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초만 늦었다면 ‘아찔’…안성 고속도로 공사장 붕괴 10명 사상
입력 2025.02.25 (21:10)
수정 2025.02.25 (21:5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오늘(25일) 오전 세종 안성 고속도로 건설 현장에서 교량 구조물이 무너져 작업자 4명이 숨지고 6명이 다쳤습니다.
무너진 구조물들이 도로 위를 덮치면서, 자칫 더 큰 참사로 이어질 수도 있었습니다.
여소연 기자입니다.
[리포트]
교각을 짓고 있는 고속도로 건설 현장.
한 차량이 이곳을 지나친 뒤 5초도 채 지나지 않아 차량 뒤에서 교각 상판이 무너져 내립니다.
마치 폭격을 맞은 듯 주변이 순식간에 희뿌연 연기로 가득찹니다.
[백용해/목격자 : "갑자기 뒤에서 굉음 들리면서 이상해가지고 차를 바로 옆으로 세운 다음에 돌아보니까 맞은편 차들도 다 멈춰가지고 가지 못하고 있는 그런 상황이었어요."]
경기 안성시 서운면 세종 안성 고속도로 공사 현장에서 붕괴 사고가 난 건 오늘 오전 9시 50분쯤.
인근 주민들은 굉음과 함께 땅이 크게 울렸다고 당시 상황을 전했습니다.
[하만례/목격자 : "쾅 하더라고. 그러더니 저 다리가 내려앉아 버렸다니까요. 말도 못 했죠. 집이 욱신욱신했어."]
붕괴 사고로 교량 위에서 작업 중이던 인부 10명이 아래로 추락했고 결국 4명이 숨졌습니다.
부상자는 모두 6명으로 이 가운데 5명은 중상입니다.
[목격자 : "막 아우성치면서 악을 쓰는데 보니까 상판 무너진 데 경사면에 사람이 앉아 있는데 깔린 거예요."]
오전 시간대라 교각 아래 도로에선 차량들이 지나던 상황.
무너진 구조물이 차량들을 덮쳤다면 인명피해는 더 클 뻔했습니다.
[김오식/목격자 : "출근길에 차 탄 지 몇 초도 안 돼서 무슨 쇠 찢어지는 소리가 나서 차에서 내려서 뒤를 봤더니 무너져 있더라고요."]
사고 현장 보전을 위해 경찰과 소방당국은 주변 교통을 통제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여소연입니다.
촬영기자:강수헌 강욱현/영상편집:차정남
[앵커]
▲‘빔’ 설치 중 ‘와르르’…붕괴 사고 왜 났나▲
이번 사고는 높은 교각 위에 고속도로 상판을 놓다가 일어났습니다.
상판의 뼈대가 될 '빔'을 설치하는 과정에서 크레인을 움직이다 사고가 났다는 현장 증언이 나왔는데요.
현재 추정되는 사고 원인은 무엇인지, 최민영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붕괴 사고는 경기 안성시와 충남 천안시가 만나는 경계에 위치한 세종안성고속도로 제9공구 공사 현장에서 일어났습니다.
산자락을 지나는 구간이라 최대 52미터 높이의 교각 위에 도로를 놓는 공사였습니다.
이곳에서 '런처'라는 크레인이 쓰였는데, 교각 위 상판의 뼈대가 될 '빔'을 옮겨 놓는 건설 기계입니다.
빔을 모두 놓고 나면 그 위에 콘크리트를 부어 상판을 완성하는 겁니다.
런처를 이용해 교각 위 상행선 방향 빔을 설치했는데, 이후 하행선 공사를 위해 런처를 옮기는 과정에서 사고가 났다는 현장 증언이 나왔습니다.
[고경만/경기 안성소방서 화재예방과장 : "세종에서 포천으로 올라가는 (방향의) 빔은 전부 다 설치가 되고. 나머지 하행선도 설치를 하기 위해서 런처를 이쪽으로 옮기는 과정에서 사고가 발생한 거 같다 이렇게 공사 현장소장님이 말씀하셨습니다."]
전문가들은 런처에서 빔이 완전히 분리된 뒤 다음 작업을 준비해야 하는데, 이 과정에서 실수가 있었을 가능성에 주목하고 있습니다.
