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전력자립률 186%…‘권역별 차등요금’ 역차별!

입력 2025.03.27 (21:48) 수정 2025.03.27 (21:53)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정부가 내년부터 전기요금을 수도권과 비수도권, 제주권 등 3개 권역으로 나눠 부과하는 '지역별 차등요금'을 도입할 예정입니다.

그러나, 인천과 부산 등 전력 자립률이 100%가 넘는 지역은 오히려 역차별을 받는다며, 별도 인센티브 부과 등 대안 마련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보도에 박재우 기자입니다.

[리포트]

용광로의 핵심부품을 생산해 20여 개 나라의 제철소에 수출하고 있는 인천의 한 주물회사.

지난해 매출 500억 원을 올렸지만, 요즘 최대 고민은 연간 15억 원이 넘는 전기요금 문제입니다.

정부가 내년부터 전기요금을 수도권, 비수도권, 제주 등 3개 권역별로 '차등요금제'를 도입하면, 인천은 서울, 경기와 같은 권역으로 묶여 요금 인상이 불가피하기 때문입니다.

[이기래/서울엔지니어링 상무 : "(전기요금이)오르게 되면, 가격 경쟁력에서 다른 회사, 국내뿐만 아니라 외국 회사와도 경쟁력에서 뒤처질 것입니다."]

현재 인천은 발전소가 6기나 있어 전력 자립률 186%로, 광역시 가운데 가장 높습니다.

자체 생산한 전력의 절반 가까이 서울과 경기도에 지원하는 것입니다.

특히, '권역별 차등 요금'을 도입하면 수도권 제조업체들의 전기요금이 연간 1조 4천억 원 늘어날 것으로 예상돼 인천은 역차별을 받는 셈입니다.

[조현석/인하대 수소융합시스템연구소 책임 : "인천 같은 경우는 대부분의 (남는) 전력을 그대로 서울로 보내고만 있기 때문에, 인천의 특수성을 많이 고려해 주실 필요가 있습니다."]

이 때문에, 인천·부산 등 전력 자립률이 100%가 넘는 지역의 산업계에서는 별도 인센티브를 요구하고 있습니다.

[박주봉/인천상공회의소 회장 : "인천 지역은 86%에 대한 인센티브를 반드시 지불해야만 (차등요금제 도입이) 가능하다는 게 산업계의 의견입니다."]

국회에서도 전력 자립률이 10%인 지역과의 형평성을 고려해, '시도별 차등 요금' 등 수정안이 발의됐습니다.

KBS 뉴스 박재웁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인천 전력자립률 186%…‘권역별 차등요금’ 역차별!
    • 입력 2025-03-27 21:48:30
    • 수정2025-03-27 21:53:24
    뉴스9(경인)
[앵커]

정부가 내년부터 전기요금을 수도권과 비수도권, 제주권 등 3개 권역으로 나눠 부과하는 '지역별 차등요금'을 도입할 예정입니다.

그러나, 인천과 부산 등 전력 자립률이 100%가 넘는 지역은 오히려 역차별을 받는다며, 별도 인센티브 부과 등 대안 마련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보도에 박재우 기자입니다.

[리포트]

용광로의 핵심부품을 생산해 20여 개 나라의 제철소에 수출하고 있는 인천의 한 주물회사.

지난해 매출 500억 원을 올렸지만, 요즘 최대 고민은 연간 15억 원이 넘는 전기요금 문제입니다.

정부가 내년부터 전기요금을 수도권, 비수도권, 제주 등 3개 권역별로 '차등요금제'를 도입하면, 인천은 서울, 경기와 같은 권역으로 묶여 요금 인상이 불가피하기 때문입니다.

[이기래/서울엔지니어링 상무 : "(전기요금이)오르게 되면, 가격 경쟁력에서 다른 회사, 국내뿐만 아니라 외국 회사와도 경쟁력에서 뒤처질 것입니다."]

현재 인천은 발전소가 6기나 있어 전력 자립률 186%로, 광역시 가운데 가장 높습니다.

자체 생산한 전력의 절반 가까이 서울과 경기도에 지원하는 것입니다.

특히, '권역별 차등 요금'을 도입하면 수도권 제조업체들의 전기요금이 연간 1조 4천억 원 늘어날 것으로 예상돼 인천은 역차별을 받는 셈입니다.

[조현석/인하대 수소융합시스템연구소 책임 : "인천 같은 경우는 대부분의 (남는) 전력을 그대로 서울로 보내고만 있기 때문에, 인천의 특수성을 많이 고려해 주실 필요가 있습니다."]

이 때문에, 인천·부산 등 전력 자립률이 100%가 넘는 지역의 산업계에서는 별도 인센티브를 요구하고 있습니다.

[박주봉/인천상공회의소 회장 : "인천 지역은 86%에 대한 인센티브를 반드시 지불해야만 (차등요금제 도입이) 가능하다는 게 산업계의 의견입니다."]

국회에서도 전력 자립률이 10%인 지역과의 형평성을 고려해, '시도별 차등 요금' 등 수정안이 발의됐습니다.

KBS 뉴스 박재웁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