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질연 “페탄광에서 ‘우주 장비’ 실증 연구 진행”
입력 2025.03.31 (11:17)
수정 2025.03.31 (11:1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태백에 있는 폐탄광에서 달 탐사 차량 등 ‘우주 탐구 장비’를 실증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고 한국지질자원연구원(KIGAM)이 밝혔습니다.
오늘(31일) 지질자원연구원은 태백시를 포함해 4개 정부출연연구기관과 손잡고 ‘태백 K-우주자원융합실증단지’를 조성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실증 장비는 자원탐사 센서 등을 탑재한 달 표면 로버, 채굴 등 다목적 로버, 달 표토층 자원 추출기, 달 저궤도 탐색용 초소형 위성, 우주 방사선 측정기 등입니다.
특히, 광물 업계에서 주목하고 있는 장비는 ‘레이저 유도 파쇄 분광기’(LIBS)입니다.
이 장비는 레이저 센서를 통해 지면에 존재하는 50종 이상의 원소를 실시간으로 분석할 수 있어, 달에서 광물 함량이 유망한 지역을 중점 탐색하고 자원 지도를 작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글로벌 자원 탐사기업 ‘오프월드’의 로버에 탑재돼 미국 항공우주국(NASA)이 2028년 추진하는 유인 달 탐사 프로젝트 ‘아르테미스’ 4단계 참여를 목표로 지상 실증에 협력할 계획입니다.
또 달 토양 깊은 곳을 채취하는 드릴 장착 로버, 표토를 긁어내는 로버, 한국전기연구원이 개발한 고밀도 빛 에너지 매개 무선 송전 시스템 등도 이번 연구에 구비돼 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오늘(31일) 지질자원연구원은 태백시를 포함해 4개 정부출연연구기관과 손잡고 ‘태백 K-우주자원융합실증단지’를 조성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실증 장비는 자원탐사 센서 등을 탑재한 달 표면 로버, 채굴 등 다목적 로버, 달 표토층 자원 추출기, 달 저궤도 탐색용 초소형 위성, 우주 방사선 측정기 등입니다.
특히, 광물 업계에서 주목하고 있는 장비는 ‘레이저 유도 파쇄 분광기’(LIBS)입니다.
이 장비는 레이저 센서를 통해 지면에 존재하는 50종 이상의 원소를 실시간으로 분석할 수 있어, 달에서 광물 함량이 유망한 지역을 중점 탐색하고 자원 지도를 작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글로벌 자원 탐사기업 ‘오프월드’의 로버에 탑재돼 미국 항공우주국(NASA)이 2028년 추진하는 유인 달 탐사 프로젝트 ‘아르테미스’ 4단계 참여를 목표로 지상 실증에 협력할 계획입니다.
또 달 토양 깊은 곳을 채취하는 드릴 장착 로버, 표토를 긁어내는 로버, 한국전기연구원이 개발한 고밀도 빛 에너지 매개 무선 송전 시스템 등도 이번 연구에 구비돼 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지질연 “페탄광에서 ‘우주 장비’ 실증 연구 진행”
-
- 입력 2025-03-31 11:17:10
- 수정2025-03-31 11:17:58

태백에 있는 폐탄광에서 달 탐사 차량 등 ‘우주 탐구 장비’를 실증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고 한국지질자원연구원(KIGAM)이 밝혔습니다.
오늘(31일) 지질자원연구원은 태백시를 포함해 4개 정부출연연구기관과 손잡고 ‘태백 K-우주자원융합실증단지’를 조성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실증 장비는 자원탐사 센서 등을 탑재한 달 표면 로버, 채굴 등 다목적 로버, 달 표토층 자원 추출기, 달 저궤도 탐색용 초소형 위성, 우주 방사선 측정기 등입니다.
특히, 광물 업계에서 주목하고 있는 장비는 ‘레이저 유도 파쇄 분광기’(LIBS)입니다.
이 장비는 레이저 센서를 통해 지면에 존재하는 50종 이상의 원소를 실시간으로 분석할 수 있어, 달에서 광물 함량이 유망한 지역을 중점 탐색하고 자원 지도를 작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글로벌 자원 탐사기업 ‘오프월드’의 로버에 탑재돼 미국 항공우주국(NASA)이 2028년 추진하는 유인 달 탐사 프로젝트 ‘아르테미스’ 4단계 참여를 목표로 지상 실증에 협력할 계획입니다.
또 달 토양 깊은 곳을 채취하는 드릴 장착 로버, 표토를 긁어내는 로버, 한국전기연구원이 개발한 고밀도 빛 에너지 매개 무선 송전 시스템 등도 이번 연구에 구비돼 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오늘(31일) 지질자원연구원은 태백시를 포함해 4개 정부출연연구기관과 손잡고 ‘태백 K-우주자원융합실증단지’를 조성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실증 장비는 자원탐사 센서 등을 탑재한 달 표면 로버, 채굴 등 다목적 로버, 달 표토층 자원 추출기, 달 저궤도 탐색용 초소형 위성, 우주 방사선 측정기 등입니다.
특히, 광물 업계에서 주목하고 있는 장비는 ‘레이저 유도 파쇄 분광기’(LIBS)입니다.
이 장비는 레이저 센서를 통해 지면에 존재하는 50종 이상의 원소를 실시간으로 분석할 수 있어, 달에서 광물 함량이 유망한 지역을 중점 탐색하고 자원 지도를 작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글로벌 자원 탐사기업 ‘오프월드’의 로버에 탑재돼 미국 항공우주국(NASA)이 2028년 추진하는 유인 달 탐사 프로젝트 ‘아르테미스’ 4단계 참여를 목표로 지상 실증에 협력할 계획입니다.
또 달 토양 깊은 곳을 채취하는 드릴 장착 로버, 표토를 긁어내는 로버, 한국전기연구원이 개발한 고밀도 빛 에너지 매개 무선 송전 시스템 등도 이번 연구에 구비돼 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