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풍에 진화 어려워, 희생자 애도…복구 막막
입력 2025.03.25 (08:50)
수정 2025.03.25 (09:1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산청 산불이 좀처럼 잡히지 않습니다.
골짜기를 타고 부는 강한 골바람이 가장 큰 어려움입니다.
산불 진화에 나섰다가 진화대원과 공무원의 합동분향소가 설치돼 애도의 발길이 이어졌습니다.
배수영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산불 진화의 최전선.
진화대원들이 불을 끄기 위해 사투를 벌입니다.
순간 초속 5~10미터의 강풍에 불길이 또 다시 솟구칩니다.
["뒤쪽에 연기 재발됐습니다. 확인해 주세요. (네, 알겠습니다.)"]
진화를 가로막는 또다른 장애물은 급경사의 절벽과 쉽게 접근하기 힘든 발화지점입니다.
[진화 대원 : "몸은 많이 힘들죠. 진화 완료해야 되기 때문에 피곤하지만, 그래도 열심히 하고 있습니다."]
산불이 지나간 마을은 폐허로 변했습니다.
태어나고 자란 집이 한순간 폐허가 된 모습에 일흔 살 노인의 마음은 먹먹합니다.
[백윤조/중태마을 주민 : "이야기만 나오면 착잡합니다. 아무것도 영정사진도, 앨범 사진도 못 가져 나오고. 대피만 했어요."]
딸기 특산지인 산청과 하동.
제철 대목은 연기 속에 사라졌습니다.
대피와 복귀를 반복하느라 수확 때를 놓쳤습니다.
[연광모/산청 덕산딸기연합회 : "마음이 뒤숭숭하고 심란하고 하니까 작업도 제대로 못했어요. 어제도 일을 빨리 접고 애들(작업자들) 대피 준비(시키고.)"]
산불을 진화하다 산화한 희생자 4명을 위한 합동분향소가 창녕군민체육관에 마련됐습니다.
[정다현/창녕고 3학년 : "주말에 일이 있고 나서 아침에 학교에서 묵념을 하고 또 저희끼리 학생회와 축구부가 모여서 다 애도하러 가자고 말해서 왔습니다."]
분향소에는 창녕지역 주민들의 애도의 행렬이 끊이지 않았습니다.
산청에서 시작된 산불은 하동으로 옮겨붙은 다급한 상황.
정부는 하동도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했습니다.
KBS 뉴스 배수영입니다.
산청 산불이 좀처럼 잡히지 않습니다.
골짜기를 타고 부는 강한 골바람이 가장 큰 어려움입니다.
산불 진화에 나섰다가 진화대원과 공무원의 합동분향소가 설치돼 애도의 발길이 이어졌습니다.
배수영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산불 진화의 최전선.
진화대원들이 불을 끄기 위해 사투를 벌입니다.
순간 초속 5~10미터의 강풍에 불길이 또 다시 솟구칩니다.
["뒤쪽에 연기 재발됐습니다. 확인해 주세요. (네, 알겠습니다.)"]
진화를 가로막는 또다른 장애물은 급경사의 절벽과 쉽게 접근하기 힘든 발화지점입니다.
[진화 대원 : "몸은 많이 힘들죠. 진화 완료해야 되기 때문에 피곤하지만, 그래도 열심히 하고 있습니다."]
산불이 지나간 마을은 폐허로 변했습니다.
태어나고 자란 집이 한순간 폐허가 된 모습에 일흔 살 노인의 마음은 먹먹합니다.
[백윤조/중태마을 주민 : "이야기만 나오면 착잡합니다. 아무것도 영정사진도, 앨범 사진도 못 가져 나오고. 대피만 했어요."]
딸기 특산지인 산청과 하동.
제철 대목은 연기 속에 사라졌습니다.
대피와 복귀를 반복하느라 수확 때를 놓쳤습니다.
[연광모/산청 덕산딸기연합회 : "마음이 뒤숭숭하고 심란하고 하니까 작업도 제대로 못했어요. 어제도 일을 빨리 접고 애들(작업자들) 대피 준비(시키고.)"]
산불을 진화하다 산화한 희생자 4명을 위한 합동분향소가 창녕군민체육관에 마련됐습니다.
[정다현/창녕고 3학년 : "주말에 일이 있고 나서 아침에 학교에서 묵념을 하고 또 저희끼리 학생회와 축구부가 모여서 다 애도하러 가자고 말해서 왔습니다."]
분향소에는 창녕지역 주민들의 애도의 행렬이 끊이지 않았습니다.
산청에서 시작된 산불은 하동으로 옮겨붙은 다급한 상황.
정부는 하동도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했습니다.
