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년 4개월 만에 2%대 기준금리…“내수·수출 다 힘들어”

입력 2025.02.25 (21:18) 수정 2025.02.25 (22:0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우리 기준금리가 다시 2%대, 연 2.75%로 내려갔습니다.

내수와 수출이 모두 어려운 상황이어서 금리를 내릴 수밖에 없다고 한국은행은 설명했습니다.

먼저, 박찬 기자의 보도 보시겠습니다.

[리포트]

2%대 기준금리는 2년 4개월 만입니다.

코로나19 대유행 막바지인 2022년 10월.

당시 물가가 뛰기 시작하자 3.5%까지 빠르게 올린 뒤, 쭉 3%대를 유지하다 오늘(25일) 2.75%로 내렸습니다.

금리 인하는 금융통화위원 7명 만장일치였습니다.

미국과의 금리차가 1.75%p로 더 벌어지고 환율 부담이 있지만, 금리 인하에 나선 건 그만큼 경기 하방 압력이 더 커졌기 때문입니다.

내수는 정치 불안 때문에, 수출은 트럼프 변수 때문입니다.

[이창용/한국은행 총재 : "기준금리를 추가 인하하여 경기 하방 압력을 완화하는 것이 적절하다…."]

올해 성장률 전망도 크게 내려 잡았습니다.

한때 2.3%까지 봤던 올해 성장률을 계속 하향 조정했고, 이번엔 1.5%로 까지 낮췄습니다.

최고점 대비 0.8%p 줄었는데, 단순 계산하면 연간 GDP 18조 원 정도가 감소한 충격입니다.

미국의 관세 압박이 더 심해지면, 올해 성장률은 1.4%까지 떨어질 수도 있다고 봤습니다.

금리 인하 실기론은 거듭 일축했습니다.

[이창용/한국은행 총재 : "(기준금리 인하를) 실기했다는 이야기하지 마시고, 더 잘할 수 있으면 그다음에 한국은행 총재가 되신 다음에 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기준금리 인하 직후 금융당국은 은행 압박에 나섰습니다.

기준금리 인하 효과가 대출금리에 반영돼야 한다는 점을 재차 강조했습니다.

KBS 뉴스 박찬입니다.

영상편집:김철/그래픽:고석훈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2년 4개월 만에 2%대 기준금리…“내수·수출 다 힘들어”
    • 입력 2025-02-25 21:18:55
    • 수정2025-02-25 22:02:57
    뉴스 9
[앵커]

우리 기준금리가 다시 2%대, 연 2.75%로 내려갔습니다.

내수와 수출이 모두 어려운 상황이어서 금리를 내릴 수밖에 없다고 한국은행은 설명했습니다.

먼저, 박찬 기자의 보도 보시겠습니다.

[리포트]

2%대 기준금리는 2년 4개월 만입니다.

코로나19 대유행 막바지인 2022년 10월.

당시 물가가 뛰기 시작하자 3.5%까지 빠르게 올린 뒤, 쭉 3%대를 유지하다 오늘(25일) 2.75%로 내렸습니다.

금리 인하는 금융통화위원 7명 만장일치였습니다.

미국과의 금리차가 1.75%p로 더 벌어지고 환율 부담이 있지만, 금리 인하에 나선 건 그만큼 경기 하방 압력이 더 커졌기 때문입니다.

내수는 정치 불안 때문에, 수출은 트럼프 변수 때문입니다.

[이창용/한국은행 총재 : "기준금리를 추가 인하하여 경기 하방 압력을 완화하는 것이 적절하다…."]

올해 성장률 전망도 크게 내려 잡았습니다.

한때 2.3%까지 봤던 올해 성장률을 계속 하향 조정했고, 이번엔 1.5%로 까지 낮췄습니다.

최고점 대비 0.8%p 줄었는데, 단순 계산하면 연간 GDP 18조 원 정도가 감소한 충격입니다.

미국의 관세 압박이 더 심해지면, 올해 성장률은 1.4%까지 떨어질 수도 있다고 봤습니다.

금리 인하 실기론은 거듭 일축했습니다.

[이창용/한국은행 총재 : "(기준금리 인하를) 실기했다는 이야기하지 마시고, 더 잘할 수 있으면 그다음에 한국은행 총재가 되신 다음에 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기준금리 인하 직후 금융당국은 은행 압박에 나섰습니다.

기준금리 인하 효과가 대출금리에 반영돼야 한다는 점을 재차 강조했습니다.

KBS 뉴스 박찬입니다.

영상편집:김철/그래픽:고석훈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