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필로 그린 주민증도 무사통과…‘업비트’ 중징계
입력 2025.02.25 (21:25)
수정 2025.02.25 (22:0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국내 1위 가상자산거래소인 업비트가 영업 일부정지 등의 중징계를 받게 됐습니다.
징계 이유를 보면 1등 거래소라곤 믿기 어려울 정도입니다.
송수진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연필로 그린 주민등록증입니다.
대충 그린 얼굴.
휘갈겨 쓴 글씨체.
누가 봐도 엉성한 그림인데, '업비트'의 고객 확인 시스템은 진짜 신분증으로 인식했습니다.
덕지덕지 가려도, 종이에 복사해도, 모두 무사통과였습니다.
금융당국 점검 결과, 엉터리 실명 확인이 최근 3년간 3만 4천여 건이었습니다.
'돈세탁' 가능성도 확인됐습니다.
이 화면은 한글로 서비스되고 있지만, 싱가포르의 한 거래소입니다.
국내 금융당국에는 신고 안 된 곳입니다.
금융당국은 불법이 낄 가능성이 높다며 이런 곳과 가상자산을 거래하지 말라고 공문을 보냈습니다.
하지만, 업비트는 미신고 거래소 19곳과 4만 4천여 건의 거래를 지원했습니다.
금융당국은 업비트 운영사 '두나무'에 중징계를 통보했습니다.
신규 고객에 한해 외부로의 가상자산 입출고를 석 달간 막는 영업 일부정지.
이석우 대표 '문책 경고' 준법감시인 '면직' 등 임직원 9명을 제재하는 내용입니다.
[박정원/금융정보분석원 가상자산검사과장 : "국내 1위 사업자의 지위에 걸맞지 않게 고객 신원 확인이라는 기본 중의 기본을 지키지 않은 점에 대해서 엄히 제재를…."]
두나무는 제재의 취지에 공감한다면서 향후 방안을 신중하게 논의하고 있다는 입장만 냈습니다.
적발된 혐의에 대해선 해명하지 않았습니다.
KBS 뉴스 송수진입니다.
영상편집:김대범/그래픽:최창준
국내 1위 가상자산거래소인 업비트가 영업 일부정지 등의 중징계를 받게 됐습니다.
징계 이유를 보면 1등 거래소라곤 믿기 어려울 정도입니다.
송수진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연필로 그린 주민등록증입니다.
대충 그린 얼굴.
휘갈겨 쓴 글씨체.
누가 봐도 엉성한 그림인데, '업비트'의 고객 확인 시스템은 진짜 신분증으로 인식했습니다.
덕지덕지 가려도, 종이에 복사해도, 모두 무사통과였습니다.
금융당국 점검 결과, 엉터리 실명 확인이 최근 3년간 3만 4천여 건이었습니다.
'돈세탁' 가능성도 확인됐습니다.
이 화면은 한글로 서비스되고 있지만, 싱가포르의 한 거래소입니다.
국내 금융당국에는 신고 안 된 곳입니다.
금융당국은 불법이 낄 가능성이 높다며 이런 곳과 가상자산을 거래하지 말라고 공문을 보냈습니다.
하지만, 업비트는 미신고 거래소 19곳과 4만 4천여 건의 거래를 지원했습니다.
금융당국은 업비트 운영사 '두나무'에 중징계를 통보했습니다.
신규 고객에 한해 외부로의 가상자산 입출고를 석 달간 막는 영업 일부정지.
이석우 대표 '문책 경고' 준법감시인 '면직' 등 임직원 9명을 제재하는 내용입니다.
[박정원/금융정보분석원 가상자산검사과장 : "국내 1위 사업자의 지위에 걸맞지 않게 고객 신원 확인이라는 기본 중의 기본을 지키지 않은 점에 대해서 엄히 제재를…."]
두나무는 제재의 취지에 공감한다면서 향후 방안을 신중하게 논의하고 있다는 입장만 냈습니다.
적발된 혐의에 대해선 해명하지 않았습니다.
KBS 뉴스 송수진입니다.
