를 다른 유럽 국가들과 공유했습니다. 안보 보장을 제공할 준비가 되어 있고 기꺼이 그렇게 할 것입니다. 여기에는 아마도 군대 파병이 포함될 수 있습니다."]
그러면서 우크라이나에 압박해 온 '광물 협정'은 최종 합의에 가까이 와있다며 이르면 이번 주, 젤렌스키 대통령이 서명을 위해 미국에 올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
[도널드 트럼프/미국 대통령 : "젤렌스키 대통령은 이번 주나 다음 주에 협정에 서명하기 위해 올 수도 있습니다. 그렇게 된다면 좋을 것입니다. 젤렌스키 대통령을 백악관에서 만나기를 원합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회담에 앞서 자신의 SNS에 푸틴 대통령과 경제 개발 협력을 논의하고 있다고 알리기도 했습니다.
미·러 간 밀착 행보가 러시아의 침공에 면죄부를 줄 수 있다는 비판도 높아지고 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다만, 푸틴 대통령과의 만남에 대해선 적절한 시기에 모스크바를 방문할 수 있다면서도 5월 9일, 러시아 전승절에 맞춰 방문하는 건 조금 이른 거 같다고 선을 그었습니다.
워싱턴에서 KBS 뉴스 김지숙입니다.
영상편집:이인영 사명환/자료조사:박은진 김나영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미국-프랑스 정상회담…“우크라 몇 주내 종전 가능”
-
- 입력 2025-02-25 15:18:59
- 수정2025-02-25 15:51:51

[앵커]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과 만나 우크라이나 종전 협상 등에 대해 논의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몇 주 안에 종전이 가능하다면서 이르면 이번 주에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이 워싱턴에 방문할 거라고 밝혔습니다.
워싱턴 김지숙 특파원입니다.
[리포트]
서방 동맹의 균열 조짐 속에서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과 만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먼저, 몇 주 안에 우크라이나 전쟁을 끝낼 수 있다며 자신감을 드러냈습니다.
[도널드 트럼프/미국 대통령 : "우리가 몇 주라는 짧은 기간 동안 상당한 진전을 이루었다고 생각합니다. 우리가 현명하게 행동한다면, 몇 주 안에 우크라이나 전쟁을 끝낼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우크라이나에 유럽 평화유지군이 주둔하는걸 받아들일 거라는 겁니다.
이에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도 군대를 파견할 준비가 돼 있다며 동조했습니다.
[에마뉘엘 마크롱/프랑스 대통령 : "우리는 이 정보를 다른 유럽 국가들과 공유했습니다. 안보 보장을 제공할 준비가 되어 있고 기꺼이 그렇게 할 것입니다. 여기에는 아마도 군대 파병이 포함될 수 있습니다."]
그러면서 우크라이나에 압박해 온 '광물 협정'은 최종 합의에 가까이 와있다며 이르면 이번 주, 젤렌스키 대통령이 서명을 위해 미국에 올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
[도널드 트럼프/미국 대통령 : "젤렌스키 대통령은 이번 주나 다음 주에 협정에 서명하기 위해 올 수도 있습니다. 그렇게 된다면 좋을 것입니다. 젤렌스키 대통령을 백악관에서 만나기를 원합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회담에 앞서 자신의 SNS에 푸틴 대통령과 경제 개발 협력을 논의하고 있다고 알리기도 했습니다.
미·러 간 밀착 행보가 러시아의 침공에 면죄부를 줄 수 있다는 비판도 높아지고 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다만, 푸틴 대통령과의 만남에 대해선 적절한 시기에 모스크바를 방문할 수 있다면서도 5월 9일, 러시아 전승절에 맞춰 방문하는 건 조금 이른 거 같다고 선을 그었습니다.
워싱턴에서 KBS 뉴스 김지숙입니다.
영상편집:이인영 사명환/자료조사:박은진 김나영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과 만나 우크라이나 종전 협상 등에 대해 논의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몇 주 안에 종전이 가능하다면서 이르면 이번 주에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이 워싱턴에 방문할 거라고 밝혔습니다.
워싱턴 김지숙 특파원입니다.
[리포트]
서방 동맹의 균열 조짐 속에서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과 만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먼저, 몇 주 안에 우크라이나 전쟁을 끝낼 수 있다며 자신감을 드러냈습니다.
[도널드 트럼프/미국 대통령 : "우리가 몇 주라는 짧은 기간 동안 상당한 진전을 이루었다고 생각합니다. 우리가 현명하게 행동한다면, 몇 주 안에 우크라이나 전쟁을 끝낼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우크라이나에 유럽 평화유지군이 주둔하는걸 받아들일 거라는 겁니다.
이에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도 군대를 파견할 준비가 돼 있다며 동조했습니다.
[에마뉘엘 마크롱/프랑스 대통령 : "우리는 이 정보를 다른 유럽 국가들과 공유했습니다. 안보 보장을 제공할 준비가 되어 있고 기꺼이 그렇게 할 것입니다. 여기에는 아마도 군대 파병이 포함될 수 있습니다."]
그러면서 우크라이나에 압박해 온 '광물 협정'은 최종 합의에 가까이 와있다며 이르면 이번 주, 젤렌스키 대통령이 서명을 위해 미국에 올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
[도널드 트럼프/미국 대통령 : "젤렌스키 대통령은 이번 주나 다음 주에 협정에 서명하기 위해 올 수도 있습니다. 그렇게 된다면 좋을 것입니다. 젤렌스키 대통령을 백악관에서 만나기를 원합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회담에 앞서 자신의 SNS에 푸틴 대통령과 경제 개발 협력을 논의하고 있다고 알리기도 했습니다.
미·러 간 밀착 행보가 러시아의 침공에 면죄부를 줄 수 있다는 비판도 높아지고 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다만, 푸틴 대통령과의 만남에 대해선 적절한 시기에 모스크바를 방문할 수 있다면서도 5월 9일, 러시아 전승절에 맞춰 방문하는 건 조금 이른 거 같다고 선을 그었습니다.
워싱턴에서 KBS 뉴스 김지숙입니다.
영상편집:이인영 사명환/자료조사:박은진 김나영
-
-
김지숙 기자 jskim84@kbs.co.kr
김지숙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슈
러-우크라이나 전쟁 3년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