KBS 뉴스 배수영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강풍에 진화 어려워, 희생자 애도…복구 막막
-
- 입력 2025-03-25 08:50:57
- 수정2025-03-25 09:15:33

[앵커]
산청 산불이 좀처럼 잡히지 않습니다.
골짜기를 타고 부는 강한 골바람이 가장 큰 어려움입니다.
산불 진화에 나섰다가 진화대원과 공무원의 합동분향소가 설치돼 애도의 발길이 이어졌습니다.
배수영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산불 진화의 최전선.
진화대원들이 불을 끄기 위해 사투를 벌입니다.
순간 초속 5~10미터의 강풍에 불길이 또 다시 솟구칩니다.
["뒤쪽에 연기 재발됐습니다. 확인해 주세요. (네, 알겠습니다.)"]
진화를 가로막는 또다른 장애물은 급경사의 절벽과 쉽게 접근하기 힘든 발화지점입니다.
[진화 대원 : "몸은 많이 힘들죠. 진화 완료해야 되기 때문에 피곤하지만, 그래도 열심히 하고 있습니다."]
산불이 지나간 마을은 폐허로 변했습니다.
태어나고 자란 집이 한순간 폐허가 된 모습에 일흔 살 노인의 마음은 먹먹합니다.
[백윤조/중태마을 주민 : "이야기만 나오면 착잡합니다. 아무것도 영정사진도, 앨범 사진도 못 가져 나오고. 대피만 했어요."]
딸기 특산지인 산청과 하동.
제철 대목은 연기 속에 사라졌습니다.
대피와 복귀를 반복하느라 수확 때를 놓쳤습니다.
[연광모/산청 덕산딸기연합회 : "마음이 뒤숭숭하고 심란하고 하니까 작업도 제대로 못했어요. 어제도 일을 빨리 접고 애들(작업자들) 대피 준비(시키고.)"]
산불을 진화하다 산화한 희생자 4명을 위한 합동분향소가 창녕군민체육관에 마련됐습니다.
[정다현/창녕고 3학년 : "주말에 일이 있고 나서 아침에 학교에서 묵념을 하고 또 저희끼리 학생회와 축구부가 모여서 다 애도하러 가자고 말해서 왔습니다."]
분향소에는 창녕지역 주민들의 애도의 행렬이 끊이지 않았습니다.
산청에서 시작된 산불은 하동으로 옮겨붙은 다급한 상황.
정부는 하동도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했습니다.
KBS 뉴스 배수영입니다.
산청 산불이 좀처럼 잡히지 않습니다.
골짜기를 타고 부는 강한 골바람이 가장 큰 어려움입니다.
산불 진화에 나섰다가 진화대원과 공무원의 합동분향소가 설치돼 애도의 발길이 이어졌습니다.
배수영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산불 진화의 최전선.
진화대원들이 불을 끄기 위해 사투를 벌입니다.
순간 초속 5~10미터의 강풍에 불길이 또 다시 솟구칩니다.
["뒤쪽에 연기 재발됐습니다. 확인해 주세요. (네, 알겠습니다.)"]
진화를 가로막는 또다른 장애물은 급경사의 절벽과 쉽게 접근하기 힘든 발화지점입니다.
[진화 대원 : "몸은 많이 힘들죠. 진화 완료해야 되기 때문에 피곤하지만, 그래도 열심히 하고 있습니다."]
산불이 지나간 마을은 폐허로 변했습니다.
태어나고 자란 집이 한순간 폐허가 된 모습에 일흔 살 노인의 마음은 먹먹합니다.
[백윤조/중태마을 주민 : "이야기만 나오면 착잡합니다. 아무것도 영정사진도, 앨범 사진도 못 가져 나오고. 대피만 했어요."]
딸기 특산지인 산청과 하동.
제철 대목은 연기 속에 사라졌습니다.
대피와 복귀를 반복하느라 수확 때를 놓쳤습니다.
[연광모/산청 덕산딸기연합회 : "마음이 뒤숭숭하고 심란하고 하니까 작업도 제대로 못했어요. 어제도 일을 빨리 접고 애들(작업자들) 대피 준비(시키고.)"]
산불을 진화하다 산화한 희생자 4명을 위한 합동분향소가 창녕군민체육관에 마련됐습니다.
[정다현/창녕고 3학년 : "주말에 일이 있고 나서 아침에 학교에서 묵념을 하고 또 저희끼리 학생회와 축구부가 모여서 다 애도하러 가자고 말해서 왔습니다."]
분향소에는 창녕지역 주민들의 애도의 행렬이 끊이지 않았습니다.
산청에서 시작된 산불은 하동으로 옮겨붙은 다급한 상황.
정부는 하동도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했습니다.
KBS 뉴스 배수영입니다.
-
-
배수영 기자 sooyoung@kbs.co.kr
배수영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