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SJ “미얀마 강진 사망자 2천 명 넘어”…흘러가는 ‘구조 골든타임’

입력 2025.03.31 (14:36) 수정 2025.03.31 (15:03)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미얀마에서 현지 시각 지난 28일 강진이 발생한 이후 구조 골든타임으로 불리는 72시간이 지나가는 가운데 안타까운 구조 노력이 계속되고 있습니다.

31일 AFP통신 등에 따르면 미얀마 제2 도시 만달레이에서 구조대와 시민들은 생존자를 찾기 위한 사투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지진은 앞서 28일 낮 12시 50분쯤(한국시간 오후 3시 20분) 중부 만달레이에서 서남서쪽으로 33㎞ 떨어진 지점에서 발생했습니다.

일반적으로 재난 발생 이후 첫 72시간이 생명을 구하기 위한 골든타임으로 여겨집니다.

유엔 인도주의업무조정국(OCHA)은 성명을 통해 72시간 내 대응을 강조하면서 인도적 지원이 급히 필요하다고 밝힌 바 있습니다.

인력과 장비가 부족한 와중에 맨손으로 잔해를 파내며 필사적으로 구조를 시도하고 있지만 안타까운 소식이 전해지고 있습니다.

만달레이에서 무너진 아파트 잔해 아래 55시간 넘게 갇혀 있다가 다리를 절단하고서야 구조된 임신부가 전날 밤 결국 사망했습니다.

한 의료진은 "그를 살리기 위해 모든 것을 시도했지만 다리를 절단하면서 너무 많은 피를 흘렸다"고 말했습니다.

월스트리트저널은 사망자 2천28명, 부상자 3천408명이라고 전날 군정을 인용해 보도했습니다.

전날 군정이 운영하는 관영 매체는 최소 1천700명이 사망했다고 보도했습니다.

전력·통신망 등 기간 시설 파괴와 의료용품 부족 등으로 피해 규모 집계와 구조 활동에도 한계가 있어 실제 희생자는 이보다 훨씬 더 많은 것으로 추정됩니다.

구호단체들은 여진이 계속되고 있는 데다 우기가 다가오면서 산사태 등 2차 위기 위험도 커지고 있다고 우려했습니다.

세계 각국이 미얀마 지원에 나서고 있고 세계보건기구(WHO)와 국제적십자연맹(IFRC) 등 국제기구들도 긴급 지원 필요성을 강조했습니다.

앞서 미국 지질조사국(USGS)은 이번 지진으로 인한 사망자 수가 1만 명을 넘을 가능성을 71%로 추산했습니다.

[사진 출처 : 신화=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WSJ “미얀마 강진 사망자 2천 명 넘어”…흘러가는 ‘구조 골든타임’
    • 입력 2025-03-31 14:36:43
    • 수정2025-03-31 15:03:45
    국제
미얀마에서 현지 시각 지난 28일 강진이 발생한 이후 구조 골든타임으로 불리는 72시간이 지나가는 가운데 안타까운 구조 노력이 계속되고 있습니다.

31일 AFP통신 등에 따르면 미얀마 제2 도시 만달레이에서 구조대와 시민들은 생존자를 찾기 위한 사투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지진은 앞서 28일 낮 12시 50분쯤(한국시간 오후 3시 20분) 중부 만달레이에서 서남서쪽으로 33㎞ 떨어진 지점에서 발생했습니다.

일반적으로 재난 발생 이후 첫 72시간이 생명을 구하기 위한 골든타임으로 여겨집니다.

유엔 인도주의업무조정국(OCHA)은 성명을 통해 72시간 내 대응을 강조하면서 인도적 지원이 급히 필요하다고 밝힌 바 있습니다.

인력과 장비가 부족한 와중에 맨손으로 잔해를 파내며 필사적으로 구조를 시도하고 있지만 안타까운 소식이 전해지고 있습니다.

만달레이에서 무너진 아파트 잔해 아래 55시간 넘게 갇혀 있다가 다리를 절단하고서야 구조된 임신부가 전날 밤 결국 사망했습니다.

한 의료진은 "그를 살리기 위해 모든 것을 시도했지만 다리를 절단하면서 너무 많은 피를 흘렸다"고 말했습니다.

월스트리트저널은 사망자 2천28명, 부상자 3천408명이라고 전날 군정을 인용해 보도했습니다.

전날 군정이 운영하는 관영 매체는 최소 1천700명이 사망했다고 보도했습니다.

전력·통신망 등 기간 시설 파괴와 의료용품 부족 등으로 피해 규모 집계와 구조 활동에도 한계가 있어 실제 희생자는 이보다 훨씬 더 많은 것으로 추정됩니다.

구호단체들은 여진이 계속되고 있는 데다 우기가 다가오면서 산사태 등 2차 위기 위험도 커지고 있다고 우려했습니다.

세계 각국이 미얀마 지원에 나서고 있고 세계보건기구(WHO)와 국제적십자연맹(IFRC) 등 국제기구들도 긴급 지원 필요성을 강조했습니다.

앞서 미국 지질조사국(USGS)은 이번 지진으로 인한 사망자 수가 1만 명을 넘을 가능성을 71%로 추산했습니다.

[사진 출처 : 신화=연합뉴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