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위공직자 평균 재산 20억 6천여만 원…70% 재산 늘어

입력 2025.03.27 (00:04) 수정 2025.03.27 (13:43)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재산 공개 대상인 정부 고위 공직자 2천여 명의 평균 신고 재산이 20억 6천여만 원으로 집계됐습니다.

정부공직자윤리위원회는 오늘(27일) 중앙부처 고위 공무원 838명과 지방자치단체 소속 1,209명의 재산 내역을 공직윤리시스템과 관보를 통해 공개했습니다.

■ 고위공직자 평균 재산 20억 6,314만 원…70% 재산 늘어

지난해 12월 31일 기준 재산 공개 대상 고위 공직자들의 평균 신고 재산은 20억 6,314만 원으로 나타났습니다.

공직자 본인은 평균 10억 8,952만 원을 보유 중이고, 배우자는 8억 368만 원, 직계존비속이 1억 6,994만 원을 보유한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재산 공개 대상자 가운데 70.3%인 1,440명은 종전 신고 때보다 재산이 증가했고, 29.7%인 607명은 재산이 줄었습니다.

재산 규모별로 보면 20억 원 이상이 644명으로 3명 가운데 1명꼴(31.5%)이었고, 이어 10~20억 원이 29.8%인 610명, 5~10억 원이 18.2%인 373명이었습니다.

■ 윤석열 대통령, 구금으로 재산 신고 유예…이원모 공직기강비서관 397억 신고

윤석열 대통령은 내란 혐의 수사에 따른 구금으로 이번에 재산 변동 사항을 신고하지 못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정기 공직자 재산공개에서 현직 대통령이 빠진 것은 1993년 제도가 도입된 이후 처음입니다.

인사혁신처 관계자는 "윤 대통령이 1월 15일부터 3월 8일까지 구속 상태였기 때문에 1월 1일부터 2월 28일까지 정기 변동 신고를 할 수 없는 상황이었다"고 설명했습니다.

지난 8일 구속이 취소된 윤 대통령은 두 달 안에 재산 변동 사항을 신고해야 하고, 이후 수시 재산공개 때 변동 내용이 공개될 예정입니다.

윤 대통령을 뺀 대통령실 비선관급 이상 54명 중 가장 많은 재산을 신고한 공직자는 이원모 공직기강비서관으로, 397억 8,900만 원의 재산을 신고했습니다.

이어 김동조 국정기획비서관이 353억 7,900만 원, 홍철호 정무수석비서관이 261억 3,800만 원을 신고했습니다.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은 이전 신고 때보다 3억 8천만 원 늘어난 87억여 원을 신고했습니다.

■ '재산 1위' 1,046억 원 신고…'고지 거부' 46.5%

재산공개 대상자 가운데 총액이 가장 많은 공직자는 1,046억 8천여만 원을 신고한 이세웅 행정안전부 이북5도위원회 평안북도지사였고, 조성명 강남구청장이 482억여 원으로 2위를 기록했습니다.

변필건 법무부 기획조정실장은 재산 총액이 477억 6천여만 원을 신고해 3위에 올랐고, 최지영 기획재정부 국제경제관리관이 410억 9천여만 원으로 뒤를 이었습니다.

광역단체장 중에는 오세훈 서울시장이 74억여 원으로 재산이 가장 많았습니다.

고지 대상자 중 독립 생계 등을 이유로 부모와 자녀의 재산 고지를 거부한 비율은 952명, 46.5%였습니다.

고지 거부율은 2023년 39.9%, 지난해 43.6%였는데 올해 더 높아졌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고위공직자 평균 재산 20억 6천여만 원…70% 재산 늘어
    • 입력 2025-03-27 00:04:35
    • 수정2025-03-27 13:43:47
    사회
재산 공개 대상인 정부 고위 공직자 2천여 명의 평균 신고 재산이 20억 6천여만 원으로 집계됐습니다.

정부공직자윤리위원회는 오늘(27일) 중앙부처 고위 공무원 838명과 지방자치단체 소속 1,209명의 재산 내역을 공직윤리시스템과 관보를 통해 공개했습니다.

■ 고위공직자 평균 재산 20억 6,314만 원…70% 재산 늘어

지난해 12월 31일 기준 재산 공개 대상 고위 공직자들의 평균 신고 재산은 20억 6,314만 원으로 나타났습니다.

공직자 본인은 평균 10억 8,952만 원을 보유 중이고, 배우자는 8억 368만 원, 직계존비속이 1억 6,994만 원을 보유한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재산 공개 대상자 가운데 70.3%인 1,440명은 종전 신고 때보다 재산이 증가했고, 29.7%인 607명은 재산이 줄었습니다.

재산 규모별로 보면 20억 원 이상이 644명으로 3명 가운데 1명꼴(31.5%)이었고, 이어 10~20억 원이 29.8%인 610명, 5~10억 원이 18.2%인 373명이었습니다.

■ 윤석열 대통령, 구금으로 재산 신고 유예…이원모 공직기강비서관 397억 신고

윤석열 대통령은 내란 혐의 수사에 따른 구금으로 이번에 재산 변동 사항을 신고하지 못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정기 공직자 재산공개에서 현직 대통령이 빠진 것은 1993년 제도가 도입된 이후 처음입니다.

인사혁신처 관계자는 "윤 대통령이 1월 15일부터 3월 8일까지 구속 상태였기 때문에 1월 1일부터 2월 28일까지 정기 변동 신고를 할 수 없는 상황이었다"고 설명했습니다.

지난 8일 구속이 취소된 윤 대통령은 두 달 안에 재산 변동 사항을 신고해야 하고, 이후 수시 재산공개 때 변동 내용이 공개될 예정입니다.

윤 대통령을 뺀 대통령실 비선관급 이상 54명 중 가장 많은 재산을 신고한 공직자는 이원모 공직기강비서관으로, 397억 8,900만 원의 재산을 신고했습니다.

이어 김동조 국정기획비서관이 353억 7,900만 원, 홍철호 정무수석비서관이 261억 3,800만 원을 신고했습니다.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은 이전 신고 때보다 3억 8천만 원 늘어난 87억여 원을 신고했습니다.

■ '재산 1위' 1,046억 원 신고…'고지 거부' 46.5%

재산공개 대상자 가운데 총액이 가장 많은 공직자는 1,046억 8천여만 원을 신고한 이세웅 행정안전부 이북5도위원회 평안북도지사였고, 조성명 강남구청장이 482억여 원으로 2위를 기록했습니다.

변필건 법무부 기획조정실장은 재산 총액이 477억 6천여만 원을 신고해 3위에 올랐고, 최지영 기획재정부 국제경제관리관이 410억 9천여만 원으로 뒤를 이었습니다.

광역단체장 중에는 오세훈 서울시장이 74억여 원으로 재산이 가장 많았습니다.

고지 대상자 중 독립 생계 등을 이유로 부모와 자녀의 재산 고지를 거부한 비율은 952명, 46.5%였습니다.

고지 거부율은 2023년 39.9%, 지난해 43.6%였는데 올해 더 높아졌습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