기술자와 감리단 등이 단계별로 확인하는 과정이 부족했을 수 있다는 겁니다.
[조원철/연세대 토목공학과 교수 : "보(빔)와 런처가 완전히 분리되지 않은 상태에서 분리된 줄 알고 (런처를) 뒤로 뽑으니까 받침이 없어지니까 보가 떨어지고 런처도 떨어지고..."]
연결 부위 공사가 부실했을 가능성도 제기됩니다.
[이송규/한국안전전문가 협회 회장 : "첫번째 빔이 무너졌다는 얘기는 거기 빔에 편하중이 작용했다는 얘기고, 또 다른 측면에서 보면 그 연결된 부위가 가장 약했다라고 볼 수 있거든요."]
공사 설계와 작업 진행, 안전 관리 등 공사 전반이 점검 대상이 될 거로 보입니다.
KBS 뉴스 최민영입니다.
촬영기자:최석규/영상편집:이유리/그래픽:박미주 김지훈 최창준
오늘(25일) 오전 세종 안성 고속도로 건설 현장에서 교량 구조물이 무너져 작업자 4명이 숨지고 6명이 다쳤습니다.
무너진 구조물들이 도로 위를 덮치면서, 자칫 더 큰 참사로 이어질 수도 있었습니다.
여소연 기자입니다.
[리포트]
교각을 짓고 있는 고속도로 건설 현장.
한 차량이 이곳을 지나친 뒤 5초도 채 지나지 않아 차량 뒤에서 교각 상판이 무너져 내립니다.
마치 폭격을 맞은 듯 주변이 순식간에 희뿌연 연기로 가득찹니다.
[백용해/목격자 : "갑자기 뒤에서 굉음 들리면서 이상해가지고 차를 바로 옆으로 세운 다음에 돌아보니까 맞은편 차들도 다 멈춰가지고 가지 못하고 있는 그런 상황이었어요."]
경기 안성시 서운면 세종 안성 고속도로 공사 현장에서 붕괴 사고가 난 건 오늘 오전 9시 50분쯤.
인근 주민들은 굉음과 함께 땅이 크게 울렸다고 당시 상황을 전했습니다.
[하만례/목격자 : "쾅 하더라고. 그러더니 저 다리가 내려앉아 버렸다니까요. 말도 못 했죠. 집이 욱신욱신했어."]
붕괴 사고로 교량 위에서 작업 중이던 인부 10명이 아래로 추락했고 결국 4명이 숨졌습니다.
부상자는 모두 6명으로 이 가운데 5명은 중상입니다.
[목격자 : "막 아우성치면서 악을 쓰는데 보니까 상판 무너진 데 경사면에 사람이 앉아 있는데 깔린 거예요."]
오전 시간대라 교각 아래 도로에선 차량들이 지나던 상황.
무너진 구조물이 차량들을 덮쳤다면 인명피해는 더 클 뻔했습니다.
[김오식/목격자 : "출근길에 차 탄 지 몇 초도 안 돼서 무슨 쇠 찢어지는 소리가 나서 차에서 내려서 뒤를 봤더니 무너져 있더라고요."]
사고 현장 보전을 위해 경찰과 소방당국은 주변 교통을 통제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여소연입니다.
촬영기자:강수헌 강욱현/영상편집:차정남
[앵커]
▲‘빔’ 설치 중 ‘와르르’…붕괴 사고 왜 났나▲
이번 사고는 높은 교각 위에 고속도로 상판을 놓다가 일어났습니다.
상판의 뼈대가 될 '빔'을 설치하는 과정에서 크레인을 움직이다 사고가 났다는 현장 증언이 나왔는데요.
현재 추정되는 사고 원인은 무엇인지, 최민영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붕괴 사고는 경기 안성시와 충남 천안시가 만나는 경계에 위치한 세종안성고속도로 제9공구 공사 현장에서 일어났습니다.
산자락을 지나는 구간이라 최대 52미터 높이의 교각 위에 도로를 놓는 공사였습니다.
