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스크의 테슬라도 트럼프 정부에 “관세 우려” 의견 표명
입력 2025.03.14 (08:50)
수정 2025.03.14 (08:59)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최측근으로 꼽히는 일론 머스크의 전기차업체 테슬라가 미 무역대표부(USTR)에 관세 정책에 대한 우려를 표명했다고 블룸버그 통신 등 미 언론이 13일(현지시간) 전했습니다.
테슬라는 지난 11일 제이미슨 그리어 USTR 대표에게 보낸 서한에서 “미국의 수출업체들은 다른 나라들이 미국의 무역 조치에 대응할 때 본질적으로 불균형적인 영향에 노출된다”고 주장했습니다.
이어 “과거 미국의 무역 조치는 상대 국가들의 즉각적인 반응으로 이어졌으며, 여기에는 이들 국가로 수입되는 전기차에 대한 관세 인상 등이 포함된다”고 지적했습니다.
테슬라는 또 “공급망의 적극적인 (미국 내) 현지화에 노력했음에도 특정 부품은 미국 내에서 조달하기 어렵거나 불가능하다”고 설명했습니다.
그러면서 관세 정책이 수입 의존도가 높은 전기차와 배터리 공급망에 미칠 수 있는 영향을 고려해 달라고 촉구했습니다.
테슬라의 이런 서한은 USTR이 관세 정책에 따른 미국 기업들의 피해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해 업계 의견을 수렴하는 과정에서 제출된 것이라고 블룸버그는 전했습니다.
머스크는 트럼프 대통령의 강력한 지지자로 정부효율부(DOGE)를 맡아 연방기관 축소, 인력 감축을 주도하고 있지만,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으로 테슬라가 입는 타격은 불가피하다고 미 언론은 지적했습니다.
예를 들어 캐나다에서 세 번째로 인구가 많은 주인 브리티시컬럼비아주는 지역 주민들이 집에 테슬라 충전기를 설치할 때 주는 정부 보조금 지급을 중단하기로 했습니다.
데이비드 에비 브리티시컬럼비아 주지사는 이날 기자회견에서 이런 조치가 머스크를 겨냥한 것이라면서 “주민들은 머스크의 이익을 위해 자기 돈을 쓰고 싶어 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사진 출처 : 로이터=연합뉴스]
테슬라는 지난 11일 제이미슨 그리어 USTR 대표에게 보낸 서한에서 “미국의 수출업체들은 다른 나라들이 미국의 무역 조치에 대응할 때 본질적으로 불균형적인 영향에 노출된다”고 주장했습니다.
이어 “과거 미국의 무역 조치는 상대 국가들의 즉각적인 반응으로 이어졌으며, 여기에는 이들 국가로 수입되는 전기차에 대한 관세 인상 등이 포함된다”고 지적했습니다.
테슬라는 또 “공급망의 적극적인 (미국 내) 현지화에 노력했음에도 특정 부품은 미국 내에서 조달하기 어렵거나 불가능하다”고 설명했습니다.
그러면서 관세 정책이 수입 의존도가 높은 전기차와 배터리 공급망에 미칠 수 있는 영향을 고려해 달라고 촉구했습니다.
테슬라의 이런 서한은 USTR이 관세 정책에 따른 미국 기업들의 피해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해 업계 의견을 수렴하는 과정에서 제출된 것이라고 블룸버그는 전했습니다.
머스크는 트럼프 대통령의 강력한 지지자로 정부효율부(DOGE)를 맡아 연방기관 축소, 인력 감축을 주도하고 있지만,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으로 테슬라가 입는 타격은 불가피하다고 미 언론은 지적했습니다.
예를 들어 캐나다에서 세 번째로 인구가 많은 주인 브리티시컬럼비아주는 지역 주민들이 집에 테슬라 충전기를 설치할 때 주는 정부 보조금 지급을 중단하기로 했습니다.
