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보] 진화율 끌어올린 전략은?
입력 2025.03.28 (23:15)
수정 2025.03.29 (00:09)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끝없이 확산하던 산불 기세가 드디어 꺾였습니다.
다만 밤이 되면서 바람을 타고 혹시 모를 잔불이 살아날 수 있다는 우려는 나오는데요.
남은 변수는 무엇이고 향후 과제는 어떤 건지 전문가와 자세히 짚어보겠습니다.
이영주 경일대 소방방재학부 교수 나와 있습니다.
[앵커]
어제 교수님께서 이 자리에서 오늘 상황이 많이 바뀔 가능성이 크다고 말씀하셨는데 실제로 그렇게 된 거 같습니다.
역시 이 비가 많진 않았어도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고 봐야겠죠?
[앵커]
날씨도 도움을 줬지만 오늘 하루 사이에 진화율이 크게 높아져 경북은 주불진화까지 마쳤잖아요?
어떤 전략이 주효했다고 보시나요?
[앵커]
지금 경북지역 산불은 주불 진화를 완료했다. 진화율이 100%이다 그렇게 말하잖아요?
그런데 이게 진화율이 100%라도 산불이 완전히 꺼졌다는 의미는 아닌거죠?
[앵커]
그럼 경북지역의 경우 남은 게 잔불 정리인데 이건 어떤 식으로 진행됩니까?
[앵커]
잔불 정리를 끝내는 데에는 보통 얼마나 걸리나요?
[앵커]
잔불 정리를 할 때 주의할 점은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앵커]
그렇군요.
절대 방심해선 안되겠습니다.
그리고 경남 산청 산불은 아직도 주불을 못잡았습니다.
이곳은 지금 어떤 상황인가요?
[앵커]
이 지역의 날씨는 지금 진화에 불리한 상황이라고 봐야하나요?
[앵커]
그럼 어떤가요.
주말 사이에는 주불을 잡을 수 있을까요?
[앵커]
알겠습니다.
이번부터는 남아있는 과제들을 좀 짚어볼까요?
산불이 난 지역에서는 2차 피해를 주의해야한다고 하는데 어떤 것들입니까?
[앵커]
그렇다면 2차 피해를 줄이려면 어떤 노력이 필요할까요?
[앵커]
알겠습니다.
이제 불이 완전히 꺼지면 따져볼 게 참 많은데, 우선 급한 게 산불 지역과 주민들의 신속한 피해 복구일거 같아요.
어떤 지원과 대책이 필요할까요?
[앵커]
알겠습니다.
그리고 이번 산불의 상당수가 그 원인이 실화로 추정되고 있지 않습니까?
실화자에 대한 처벌과 배상 문제는 어떻게 진행될까요?
[앵커]
과거엔 실화자에 대해 어떤 처벌이 이뤄졌습니까?
[앵커]
어떻습니까?
처벌 수위를 좀 올려야한다 이런 목소리도 있는데요.
[앵커]
이번 산불이 남긴 숙제들이 한둘이 아니어서 이제 하나하나 짚어봐야합니다만 현재 급한건 완전 진화, 피해복구, 원인 분석 이런 것들이 있을 거 같습니다.
그 외에 개선이 필요한 부분에 대해 어떤 제언들 해주실 수 있을까요?
[앵커]
이영주 경일대 소방방재학부 교수였습니다.
말씀 잘 들었습니다.
끝없이 확산하던 산불 기세가 드디어 꺾였습니다.
다만 밤이 되면서 바람을 타고 혹시 모를 잔불이 살아날 수 있다는 우려는 나오는데요.
남은 변수는 무엇이고 향후 과제는 어떤 건지 전문가와 자세히 짚어보겠습니다.
이영주 경일대 소방방재학부 교수 나와 있습니다.
[앵커]
어제 교수님께서 이 자리에서 오늘 상황이 많이 바뀔 가능성이 크다고 말씀하셨는데 실제로 그렇게 된 거 같습니다.
역시 이 비가 많진 않았어도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고 봐야겠죠?
[앵커]
날씨도 도움을 줬지만 오늘 하루 사이에 진화율이 크게 높아져 경북은 주불진화까지 마쳤잖아요?
어떤 전략이 주효했다고 보시나요?
[앵커]
지금 경북지역 산불은 주불 진화를 완료했다. 진화율이 100%이다 그렇게 말하잖아요?
그런데 이게 진화율이 100%라도 산불이 완전히 꺼졌다는 의미는 아닌거죠?