영상편집:김대범/그래픽:최창준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연필로 그린 주민증도 무사통과…‘업비트’ 중징계
-
- 입력 2025-02-25 21:25:04
- 수정2025-02-25 22:04:10

[앵커]
국내 1위 가상자산거래소인 업비트가 영업 일부정지 등의 중징계를 받게 됐습니다.
징계 이유를 보면 1등 거래소라곤 믿기 어려울 정도입니다.
송수진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연필로 그린 주민등록증입니다.
대충 그린 얼굴.
휘갈겨 쓴 글씨체.
누가 봐도 엉성한 그림인데, '업비트'의 고객 확인 시스템은 진짜 신분증으로 인식했습니다.
덕지덕지 가려도, 종이에 복사해도, 모두 무사통과였습니다.
금융당국 점검 결과, 엉터리 실명 확인이 최근 3년간 3만 4천여 건이었습니다.
'돈세탁' 가능성도 확인됐습니다.
이 화면은 한글로 서비스되고 있지만, 싱가포르의 한 거래소입니다.
국내 금융당국에는 신고 안 된 곳입니다.
금융당국은 불법이 낄 가능성이 높다며 이런 곳과 가상자산을 거래하지 말라고 공문을 보냈습니다.
하지만, 업비트는 미신고 거래소 19곳과 4만 4천여 건의 거래를 지원했습니다.
금융당국은 업비트 운영사 '두나무'에 중징계를 통보했습니다.
신규 고객에 한해 외부로의 가상자산 입출고를 석 달간 막는 영업 일부정지.
이석우 대표 '문책 경고' 준법감시인 '면직' 등 임직원 9명을 제재하는 내용입니다.
[박정원/금융정보분석원 가상자산검사과장 : "국내 1위 사업자의 지위에 걸맞지 않게 고객 신원 확인이라는 기본 중의 기본을 지키지 않은 점에 대해서 엄히 제재를…."]
두나무는 제재의 취지에 공감한다면서 향후 방안을 신중하게 논의하고 있다는 입장만 냈습니다.
적발된 혐의에 대해선 해명하지 않았습니다.
KBS 뉴스 송수진입니다.
영상편집:김대범/그래픽:최창준
국내 1위 가상자산거래소인 업비트가 영업 일부정지 등의 중징계를 받게 됐습니다.
징계 이유를 보면 1등 거래소라곤 믿기 어려울 정도입니다.
송수진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연필로 그린 주민등록증입니다.
대충 그린 얼굴.
휘갈겨 쓴 글씨체.
누가 봐도 엉성한 그림인데, '업비트'의 고객 확인 시스템은 진짜 신분증으로 인식했습니다.
덕지덕지 가려도, 종이에 복사해도, 모두 무사통과였습니다.
금융당국 점검 결과, 엉터리 실명 확인이 최근 3년간 3만 4천여 건이었습니다.
'돈세탁' 가능성도 확인됐습니다.
이 화면은 한글로 서비스되고 있지만, 싱가포르의 한 거래소입니다.
국내 금융당국에는 신고 안 된 곳입니다.
금융당국은 불법이 낄 가능성이 높다며 이런 곳과 가상자산을 거래하지 말라고 공문을 보냈습니다.
하지만, 업비트는 미신고 거래소 19곳과 4만 4천여 건의 거래를 지원했습니다.
금융당국은 업비트 운영사 '두나무'에 중징계를 통보했습니다.
신규 고객에 한해 외부로의 가상자산 입출고를 석 달간 막는 영업 일부정지.
이석우 대표 '문책 경고' 준법감시인 '면직' 등 임직원 9명을 제재하는 내용입니다.
[박정원/금융정보분석원 가상자산검사과장 : "국내 1위 사업자의 지위에 걸맞지 않게 고객 신원 확인이라는 기본 중의 기본을 지키지 않은 점에 대해서 엄히 제재를…."]
두나무는 제재의 취지에 공감한다면서 향후 방안을 신중하게 논의하고 있다는 입장만 냈습니다.
적발된 혐의에 대해선 해명하지 않았습니다.
KBS 뉴스 송수진입니다.
영상편집:김대범/그래픽:최창준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