이곳에서 '런처'라는 크레인이 쓰였는데, 교각 위 상판의 뼈대가 될 '빔'을 옮겨 놓는 건설 기계입니다.
빔을 모두 놓고 나면 그 위에 콘크리트를 부어 상판을 완성하는 겁니다.
런처를 이용해 교각 위 상행선 방향 빔을 설치했는데, 이후 하행선 공사를 위해 런처를 옮기는 과정에서 사고가 났다는 현장 증언이 나왔습니다.
[고경만/경기 안성소방서 화재예방과장 : "세종에서 포천으로 올라가는 (방향의) 빔은 전부 다 설치가 되고. 나머지 하행선도 설치를 하기 위해서 런처를 이쪽으로 옮기는 과정에서 사고가 발생한 거 같다 이렇게 공사 현장소장님이 말씀하셨습니다."]
전문가들은 런처에서 빔이 완전히 분리된 뒤 다음 작업을 준비해야 하는데, 이 과정에서 실수가 있었을 가능성에 주목하고 있습니다.
기술자와 감리단 등이 단계별로 확인하는 과정이 부족했을 수 있다는 겁니다.
[조원철/연세대 토목공학과 교수 : "보(빔)와 런처가 완전히 분리되지 않은 상태에서 분리된 줄 알고 (런처를) 뒤로 뽑으니까 받침이 없어지니까 보가 떨어지고 런처도 떨어지고..."]
연결 부위 공사가 부실했을 가능성도 제기됩니다.
[이송규/한국안전전문가 협회 회장 : "첫번째 빔이 무너졌다는 얘기는 거기 빔에 편하중이 작용했다는 얘기고, 또 다른 측면에서 보면 그 연결된 부위가 가장 약했다라고 볼 수 있거든요."]
공사 설계와 작업 진행, 안전 관리 등 공사 전반이 점검 대상이 될 거로 보입니다.
KBS 뉴스 최민영입니다.
촬영기자:최석규/영상편집:이유리/그래픽:박미주 김지훈 최창준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5초만 늦었다면 ‘아찔’…안성 고속도로 공사장 붕괴 10명 사상
-
- 입력 2025-02-25 21:10:47
- 수정2025-02-25 21:52:54

[앵커]
오늘(25일) 오전 세종 안성 고속도로 건설 현장에서 교량 구조물이 무너져 작업자 4명이 숨지고 6명이 다쳤습니다.
무너진 구조물들이 도로 위를 덮치면서, 자칫 더 큰 참사로 이어질 수도 있었습니다.
여소연 기자입니다.
[리포트]
교각을 짓고 있는 고속도로 건설 현장.
한 차량이 이곳을 지나친 뒤 5초도 채 지나지 않아 차량 뒤에서 교각 상판이 무너져 내립니다.
마치 폭격을 맞은 듯 주변이 순식간에 희뿌연 연기로 가득찹니다.
[백용해/목격자 : "갑자기 뒤에서 굉음 들리면서 이상해가지고 차를 바로 옆으로 세운 다음에 돌아보니까 맞은편 차들도 다 멈춰가지고 가지 못하고 있는 그런 상황이었어요."]
경기 안성시 서운면 세종 안성 고속도로 공사 현장에서 붕괴 사고가 난 건 오늘 오전 9시 50분쯤.
인근 주민들은 굉음과 함께 땅이 크게 울렸다고 당시 상황을 전했습니다.
[하만례/목격자 : "쾅 하더라고. 그러더니 저 다리가 내려앉아 버렸다니까요. 말도 못 했죠. 집이 욱신욱신했어."]
붕괴 사고로 교량 위에서 작업 중이던 인부 10명이 아래로 추락했고 결국 4명이 숨졌습니다.
부상자는 모두 6명으로 이 가운데 5명은 중상입니다.
[목격자 : "막 아우성치면서 악을 쓰는데 보니까 상판 무너진 데 경사면에 사람이 앉아 있는데 깔린 거예요."]
오전 시간대라 교각 아래 도로에선 차량들이 지나던 상황.
무너진 구조물이 차량들을 덮쳤다면 인명피해는 더 클 뻔했습니다.