[앵커]
그럼 경북지역의 경우 남은 게 잔불 정리인데 이건 어떤 식으로 진행됩니까?
[앵커]
잔불 정리를 끝내는 데에는 보통 얼마나 걸리나요?
[앵커]
잔불 정리를 할 때 주의할 점은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앵커]
그렇군요.
절대 방심해선 안되겠습니다.
그리고 경남 산청 산불은 아직도 주불을 못잡았습니다.
이곳은 지금 어떤 상황인가요?
[앵커]
이 지역의 날씨는 지금 진화에 불리한 상황이라고 봐야하나요?
[앵커]
그럼 어떤가요.
주말 사이에는 주불을 잡을 수 있을까요?
[앵커]
알겠습니다.
이번부터는 남아있는 과제들을 좀 짚어볼까요?
산불이 난 지역에서는 2차 피해를 주의해야한다고 하는데 어떤 것들입니까?
[앵커]
그렇다면 2차 피해를 줄이려면 어떤 노력이 필요할까요?
[앵커]
알겠습니다.
이제 불이 완전히 꺼지면 따져볼 게 참 많은데, 우선 급한 게 산불 지역과 주민들의 신속한 피해 복구일거 같아요.
어떤 지원과 대책이 필요할까요?
[앵커]
알겠습니다.
그리고 이번 산불의 상당수가 그 원인이 실화로 추정되고 있지 않습니까?
실화자에 대한 처벌과 배상 문제는 어떻게 진행될까요?
[앵커]
과거엔 실화자에 대해 어떤 처벌이 이뤄졌습니까?
[앵커]
어떻습니까?
처벌 수위를 좀 올려야한다 이런 목소리도 있는데요.
[앵커]
이번 산불이 남긴 숙제들이 한둘이 아니어서 이제 하나하나 짚어봐야합니다만 현재 급한건 완전 진화, 피해복구, 원인 분석 이런 것들이 있을 거 같습니다.
그 외에 개선이 필요한 부분에 대해 어떤 제언들 해주실 수 있을까요?
[앵커]
이영주 경일대 소방방재학부 교수였습니다.
말씀 잘 들었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특보] 진화율 끌어올린 전략은?
-
- 입력 2025-03-28 23:15:09
- 수정2025-03-29 00:09:33

[앵커]
끝없이 확산하던 산불 기세가 드디어 꺾였습니다.
다만 밤이 되면서 바람을 타고 혹시 모를 잔불이 살아날 수 있다는 우려는 나오는데요.
남은 변수는 무엇이고 향후 과제는 어떤 건지 전문가와 자세히 짚어보겠습니다.
이영주 경일대 소방방재학부 교수 나와 있습니다.
[앵커]
어제 교수님께서 이 자리에서 오늘 상황이 많이 바뀔 가능성이 크다고 말씀하셨는데 실제로 그렇게 된 거 같습니다.
역시 이 비가 많진 않았어도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고 봐야겠죠?
[앵커]
날씨도 도움을 줬지만 오늘 하루 사이에 진화율이 크게 높아져 경북은 주불진화까지 마쳤잖아요?
어떤 전략이 주효했다고 보시나요?
[앵커]
지금 경북지역 산불은 주불 진화를 완료했다. 진화율이 100%이다 그렇게 말하잖아요?
그런데 이게 진화율이 100%라도 산불이 완전히 꺼졌다는 의미는 아닌거죠?
[앵커]
그럼 경북지역의 경우 남은 게 잔불 정리인데 이건 어떤 식으로 진행됩니까?
[앵커]
잔불 정리를 끝내는 데에는 보통 얼마나 걸리나요?
[앵커]
잔불 정리를 할 때 주의할 점은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앵커]
그렇군요.
절대 방심해선 안되겠습니다.
그리고 경남 산청 산불은 아직도 주불을 못잡았습니다.
이곳은 지금 어떤 상황인가요?
[앵커]
이 지역의 날씨는 지금 진화에 불리한 상황이라고 봐야하나요?
[앵커]
그럼 어떤가요.
주말 사이에는 주불을 잡을 수 있을까요?
[앵커]
알겠습니다.
이번부터는 남아있는 과제들을 좀 짚어볼까요?
산불이 난 지역에서는 2차 피해를 주의해야한다고 하는데 어떤 것들입니까?
[앵커]
그렇다면 2차 피해를 줄이려면 어떤 노력이 필요할까요?
