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스크의 캐나다 시민권 박탈” 청원한 캐나다인 24만명 넘어
입력 2025.02.26 (04:51)
수정 2025.02.26 (04:5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최측근으로 꼽히는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의 캐나다 시민권을 박탈하자는 청원 운동이 캐나다에서 일고 있습니다.
25일(현지시간) 캐나다 의회 청원 사이트에 따르면 머스크의 캐나다 시민권을 취소해달라는 청원이 이날 오후 1시 30분(미 동부시간) 기준으로 24만8천12명의 서명을 받았습니다.
캐나다 총리 앞으로 제출된 이 청원은 "일론 머스크는 캐나다의 국익에 반하는 활동에 관여했고, 자신의 부와 권력을 이용해 우리의 선거에 영향을 미쳤다"며 "그는 이제 캐나다의 주권을 없애려는 외국 정부의 일원이 됐다"고 주장했습니다.
그러면서 "우리는 캐나다 시민으로서 총리에게 일론 머스크의 이중 국적 상태인 시민권을 취소하고 그의 캐나다 여권을 즉시 취소할 것을 요청한다"고 밝혔습니다.
캐나다 신민주당(NDP) 소속 찰리 앵거스 의원이 지난 20일 발의한 이 청원은 며칠 뒤 캐나다 현지 언론이 보도하면서 알려졌고, 이날 뉴욕타임스(NYT)와 워싱턴포스트(WP) 등 미국 주요 매체들도 이 청원 서명자 수가 20만명이 넘었다고 일제히 보도했습니다.
머스크는 이 청원 소식을 알린 엑스(X·옛 트위터) 사용자의 게시물에 "캐나다는 진짜 나라가 아니다"(Canada is not a real country)라고 응수했습니다.
1971년 남아프리카공화국에서 태어난 머스크는 18세 생일 직전에 캐나다로 이주했고, 캐나다 출신인 어머니를 따라 캐나다 시민권을 취득했습니다.
이후 2002년 미국 시민권을 취득해 현재 이중 국적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해 11월 대선 승리 뒤에 쥐스탱 트뤼도 캐나다 총리를 만나 대(對)캐나다 관세 부과 방침 등을 밝히면서 캐나다가 미국 관세를 피하려면 미국의 51번째 주가 되면 된다고 말하는 등 캐나다를 미국에 편입시키고 싶다는 뜻을 거듭 밝혀왔습니다.
머스크 역시 트럼프 대통령의 이런 발언에 맞장구를 쳐왔습니다.
머스크는 트뤼도 총리가 지난달 7일 "캐나다가 미국의 일부가 될 가능성은 눈곱만큼도 없다"고 엑스에 쓴 글에 "당신은 더 이상 캐나다의 주지사가 아니다. 그러니 당신이 말하는 것은 중요하지 않다"고 댓글을 달았습니다.
머스크는 또 캐나다의 다음 총선에서 승리가 예상되는 캐나다 보수당의 피에르 포일리에브르 대표의 인터뷰 영상을 "훌륭한 인터뷰"라고 칭찬하며 엑스에 게시하는 등 보수당 대표를 캐나다의 차기 지도자로 지지하고 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소셜미디어 엑스 캡처]
25일(현지시간) 캐나다 의회 청원 사이트에 따르면 머스크의 캐나다 시민권을 취소해달라는 청원이 이날 오후 1시 30분(미 동부시간) 기준으로 24만8천12명의 서명을 받았습니다.
캐나다 총리 앞으로 제출된 이 청원은 "일론 머스크는 캐나다의 국익에 반하는 활동에 관여했고, 자신의 부와 권력을 이용해 우리의 선거에 영향을 미쳤다"며 "그는 이제 캐나다의 주권을 없애려는 외국 정부의 일원이 됐다"고 주장했습니다.
그러면서 "우리는 캐나다 시민으로서 총리에게 일론 머스크의 이중 국적 상태인 시민권을 취소하고 그의 캐나다 여권을 즉시 취소할 것을 요청한다"고 밝혔습니다.