[김오식/목격자 : "출근길에 차 탄 지 몇 초도 안 돼서 무슨 쇠 찢어지는 소리가 나서 차에서 내려서 뒤를 봤더니 무너져 있더라고요."]
사고 현장 보전을 위해 경찰과 소방당국은 주변 교통을 통제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여소연입니다.
촬영기자:강수헌 강욱현/영상편집:차정남
[앵커]
▲‘빔’ 설치 중 ‘와르르’…붕괴 사고 왜 났나▲
이번 사고는 높은 교각 위에 고속도로 상판을 놓다가 일어났습니다.
상판의 뼈대가 될 '빔'을 설치하는 과정에서 크레인을 움직이다 사고가 났다는 현장 증언이 나왔는데요.
현재 추정되는 사고 원인은 무엇인지, 최민영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붕괴 사고는 경기 안성시와 충남 천안시가 만나는 경계에 위치한 세종안성고속도로 제9공구 공사 현장에서 일어났습니다.
산자락을 지나는 구간이라 최대 52미터 높이의 교각 위에 도로를 놓는 공사였습니다.
이곳에서 '런처'라는 크레인이 쓰였는데, 교각 위 상판의 뼈대가 될 '빔'을 옮겨 놓는 건설 기계입니다.
빔을 모두 놓고 나면 그 위에 콘크리트를 부어 상판을 완성하는 겁니다.
런처를 이용해 교각 위 상행선 방향 빔을 설치했는데, 이후 하행선 공사를 위해 런처를 옮기는 과정에서 사고가 났다는 현장 증언이 나왔습니다.
[고경만/경기 안성소방서 화재예방과장 : "세종에서 포천으로 올라가는 (방향의) 빔은 전부 다 설치가 되고. 나머지 하행선도 설치를 하기 위해서 런처를 이쪽으로 옮기는 과정에서 사고가 발생한 거 같다 이렇게 공사 현장소장님이 말씀하셨습니다."]
전문가들은 런처에서 빔이 완전히 분리된 뒤 다음 작업을 준비해야 하는데, 이 과정에서 실수가 있었을 가능성에 주목하고 있습니다.
기술자와 감리단 등이 단계별로 확인하는 과정이 부족했을 수 있다는 겁니다.
[조원철/연세대 토목공학과 교수 : "보(빔)와 런처가 완전히 분리되지 않은 상태에서 분리된 줄 알고 (런처를) 뒤로 뽑으니까 받침이 없어지니까 보가 떨어지고 런처도 떨어지고..."]
연결 부위 공사가 부실했을 가능성도 제기됩니다.
[이송규/한국안전전문가 협회 회장 : "첫번째 빔이 무너졌다는 얘기는 거기 빔에 편하중이 작용했다는 얘기고, 또 다른 측면에서 보면 그 연결된 부위가 가장 약했다라고 볼 수 있거든요."]
공사 설계와 작업 진행, 안전 관리 등 공사 전반이 점검 대상이 될 거로 보입니다.
KBS 뉴스 최민영입니다.
촬영기자:최석규/영상편집:이유리/그래픽:박미주 김지훈 최창준
오늘(25일) 오전 세종 안성 고속도로 건설 현장에서 교량 구조물이 무너져 작업자 4명이 숨지고 6명이 다쳤습니다.
무너진 구조물들이 도로 위를 덮치면서, 자칫 더 큰 참사로 이어질 수도 있었습니다.
여소연 기자입니다.
[리포트]
교각을 짓고 있는 고속도로 건설 현장.
한 차량이 이곳을 지나친 뒤 5초도 채 지나지 않아 차량 뒤에서 교각 상판이 무너져 내립니다.
마치 폭격을 맞은 듯 주변이 순식간에 희뿌연 연기로 가득찹니다.
[백용해/목격자 : "갑자기 뒤에서 굉음 들리면서 이상해가지고 차를 바로 옆으로 세운 다음에 돌아보니까 맞은편 차들도 다 멈춰가지고 가지 못하고 있는 그런 상황이었어요."]
경기 안성시 서운면 세종 안성 고속도로 공사 현장에서 붕괴 사고가 난 건 오늘 오전 9시 50분쯤.