데이비드 에비 브리티시컬럼비아 주지사는 이날 기자회견에서 이런 조치가 머스크를 겨냥한 것이라면서 “주민들은 머스크의 이익을 위해 자기 돈을 쓰고 싶어 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사진 출처 : 로이터=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머스크의 테슬라도 트럼프 정부에 “관세 우려” 의견 표명
-
- 입력 2025-03-14 08:50:20
- 수정2025-03-14 08:59:18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최측근으로 꼽히는 일론 머스크의 전기차업체 테슬라가 미 무역대표부(USTR)에 관세 정책에 대한 우려를 표명했다고 블룸버그 통신 등 미 언론이 13일(현지시간) 전했습니다.
테슬라는 지난 11일 제이미슨 그리어 USTR 대표에게 보낸 서한에서 “미국의 수출업체들은 다른 나라들이 미국의 무역 조치에 대응할 때 본질적으로 불균형적인 영향에 노출된다”고 주장했습니다.
이어 “과거 미국의 무역 조치는 상대 국가들의 즉각적인 반응으로 이어졌으며, 여기에는 이들 국가로 수입되는 전기차에 대한 관세 인상 등이 포함된다”고 지적했습니다.
테슬라는 또 “공급망의 적극적인 (미국 내) 현지화에 노력했음에도 특정 부품은 미국 내에서 조달하기 어렵거나 불가능하다”고 설명했습니다.
그러면서 관세 정책이 수입 의존도가 높은 전기차와 배터리 공급망에 미칠 수 있는 영향을 고려해 달라고 촉구했습니다.
테슬라의 이런 서한은 USTR이 관세 정책에 따른 미국 기업들의 피해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해 업계 의견을 수렴하는 과정에서 제출된 것이라고 블룸버그는 전했습니다.
머스크는 트럼프 대통령의 강력한 지지자로 정부효율부(DOGE)를 맡아 연방기관 축소, 인력 감축을 주도하고 있지만,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으로 테슬라가 입는 타격은 불가피하다고 미 언론은 지적했습니다.
예를 들어 캐나다에서 세 번째로 인구가 많은 주인 브리티시컬럼비아주는 지역 주민들이 집에 테슬라 충전기를 설치할 때 주는 정부 보조금 지급을 중단하기로 했습니다.
데이비드 에비 브리티시컬럼비아 주지사는 이날 기자회견에서 이런 조치가 머스크를 겨냥한 것이라면서 “주민들은 머스크의 이익을 위해 자기 돈을 쓰고 싶어 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사진 출처 : 로이터=연합뉴스]
테슬라는 지난 11일 제이미슨 그리어 USTR 대표에게 보낸 서한에서 “미국의 수출업체들은 다른 나라들이 미국의 무역 조치에 대응할 때 본질적으로 불균형적인 영향에 노출된다”고 주장했습니다.
이어 “과거 미국의 무역 조치는 상대 국가들의 즉각적인 반응으로 이어졌으며, 여기에는 이들 국가로 수입되는 전기차에 대한 관세 인상 등이 포함된다”고 지적했습니다.
테슬라는 또 “공급망의 적극적인 (미국 내) 현지화에 노력했음에도 특정 부품은 미국 내에서 조달하기 어렵거나 불가능하다”고 설명했습니다.
그러면서 관세 정책이 수입 의존도가 높은 전기차와 배터리 공급망에 미칠 수 있는 영향을 고려해 달라고 촉구했습니다.
테슬라의 이런 서한은 USTR이 관세 정책에 따른 미국 기업들의 피해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해 업계 의견을 수렴하는 과정에서 제출된 것이라고 블룸버그는 전했습니다.
머스크는 트럼프 대통령의 강력한 지지자로 정부효율부(DOGE)를 맡아 연방기관 축소, 인력 감축을 주도하고 있지만,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으로 테슬라가 입는 타격은 불가피하다고 미 언론은 지적했습니다.
예를 들어 캐나다에서 세 번째로 인구가 많은 주인 브리티시컬럼비아주는 지역 주민들이 집에 테슬라 충전기를 설치할 때 주는 정부 보조금 지급을 중단하기로 했습니다.
데이비드 에비 브리티시컬럼비아 주지사는 이날 기자회견에서 이런 조치가 머스크를 겨냥한 것이라면서 “주민들은 머스크의 이익을 위해 자기 돈을 쓰고 싶어 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사진 출처 : 로이터=연합뉴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