캐나다 신민주당(NDP) 소속 찰리 앵거스 의원이 지난 20일 발의한 이 청원은 며칠 뒤 캐나다 현지 언론이 보도하면서 알려졌고, 이날 뉴욕타임스(NYT)와 워싱턴포스트(WP) 등 미국 주요 매체들도 이 청원 서명자 수가 20만명이 넘었다고 일제히 보도했습니다.
머스크는 이 청원 소식을 알린 엑스(X·옛 트위터) 사용자의 게시물에 "캐나다는 진짜 나라가 아니다"(Canada is not a real country)라고 응수했습니다.
1971년 남아프리카공화국에서 태어난 머스크는 18세 생일 직전에 캐나다로 이주했고, 캐나다 출신인 어머니를 따라 캐나다 시민권을 취득했습니다.
이후 2002년 미국 시민권을 취득해 현재 이중 국적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해 11월 대선 승리 뒤에 쥐스탱 트뤼도 캐나다 총리를 만나 대(對)캐나다 관세 부과 방침 등을 밝히면서 캐나다가 미국 관세를 피하려면 미국의 51번째 주가 되면 된다고 말하는 등 캐나다를 미국에 편입시키고 싶다는 뜻을 거듭 밝혀왔습니다.
머스크 역시 트럼프 대통령의 이런 발언에 맞장구를 쳐왔습니다.
머스크는 트뤼도 총리가 지난달 7일 "캐나다가 미국의 일부가 될 가능성은 눈곱만큼도 없다"고 엑스에 쓴 글에 "당신은 더 이상 캐나다의 주지사가 아니다. 그러니 당신이 말하는 것은 중요하지 않다"고 댓글을 달았습니다.
머스크는 또 캐나다의 다음 총선에서 승리가 예상되는 캐나다 보수당의 피에르 포일리에브르 대표의 인터뷰 영상을 "훌륭한 인터뷰"라고 칭찬하며 엑스에 게시하는 등 보수당 대표를 캐나다의 차기 지도자로 지지하고 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소셜미디어 엑스 캡처]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머스크의 캐나다 시민권 박탈” 청원한 캐나다인 24만명 넘어
-
- 입력 2025-02-26 04:51:14
- 수정2025-02-26 04:54:03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최측근으로 꼽히는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의 캐나다 시민권을 박탈하자는 청원 운동이 캐나다에서 일고 있습니다.
25일(현지시간) 캐나다 의회 청원 사이트에 따르면 머스크의 캐나다 시민권을 취소해달라는 청원이 이날 오후 1시 30분(미 동부시간) 기준으로 24만8천12명의 서명을 받았습니다.
캐나다 총리 앞으로 제출된 이 청원은 "일론 머스크는 캐나다의 국익에 반하는 활동에 관여했고, 자신의 부와 권력을 이용해 우리의 선거에 영향을 미쳤다"며 "그는 이제 캐나다의 주권을 없애려는 외국 정부의 일원이 됐다"고 주장했습니다.
그러면서 "우리는 캐나다 시민으로서 총리에게 일론 머스크의 이중 국적 상태인 시민권을 취소하고 그의 캐나다 여권을 즉시 취소할 것을 요청한다"고 밝혔습니다.
캐나다 신민주당(NDP) 소속 찰리 앵거스 의원이 지난 20일 발의한 이 청원은 며칠 뒤 캐나다 현지 언론이 보도하면서 알려졌고, 이날 뉴욕타임스(NYT)와 워싱턴포스트(WP) 등 미국 주요 매체들도 이 청원 서명자 수가 20만명이 넘었다고 일제히 보도했습니다.
머스크는 이 청원 소식을 알린 엑스(X·옛 트위터) 사용자의 게시물에 "캐나다는 진짜 나라가 아니다"(Canada is not a real country)라고 응수했습니다.
1971년 남아프리카공화국에서 태어난 머스크는 18세 생일 직전에 캐나다로 이주했고, 캐나다 출신인 어머니를 따라 캐나다 시민권을 취득했습니다.
