멕시코 “미국과 차량 부품 등 ‘관세 우대’ 협상 중”

입력 2025.03.28 (01:44) 수정 2025.03.28 (02:2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멕시코 정부가 자동차 부품을 포함한 품목에서 미국의 관세 우대 조처를 끌어내기 위해 협상 중이라고 밝혔습니다.

클라우디아 셰인바움 멕시코 대통령은 현지시각 27일 아침 정례 기자회견에서 "자동차 분야의 경우 미국 정부 발표대로 미국·멕시코·캐나다 협정(USMCA)을 적용받는 부품에 대해선 당분간 무관세가 유지된다"며 "우리는 협상을 통해 새로운 조건을 어떻게 활용할 수 있을지 알려드릴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셰인바움 대통령은 미국 정부에서 철강·알루미늄·외국산 자동차 등 수입품에 대해 25% 관세를 부과하기로 예고한 4월 3일 이전에 포괄적인 정보를 제공하겠다고 전했습니다.

그러면서 "4월 2일쯤 미국뿐만 아니라 전 세계를 향해 우리의 전략을 발표할 수 있을 것"이라며 "멕시코는 미국과 활발하게 협의 중이며, 우리가 이 정도의 의사소통을 하는 유일한 나라라고 생각한다"고 덧붙였습니다.

현재 미국 당국과 관련 논의를 진행 중인 마르셀로 에브라르드 멕시코 경제부 장관은 화상 연결을 통해 하워드 러트닉 미 상무부 장관과 지금까지 최소 6차례 만났다고 밝혔습니다.

에브라르드 경제장관은 "멕시코에서 생산되는 차량에 미국산 부품 사용 비율이 높아지고 있다는 점을 미 당국도 인지하고 있으며, 그 사용 정도에 따라 관세 비율은 큰 차이를 보일 것"이라며 "궁극적으로는 멕시코에서 생산되는 자동차 부품은 관세 면제가 될 수 있도록 협상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또 멕시코에 진출해 있는 제조업체들이 "국경을 넘을 때 중복 관세를 부과받지 않을 것으로 기대한다"면서도 중복 관세 품목 등 구체적인 내용에 관해서는 설명하지 않았습니다.

멕시코 자동차 산업은 제너럴모터스(GM)·포드·스텔란티스 등 미국 '빅3' 완성차 메이커를 포함해 미국·멕시코·캐나다 협정에 따른 니어쇼어링, 즉 인접지로의 생산지 이전 효과를 노린 업체들의 투자 덕분에 최근 급속히 성장했습니다.

멕시코자동차협회(AMIA)에 따르면 이곳에서는 지난해 자동차 396만4천12대를 생산해 이 중 70%가량을 미국으로 수출했습니다.

[사진 출처 : AFP=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멕시코 “미국과 차량 부품 등 ‘관세 우대’ 협상 중”
    • 입력 2025-03-28 01:44:56
    • 수정2025-03-28 02:24:17
    국제
멕시코 정부가 자동차 부품을 포함한 품목에서 미국의 관세 우대 조처를 끌어내기 위해 협상 중이라고 밝혔습니다.

클라우디아 셰인바움 멕시코 대통령은 현지시각 27일 아침 정례 기자회견에서 "자동차 분야의 경우 미국 정부 발표대로 미국·멕시코·캐나다 협정(USMCA)을 적용받는 부품에 대해선 당분간 무관세가 유지된다"며 "우리는 협상을 통해 새로운 조건을 어떻게 활용할 수 있을지 알려드릴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셰인바움 대통령은 미국 정부에서 철강·알루미늄·외국산 자동차 등 수입품에 대해 25% 관세를 부과하기로 예고한 4월 3일 이전에 포괄적인 정보를 제공하겠다고 전했습니다.

그러면서 "4월 2일쯤 미국뿐만 아니라 전 세계를 향해 우리의 전략을 발표할 수 있을 것"이라며 "멕시코는 미국과 활발하게 협의 중이며, 우리가 이 정도의 의사소통을 하는 유일한 나라라고 생각한다"고 덧붙였습니다.

현재 미국 당국과 관련 논의를 진행 중인 마르셀로 에브라르드 멕시코 경제부 장관은 화상 연결을 통해 하워드 러트닉 미 상무부 장관과 지금까지 최소 6차례 만났다고 밝혔습니다.

에브라르드 경제장관은 "멕시코에서 생산되는 차량에 미국산 부품 사용 비율이 높아지고 있다는 점을 미 당국도 인지하고 있으며, 그 사용 정도에 따라 관세 비율은 큰 차이를 보일 것"이라며 "궁극적으로는 멕시코에서 생산되는 자동차 부품은 관세 면제가 될 수 있도록 협상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또 멕시코에 진출해 있는 제조업체들이 "국경을 넘을 때 중복 관세를 부과받지 않을 것으로 기대한다"면서도 중복 관세 품목 등 구체적인 내용에 관해서는 설명하지 않았습니다.

멕시코 자동차 산업은 제너럴모터스(GM)·포드·스텔란티스 등 미국 '빅3' 완성차 메이커를 포함해 미국·멕시코·캐나다 협정에 따른 니어쇼어링, 즉 인접지로의 생산지 이전 효과를 노린 업체들의 투자 덕분에 최근 급속히 성장했습니다.

멕시코자동차협회(AMIA)에 따르면 이곳에서는 지난해 자동차 396만4천12대를 생산해 이 중 70%가량을 미국으로 수출했습니다.

[사진 출처 : AFP=연합뉴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