[앵커]
알겠습니다.
이제 불이 완전히 꺼지면 따져볼 게 참 많은데, 우선 급한 게 산불 지역과 주민들의 신속한 피해 복구일거 같아요.
어떤 지원과 대책이 필요할까요?
[앵커]
알겠습니다.
그리고 이번 산불의 상당수가 그 원인이 실화로 추정되고 있지 않습니까?
실화자에 대한 처벌과 배상 문제는 어떻게 진행될까요?
[앵커]
과거엔 실화자에 대해 어떤 처벌이 이뤄졌습니까?
[앵커]
어떻습니까?
처벌 수위를 좀 올려야한다 이런 목소리도 있는데요.
[앵커]
이번 산불이 남긴 숙제들이 한둘이 아니어서 이제 하나하나 짚어봐야합니다만 현재 급한건 완전 진화, 피해복구, 원인 분석 이런 것들이 있을 거 같습니다.
그 외에 개선이 필요한 부분에 대해 어떤 제언들 해주실 수 있을까요?
[앵커]
이영주 경일대 소방방재학부 교수였습니다.
말씀 잘 들었습니다.
끝없이 확산하던 산불 기세가 드디어 꺾였습니다.
다만 밤이 되면서 바람을 타고 혹시 모를 잔불이 살아날 수 있다는 우려는 나오는데요.
남은 변수는 무엇이고 향후 과제는 어떤 건지 전문가와 자세히 짚어보겠습니다.
이영주 경일대 소방방재학부 교수 나와 있습니다.
[앵커]
어제 교수님께서 이 자리에서 오늘 상황이 많이 바뀔 가능성이 크다고 말씀하셨는데 실제로 그렇게 된 거 같습니다.
역시 이 비가 많진 않았어도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고 봐야겠죠?
[앵커]
날씨도 도움을 줬지만 오늘 하루 사이에 진화율이 크게 높아져 경북은 주불진화까지 마쳤잖아요?
어떤 전략이 주효했다고 보시나요?
[앵커]
지금 경북지역 산불은 주불 진화를 완료했다. 진화율이 100%이다 그렇게 말하잖아요?
그런데 이게 진화율이 100%라도 산불이 완전히 꺼졌다는 의미는 아닌거죠?
[앵커]
그럼 경북지역의 경우 남은 게 잔불 정리인데 이건 어떤 식으로 진행됩니까?
[앵커]
잔불 정리를 끝내는 데에는 보통 얼마나 걸리나요?
[앵커]
잔불 정리를 할 때 주의할 점은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앵커]
그렇군요.
절대 방심해선 안되겠습니다.
그리고 경남 산청 산불은 아직도 주불을 못잡았습니다.
이곳은 지금 어떤 상황인가요?
[앵커]
이 지역의 날씨는 지금 진화에 불리한 상황이라고 봐야하나요?
[앵커]
그럼 어떤가요.
주말 사이에는 주불을 잡을 수 있을까요?
[앵커]
알겠습니다.
이번부터는 남아있는 과제들을 좀 짚어볼까요?
산불이 난 지역에서는 2차 피해를 주의해야한다고 하는데 어떤 것들입니까?
[앵커]
그렇다면 2차 피해를 줄이려면 어떤 노력이 필요할까요?
[앵커]
알겠습니다.
이제 불이 완전히 꺼지면 따져볼 게 참 많은데, 우선 급한 게 산불 지역과 주민들의 신속한 피해 복구일거 같아요.
어떤 지원과 대책이 필요할까요?
[앵커]
알겠습니다.
그리고 이번 산불의 상당수가 그 원인이 실화로 추정되고 있지 않습니까?
실화자에 대한 처벌과 배상 문제는 어떻게 진행될까요?
[앵커]
과거엔 실화자에 대해 어떤 처벌이 이뤄졌습니까?
[앵커]
어떻습니까?
처벌 수위를 좀 올려야한다 이런 목소리도 있는데요.
[앵커]
이번 산불이 남긴 숙제들이 한둘이 아니어서 이제 하나하나 짚어봐야합니다만 현재 급한건 완전 진화, 피해복구, 원인 분석 이런 것들이 있을 거 같습니다.
그 외에 개선이 필요한 부분에 대해 어떤 제언들 해주실 수 있을까요?
[앵커]
이영주 경일대 소방방재학부 교수였습니다.
말씀 잘 들었습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슈
영남권 최악의 산불…재난사태 선포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