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HO “미국 홍역 발병 최근 석달간 378건…사망 2명”
입력 2025.03.28 (20:48)
수정 2025.03.28 (20:5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10년 만에 홍역 사망 사례가 나온 미국에서 홍역 감염자가 계속 증가세입니다.
현지시각 28일 세계보건기구(WHO)가 미국에서 통보받은 홍역 감염 현황에 따르면, 올해 1월 초부터 지난 20일까지 미국 17개 주에서 378건의 홍역 발병 사례가 나왔습니다. 사망자는 2명으로 집계됐습니다.
지난 2월 26일 10년 만에 처음으로 미국 텍사스주 서북부 서벅시에서 홍역 사망자가 나온 데 이어 추가 사망 사례가 뒤따랐습니다.
세계보건기구는 “예년에 비해 홍역 발생 건수가 증가했다”며 “감염자는 백신 접종을 받지 않았거나 접종 여부가 불확실한 어린이가 대다수”라고 전했습니다.
호흡기 감염병인 홍역은 전염성이 강하며 발진, 발열, 기침 등의 증상을 유발합니다. 심한 경우 실명, 폐렴, 뇌염 등 합병증으로 이어질 수 있고 어린이가 특히 취약합니다. 미국이 WHO에 보고한 올해 홍역 감염자 입원율은 17%입니다.
미국은 2000년 홍역을 근절했다고 선언했지만 이후에도 해외 입국 등의 경로로 발병자가 나왔습니다. 최근 텍사스주에서 확산한 홍역은 멕시코에서도 관련 사례가 보고됐습니다.
세계보건기구는 홍역-볼거리-풍진(MMR) 백신을 접종하는 것이 홍역을 예방하는 가장 좋은 방법이라고 권장했습니다.
미국에서 올해 홍역이 빠르게 번진 건 홍역 백신이 자폐증과 관련이 있다는 소문 탓에 일부 지역 학부모가 자녀의 백신 접종을 꺼렸기 때문이라는 지적이 나옵니다. 전문가 대부분은 이런 홍역 백신 유해론이 근거 없는 주장이라고 보고 있습니다.
이 논란은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 차기 국장 지명을 한차례 철회한 배경이 되기도 했습니다.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CDC 차기 국장으로 지명한 연방 하원의원 출신의 데이브 웰던 후보자는 지난 13일 돌연 지명이 철회됐습니다. 홍역 백신의 안전성에 의문을 제기했던 그가 최근의 홍역 발병 확산세 속에서 연방 상원 복지위원회의 인사청문회를 넘지 못할 거라는 게 지명 철회 배경으로 꼽혔습니다. 트럼프 행정부는 지난 24일 수전 모나레즈 현 CDC 국장대행을 차기 국장으로 새로 지명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현지시각 28일 세계보건기구(WHO)가 미국에서 통보받은 홍역 감염 현황에 따르면, 올해 1월 초부터 지난 20일까지 미국 17개 주에서 378건의 홍역 발병 사례가 나왔습니다. 사망자는 2명으로 집계됐습니다.
지난 2월 26일 10년 만에 처음으로 미국 텍사스주 서북부 서벅시에서 홍역 사망자가 나온 데 이어 추가 사망 사례가 뒤따랐습니다.
세계보건기구는 “예년에 비해 홍역 발생 건수가 증가했다”며 “감염자는 백신 접종을 받지 않았거나 접종 여부가 불확실한 어린이가 대다수”라고 전했습니다.
호흡기 감염병인 홍역은 전염성이 강하며 발진, 발열, 기침 등의 증상을 유발합니다. 심한 경우 실명, 폐렴, 뇌염 등 합병증으로 이어질 수 있고 어린이가 특히 취약합니다. 미국이 WHO에 보고한 올해 홍역 감염자 입원율은 17%입니다.
미국은 2000년 홍역을 근절했다고 선언했지만 이후에도 해외 입국 등의 경로로 발병자가 나왔습니다. 최근 텍사스주에서 확산한 홍역은 멕시코에서도 관련 사례가 보고됐습니다.
세계보건기구는 홍역-볼거리-풍진(MMR) 백신을 접종하는 것이 홍역을 예방하는 가장 좋은 방법이라고 권장했습니다.
미국에서 올해 홍역이 빠르게 번진 건 홍역 백신이 자폐증과 관련이 있다는 소문 탓에 일부 지역 학부모가 자녀의 백신 접종을 꺼렸기 때문이라는 지적이 나옵니다. 전문가 대부분은 이런 홍역 백신 유해론이 근거 없는 주장이라고 보고 있습니다.
이 논란은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 차기 국장 지명을 한차례 철회한 배경이 되기도 했습니다.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CDC 차기 국장으로 지명한 연방 하원의원 출신의 데이브 웰던 후보자는 지난 13일 돌연 지명이 철회됐습니다. 홍역 백신의 안전성에 의문을 제기했던 그가 최근의 홍역 발병 확산세 속에서 연방 상원 복지위원회의 인사청문회를 넘지 못할 거라는 게 지명 철회 배경으로 꼽혔습니다. 트럼프 행정부는 지난 24일 수전 모나레즈 현 CDC 국장대행을 차기 국장으로 새로 지명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WHO “미국 홍역 발병 최근 석달간 378건…사망 2명”
-
- 입력 2025-03-28 20:48:26
- 수정2025-03-28 20:51:49

10년 만에 홍역 사망 사례가 나온 미국에서 홍역 감염자가 계속 증가세입니다.
