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가 기피인물로 지정해 추방한 남아공 대사 귀국

입력 2025.03.24 (08:46) 수정 2025.03.24 (08:59)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트럼프 미국 행정부에 비판적인 의견을 표명했다는 이유로 미국에서 쫓겨난 주미 남아공 대사가 자국인들의 환호 속에 귀국했습니다.

영국 가디언과 BBC 방송은 23일(현지시간) 남아공 케이프타운 공항에 수백 명이 모여 에브라힘 라술 대사의 귀국을 환영했다고 보도했습니다.

라술 대사는 이 자리에서 "나를 기피 인물로 지정한 것은 모욕감을 주기 위한 것이지만 이렇게 따뜻한 환호를 받은 만큼 명예로운 훈장으로 삼겠다"고 감사를 표했습니다.

라술 대사는 지난 14일 미국으로부터 외교적 기피인물(페르소나 논 그라타)로 지정돼 추방 통보를 받았습니다.

미국이 자국에 주재하는 외국 대사를 추방한 것은 매우 이례적인 일로, 라술 대사가 남아공의 한 싱크탱크가 주최한 웨비나에서 한 발언이 원인으로 지목됩니다.

당시 라술 대사는 트럼프 행정부의 다양성 정책과 이민자에 대한 탄압을 거론하고, 'MAGA'(Make America Great Again·미국을 다시 위대하게) 운동이 단순히 우월주의 본능이 아니라 미국에서 더는 백인이 다수가 되지 않을 수 있다는 데 대한 반응이라고 언급했습니다.

이에 마코 루비오 미 국무장관은 라술 대사를 "미국과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을 혐오하는 인종 공격을 하는 정치인"이라고 비판했습니다.

라술 대사는 자신의 발언은 단순히 남아공의 지식인과 정치지도자들에게 미국 정치가 변했다는 점을 경고하기 위한 것이었다고 주장했습니다.

라술 대사는 "지금은 오바마의 미국도 아니고 클린턴의 미국도 아니며 다른 미국이기 때문에 우리도 바뀌어야 한다"며 "인물이나 국가가 아닌 정치 현상에 대한 분석을 한 것이므로 내 입장을 고수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이어 남아공은 국제사법재판소(ICJ)에 이스라엘을 팔레스타인 민간인 집단학살 혐의로 제소한 것을 취하하라는 미국의 압력에 굴복하지 않을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미국과 남아공의 관계는 트럼프 행정부가 들어선 이후 악화했습니다.

트럼프 정부는 미국의 동맹인 이스라엘을 제소한 것을 들어 남아공을 반미 국가라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미국은 또 남아공 정부의 토지 수용 정책이 "인종 차별적"이라면서 남아공에 대한 원조 또는 지원을 중단하는 행정명령도 발동했습니다.

[사진 출처 : AP=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트럼프가 기피인물로 지정해 추방한 남아공 대사 귀국
    • 입력 2025-03-24 08:46:19
    • 수정2025-03-24 08:59:46
    국제
트럼프 미국 행정부에 비판적인 의견을 표명했다는 이유로 미국에서 쫓겨난 주미 남아공 대사가 자국인들의 환호 속에 귀국했습니다.

영국 가디언과 BBC 방송은 23일(현지시간) 남아공 케이프타운 공항에 수백 명이 모여 에브라힘 라술 대사의 귀국을 환영했다고 보도했습니다.

라술 대사는 이 자리에서 "나를 기피 인물로 지정한 것은 모욕감을 주기 위한 것이지만 이렇게 따뜻한 환호를 받은 만큼 명예로운 훈장으로 삼겠다"고 감사를 표했습니다.

라술 대사는 지난 14일 미국으로부터 외교적 기피인물(페르소나 논 그라타)로 지정돼 추방 통보를 받았습니다.

미국이 자국에 주재하는 외국 대사를 추방한 것은 매우 이례적인 일로, 라술 대사가 남아공의 한 싱크탱크가 주최한 웨비나에서 한 발언이 원인으로 지목됩니다.

당시 라술 대사는 트럼프 행정부의 다양성 정책과 이민자에 대한 탄압을 거론하고, 'MAGA'(Make America Great Again·미국을 다시 위대하게) 운동이 단순히 우월주의 본능이 아니라 미국에서 더는 백인이 다수가 되지 않을 수 있다는 데 대한 반응이라고 언급했습니다.

이에 마코 루비오 미 국무장관은 라술 대사를 "미국과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을 혐오하는 인종 공격을 하는 정치인"이라고 비판했습니다.

라술 대사는 자신의 발언은 단순히 남아공의 지식인과 정치지도자들에게 미국 정치가 변했다는 점을 경고하기 위한 것이었다고 주장했습니다.

라술 대사는 "지금은 오바마의 미국도 아니고 클린턴의 미국도 아니며 다른 미국이기 때문에 우리도 바뀌어야 한다"며 "인물이나 국가가 아닌 정치 현상에 대한 분석을 한 것이므로 내 입장을 고수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이어 남아공은 국제사법재판소(ICJ)에 이스라엘을 팔레스타인 민간인 집단학살 혐의로 제소한 것을 취하하라는 미국의 압력에 굴복하지 않을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미국과 남아공의 관계는 트럼프 행정부가 들어선 이후 악화했습니다.

트럼프 정부는 미국의 동맹인 이스라엘을 제소한 것을 들어 남아공을 반미 국가라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미국은 또 남아공 정부의 토지 수용 정책이 "인종 차별적"이라면서 남아공에 대한 원조 또는 지원을 중단하는 행정명령도 발동했습니다.

[사진 출처 : AP=연합뉴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