이후 2002년 미국 시민권을 취득해 현재 이중 국적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해 11월 대선 승리 뒤에 쥐스탱 트뤼도 캐나다 총리를 만나 대(對)캐나다 관세 부과 방침 등을 밝히면서 캐나다가 미국 관세를 피하려면 미국의 51번째 주가 되면 된다고 말하는 등 캐나다를 미국에 편입시키고 싶다는 뜻을 거듭 밝혀왔습니다.
머스크 역시 트럼프 대통령의 이런 발언에 맞장구를 쳐왔습니다.
머스크는 트뤼도 총리가 지난달 7일 "캐나다가 미국의 일부가 될 가능성은 눈곱만큼도 없다"고 엑스에 쓴 글에 "당신은 더 이상 캐나다의 주지사가 아니다. 그러니 당신이 말하는 것은 중요하지 않다"고 댓글을 달았습니다.
머스크는 또 캐나다의 다음 총선에서 승리가 예상되는 캐나다 보수당의 피에르 포일리에브르 대표의 인터뷰 영상을 "훌륭한 인터뷰"라고 칭찬하며 엑스에 게시하는 등 보수당 대표를 캐나다의 차기 지도자로 지지하고 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소셜미디어 엑스 캡처]
25일(현지시간) 캐나다 의회 청원 사이트에 따르면 머스크의 캐나다 시민권을 취소해달라는 청원이 이날 오후 1시 30분(미 동부시간) 기준으로 24만8천12명의 서명을 받았습니다.
캐나다 총리 앞으로 제출된 이 청원은 "일론 머스크는 캐나다의 국익에 반하는 활동에 관여했고, 자신의 부와 권력을 이용해 우리의 선거에 영향을 미쳤다"며 "그는 이제 캐나다의 주권을 없애려는 외국 정부의 일원이 됐다"고 주장했습니다.
그러면서 "우리는 캐나다 시민으로서 총리에게 일론 머스크의 이중 국적 상태인 시민권을 취소하고 그의 캐나다 여권을 즉시 취소할 것을 요청한다"고 밝혔습니다.
캐나다 신민주당(NDP) 소속 찰리 앵거스 의원이 지난 20일 발의한 이 청원은 며칠 뒤 캐나다 현지 언론이 보도하면서 알려졌고, 이날 뉴욕타임스(NYT)와 워싱턴포스트(WP) 등 미국 주요 매체들도 이 청원 서명자 수가 20만명이 넘었다고 일제히 보도했습니다.
머스크는 이 청원 소식을 알린 엑스(X·옛 트위터) 사용자의 게시물에 "캐나다는 진짜 나라가 아니다"(Canada is not a real country)라고 응수했습니다.
1971년 남아프리카공화국에서 태어난 머스크는 18세 생일 직전에 캐나다로 이주했고, 캐나다 출신인 어머니를 따라 캐나다 시민권을 취득했습니다.
이후 2002년 미국 시민권을 취득해 현재 이중 국적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해 11월 대선 승리 뒤에 쥐스탱 트뤼도 캐나다 총리를 만나 대(對)캐나다 관세 부과 방침 등을 밝히면서 캐나다가 미국 관세를 피하려면 미국의 51번째 주가 되면 된다고 말하는 등 캐나다를 미국에 편입시키고 싶다는 뜻을 거듭 밝혀왔습니다.
머스크 역시 트럼프 대통령의 이런 발언에 맞장구를 쳐왔습니다.
머스크는 트뤼도 총리가 지난달 7일 "캐나다가 미국의 일부가 될 가능성은 눈곱만큼도 없다"고 엑스에 쓴 글에 "당신은 더 이상 캐나다의 주지사가 아니다. 그러니 당신이 말하는 것은 중요하지 않다"고 댓글을 달았습니다.
머스크는 또 캐나다의 다음 총선에서 승리가 예상되는 캐나다 보수당의 피에르 포일리에브르 대표의 인터뷰 영상을 "훌륭한 인터뷰"라고 칭찬하며 엑스에 게시하는 등 보수당 대표를 캐나다의 차기 지도자로 지지하고 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소셜미디어 엑스 캡처]
-
-
서영민 기자 seo0177@gmail.com
서영민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