현지시각 28일 세계보건기구(WHO)가 미국에서 통보받은 홍역 감염 현황에 따르면, 올해 1월 초부터 지난 20일까지 미국 17개 주에서 378건의 홍역 발병 사례가 나왔습니다. 사망자는 2명으로 집계됐습니다.
지난 2월 26일 10년 만에 처음으로 미국 텍사스주 서북부 서벅시에서 홍역 사망자가 나온 데 이어 추가 사망 사례가 뒤따랐습니다.
세계보건기구는 “예년에 비해 홍역 발생 건수가 증가했다”며 “감염자는 백신 접종을 받지 않았거나 접종 여부가 불확실한 어린이가 대다수”라고 전했습니다.
호흡기 감염병인 홍역은 전염성이 강하며 발진, 발열, 기침 등의 증상을 유발합니다. 심한 경우 실명, 폐렴, 뇌염 등 합병증으로 이어질 수 있고 어린이가 특히 취약합니다. 미국이 WHO에 보고한 올해 홍역 감염자 입원율은 17%입니다.
미국은 2000년 홍역을 근절했다고 선언했지만 이후에도 해외 입국 등의 경로로 발병자가 나왔습니다. 최근 텍사스주에서 확산한 홍역은 멕시코에서도 관련 사례가 보고됐습니다.
세계보건기구는 홍역-볼거리-풍진(MMR) 백신을 접종하는 것이 홍역을 예방하는 가장 좋은 방법이라고 권장했습니다.
미국에서 올해 홍역이 빠르게 번진 건 홍역 백신이 자폐증과 관련이 있다는 소문 탓에 일부 지역 학부모가 자녀의 백신 접종을 꺼렸기 때문이라는 지적이 나옵니다. 전문가 대부분은 이런 홍역 백신 유해론이 근거 없는 주장이라고 보고 있습니다.
이 논란은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 차기 국장 지명을 한차례 철회한 배경이 되기도 했습니다.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CDC 차기 국장으로 지명한 연방 하원의원 출신의 데이브 웰던 후보자는 지난 13일 돌연 지명이 철회됐습니다. 홍역 백신의 안전성에 의문을 제기했던 그가 최근의 홍역 발병 확산세 속에서 연방 상원 복지위원회의 인사청문회를 넘지 못할 거라는 게 지명 철회 배경으로 꼽혔습니다. 트럼프 행정부는 지난 24일 수전 모나레즈 현 CDC 국장대행을 차기 국장으로 새로 지명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현지시각 28일 세계보건기구(WHO)가 미국에서 통보받은 홍역 감염 현황에 따르면, 올해 1월 초부터 지난 20일까지 미국 17개 주에서 378건의 홍역 발병 사례가 나왔습니다. 사망자는 2명으로 집계됐습니다.
지난 2월 26일 10년 만에 처음으로 미국 텍사스주 서북부 서벅시에서 홍역 사망자가 나온 데 이어 추가 사망 사례가 뒤따랐습니다.
세계보건기구는 “예년에 비해 홍역 발생 건수가 증가했다”며 “감염자는 백신 접종을 받지 않았거나 접종 여부가 불확실한 어린이가 대다수”라고 전했습니다.
호흡기 감염병인 홍역은 전염성이 강하며 발진, 발열, 기침 등의 증상을 유발합니다. 심한 경우 실명, 폐렴, 뇌염 등 합병증으로 이어질 수 있고 어린이가 특히 취약합니다. 미국이 WHO에 보고한 올해 홍역 감염자 입원율은 17%입니다.
미국은 2000년 홍역을 근절했다고 선언했지만 이후에도 해외 입국 등의 경로로 발병자가 나왔습니다. 최근 텍사스주에서 확산한 홍역은 멕시코에서도 관련 사례가 보고됐습니다.
세계보건기구는 홍역-볼거리-풍진(MMR) 백신을 접종하는 것이 홍역을 예방하는 가장 좋은 방법이라고 권장했습니다.
미국에서 올해 홍역이 빠르게 번진 건 홍역 백신이 자폐증과 관련이 있다는 소문 탓에 일부 지역 학부모가 자녀의 백신 접종을 꺼렸기 때문이라는 지적이 나옵니다. 전문가 대부분은 이런 홍역 백신 유해론이 근거 없는 주장이라고 보고 있습니다.
이 논란은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 차기 국장 지명을 한차례 철회한 배경이 되기도 했습니다.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CDC 차기 국장으로 지명한 연방 하원의원 출신의 데이브 웰던 후보자는 지난 13일 돌연 지명이 철회됐습니다. 홍역 백신의 안전성에 의문을 제기했던 그가 최근의 홍역 발병 확산세 속에서 연방 상원 복지위원회의 인사청문회를 넘지 못할 거라는 게 지명 철회 배경으로 꼽혔습니다. 트럼프 행정부는 지난 24일 수전 모나레즈 현 CDC 국장대행을 차기 국장으로 새로 지명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
김양순 기자 ysooni@kbs.co.kr
김양순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