인근 주민들은 굉음과 함께 땅이 크게 울렸다고 당시 상황을 전했습니다.
[하만례/목격자 : "쾅 하더라고. 그러더니 저 다리가 내려앉아 버렸다니까요. 말도 못 했죠. 집이 욱신욱신했어."]
붕괴 사고로 교량 위에서 작업 중이던 인부 10명이 아래로 추락했고 결국 4명이 숨졌습니다.
부상자는 모두 6명으로 이 가운데 5명은 중상입니다.
[목격자 : "막 아우성치면서 악을 쓰는데 보니까 상판 무너진 데 경사면에 사람이 앉아 있는데 깔린 거예요."]
오전 시간대라 교각 아래 도로에선 차량들이 지나던 상황.
무너진 구조물이 차량들을 덮쳤다면 인명피해는 더 클 뻔했습니다.
[김오식/목격자 : "출근길에 차 탄 지 몇 초도 안 돼서 무슨 쇠 찢어지는 소리가 나서 차에서 내려서 뒤를 봤더니 무너져 있더라고요."]
사고 현장 보전을 위해 경찰과 소방당국은 주변 교통을 통제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여소연입니다.
촬영기자:강수헌 강욱현/영상편집:차정남
[앵커]
▲‘빔’ 설치 중 ‘와르르’…붕괴 사고 왜 났나▲
이번 사고는 높은 교각 위에 고속도로 상판을 놓다가 일어났습니다.
상판의 뼈대가 될 '빔'을 설치하는 과정에서 크레인을 움직이다 사고가 났다는 현장 증언이 나왔는데요.
현재 추정되는 사고 원인은 무엇인지, 최민영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붕괴 사고는 경기 안성시와 충남 천안시가 만나는 경계에 위치한 세종안성고속도로 제9공구 공사 현장에서 일어났습니다.
산자락을 지나는 구간이라 최대 52미터 높이의 교각 위에 도로를 놓는 공사였습니다.
이곳에서 '런처'라는 크레인이 쓰였는데, 교각 위 상판의 뼈대가 될 '빔'을 옮겨 놓는 건설 기계입니다.
빔을 모두 놓고 나면 그 위에 콘크리트를 부어 상판을 완성하는 겁니다.
런처를 이용해 교각 위 상행선 방향 빔을 설치했는데, 이후 하행선 공사를 위해 런처를 옮기는 과정에서 사고가 났다는 현장 증언이 나왔습니다.
[고경만/경기 안성소방서 화재예방과장 : "세종에서 포천으로 올라가는 (방향의) 빔은 전부 다 설치가 되고. 나머지 하행선도 설치를 하기 위해서 런처를 이쪽으로 옮기는 과정에서 사고가 발생한 거 같다 이렇게 공사 현장소장님이 말씀하셨습니다."]
전문가들은 런처에서 빔이 완전히 분리된 뒤 다음 작업을 준비해야 하는데, 이 과정에서 실수가 있었을 가능성에 주목하고 있습니다.
기술자와 감리단 등이 단계별로 확인하는 과정이 부족했을 수 있다는 겁니다.
[조원철/연세대 토목공학과 교수 : "보(빔)와 런처가 완전히 분리되지 않은 상태에서 분리된 줄 알고 (런처를) 뒤로 뽑으니까 받침이 없어지니까 보가 떨어지고 런처도 떨어지고..."]
연결 부위 공사가 부실했을 가능성도 제기됩니다.
[이송규/한국안전전문가 협회 회장 : "첫번째 빔이 무너졌다는 얘기는 거기 빔에 편하중이 작용했다는 얘기고, 또 다른 측면에서 보면 그 연결된 부위가 가장 약했다라고 볼 수 있거든요."]
공사 설계와 작업 진행, 안전 관리 등 공사 전반이 점검 대상이 될 거로 보입니다.
KBS 뉴스 최민영입니다.
촬영기자:최석규/영상편집:이유리/그래픽:박미주 김지훈 최창준
-
-
여소연 기자 yeo@kbs.co.kr
여소연 기자의 기사 모음 -
최민영 기자 mymy@kbs.co.kr
최민영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