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계양 등 4개 토지거래허가구역, 지정 해제 후 거래량 감소
입력 2025.03.20 (14:39)
수정 2025.03.20 (15:0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2023년 말부터 지난해까지 순차적으로 토지거래허가구역에서 해제된 인천 시내 4곳의 부동산시장은 안정세를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인천시는 계양테크노밸리, 대장지구, 구월2 공공주택지구, 검암역세권 등 4곳에서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 직전 3개월과 직후 3개월의 토지 거래량을 분석한 결과 해제 이후 거래량이 오히려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고 오늘(20일) 밝혔습니다.
구역별로는 2023년 12월 해제된 계양테크노밸리 8.4㎢는 거래 필지가 275필지에서 234필지로 감소했습니다.
지난해 5월 해제된 대장지구 0.72㎢는 131필지에서 106필지로, 지난해 11월 해제된 검암역세권 6.15㎢는 232필지에서 204필지로 줄었습니다.
또, 지난해 7월 주거·상업지역 중심으로 일부 해제된 구월2 공공주택지구 8.48㎢는 862필지에서 751필지로 거래량이 감소했습니다.
현재 인천시에 남아 있는 토지거래허가구역은 구월2 공공주택지구와 인근지역을 합친 5.43㎢이며, 지정 기간은 오는 9월 20일까지입니다.
인천시는 "부동산시장 위축 상황과 해제 전후 거래량 등을 고려하면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가 시기적으로 적절했던 것으로 보인다"며, "앞으로도 투기 수요 유입 여부 등 부동산시장을 지속해서 모니터링하겠다"고 설명했습니다.
인천시는 계양테크노밸리, 대장지구, 구월2 공공주택지구, 검암역세권 등 4곳에서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 직전 3개월과 직후 3개월의 토지 거래량을 분석한 결과 해제 이후 거래량이 오히려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고 오늘(20일) 밝혔습니다.
구역별로는 2023년 12월 해제된 계양테크노밸리 8.4㎢는 거래 필지가 275필지에서 234필지로 감소했습니다.
지난해 5월 해제된 대장지구 0.72㎢는 131필지에서 106필지로, 지난해 11월 해제된 검암역세권 6.15㎢는 232필지에서 204필지로 줄었습니다.
또, 지난해 7월 주거·상업지역 중심으로 일부 해제된 구월2 공공주택지구 8.48㎢는 862필지에서 751필지로 거래량이 감소했습니다.
현재 인천시에 남아 있는 토지거래허가구역은 구월2 공공주택지구와 인근지역을 합친 5.43㎢이며, 지정 기간은 오는 9월 20일까지입니다.
인천시는 "부동산시장 위축 상황과 해제 전후 거래량 등을 고려하면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가 시기적으로 적절했던 것으로 보인다"며, "앞으로도 투기 수요 유입 여부 등 부동산시장을 지속해서 모니터링하겠다"고 설명했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인천 계양 등 4개 토지거래허가구역, 지정 해제 후 거래량 감소
-
- 입력 2025-03-20 14:39:42
- 수정2025-03-20 15:02:55

2023년 말부터 지난해까지 순차적으로 토지거래허가구역에서 해제된 인천 시내 4곳의 부동산시장은 안정세를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인천시는 계양테크노밸리, 대장지구, 구월2 공공주택지구, 검암역세권 등 4곳에서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 직전 3개월과 직후 3개월의 토지 거래량을 분석한 결과 해제 이후 거래량이 오히려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고 오늘(20일) 밝혔습니다.
구역별로는 2023년 12월 해제된 계양테크노밸리 8.4㎢는 거래 필지가 275필지에서 234필지로 감소했습니다.
지난해 5월 해제된 대장지구 0.72㎢는 131필지에서 106필지로, 지난해 11월 해제된 검암역세권 6.15㎢는 232필지에서 204필지로 줄었습니다.
또, 지난해 7월 주거·상업지역 중심으로 일부 해제된 구월2 공공주택지구 8.48㎢는 862필지에서 751필지로 거래량이 감소했습니다.
현재 인천시에 남아 있는 토지거래허가구역은 구월2 공공주택지구와 인근지역을 합친 5.43㎢이며, 지정 기간은 오는 9월 20일까지입니다.
인천시는 "부동산시장 위축 상황과 해제 전후 거래량 등을 고려하면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가 시기적으로 적절했던 것으로 보인다"며, "앞으로도 투기 수요 유입 여부 등 부동산시장을 지속해서 모니터링하겠다"고 설명했습니다.
인천시는 계양테크노밸리, 대장지구, 구월2 공공주택지구, 검암역세권 등 4곳에서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 직전 3개월과 직후 3개월의 토지 거래량을 분석한 결과 해제 이후 거래량이 오히려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고 오늘(20일) 밝혔습니다.
구역별로는 2023년 12월 해제된 계양테크노밸리 8.4㎢는 거래 필지가 275필지에서 234필지로 감소했습니다.
지난해 5월 해제된 대장지구 0.72㎢는 131필지에서 106필지로, 지난해 11월 해제된 검암역세권 6.15㎢는 232필지에서 204필지로 줄었습니다.
또, 지난해 7월 주거·상업지역 중심으로 일부 해제된 구월2 공공주택지구 8.48㎢는 862필지에서 751필지로 거래량이 감소했습니다.
현재 인천시에 남아 있는 토지거래허가구역은 구월2 공공주택지구와 인근지역을 합친 5.43㎢이며, 지정 기간은 오는 9월 20일까지입니다.
인천시는 "부동산시장 위축 상황과 해제 전후 거래량 등을 고려하면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가 시기적으로 적절했던 것으로 보인다"며, "앞으로도 투기 수요 유입 여부 등 부동산시장을 지속해서 모니터링하겠다"고 설명했습니다.
-
-
박재우 기자 pjwoo@kbs.co.kr
박재우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