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진핑 내달 동남아 3국 순방”…미중 6월 ‘생일 정상회담’?

입력 2025.03.31 (16:4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다음 달 동남아 3개국 순방에 나선다고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가 31일 익명의 외교 소식통을 인용해 보도했습니다.

보도에 따르면 중국은 시 주석이 내달 중순 베트남과 말레이시아, 캄보디아를 방문하는 쪽으로 일정을 조율하고 있습니다. 이 가운데 올해 아세안(ASEAN·동남아시아국가연합) 순회 회장국인 말레이시아에는 사흘 머물 것으로 보입니다.

시 주석이 순방에 나서면 올해 첫 해외 방문으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재집권 이후 미국과 갈등이 확대되는 가운데 중국이 우방국과 결속을 강화하기 위해서라는 분석이 나옵니다.

최근 몇 년간 시 주석의 해외 방문은 한 해 몇 차례로만 제한되고, 그것도 러시아와 글로벌 사우스(Global South·주로 남반구에 있는 신흥국과 개도국을 통칭) 등 중국 우방에 집중되는 경향을 보였습니다.

다음 달 순방 예정국 가운데 베트남은 아세안에서 중국의 가장 큰 무역 상대국이며, 캄보디아는 동남아의 대표적인 친중 국가입니다. 화교 인구 비중이 높은 말레이시아는 미중 사이에서 중립 외교 노선을 견지하고 있습니다.

시 주석이 내달 순방에 나선다면 트럼프 대통령과 미중 정상회담이 이른 시간 내에 열리지는 못할 것으로 보입니다.

트럼프 대통령도 오는 5월 중순 사우디아라비아를 찾을 예정이라고 미국 매체 악시오스가 30일(이하 현지시간) 전했습니다. 두 번째 임기 첫 해외 방문지로 사우디아라비아를 택한 것입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17일 시 주석이 머지않은 시일 내에 미국을 방문할 것이라고 밝혔었습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이달 초 미국과 중국이 오는 6월 미국에서 트럼프 대통령과 시 주석 간 정상회담을 개최하는 방안에 대한 논의를 시작했다고 전했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과 시 주석 모두 6월이 생일이기 때문에 ‘생일 정상회담’의 의미도 있다고 WSJ은 짚었습니다.

WSJ 보도에 앞서 SCMP는 이르면 다음 달 미중 간 정상회담이 열릴 수 있다고 여러 외교 소식통을 인용해 전했습니다. 하지만, 미국 뉴욕타임스(NYT)는 미중 간 정상회담을 위한 합의에 몇 달이 걸릴 수 있다며 길게는 연말까지 늦어질 가능성도 제기했습니다.

NYT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의 최측근으로 이달 중국을 방문해 허리펑 국무원 부총리와 회동한 스티브 데인스(공화·몬태나) 미 상원의원은 한 인터뷰에서 미중 정상회담이 올해 연말까지는 열릴 것으로 믿는다고 말했습니다. 미국 측 기대보다 지연되는 것입니다. 이는 중국 측이 양국 간 주요 이슈에 대한 세부안 협상 전까지 회담 일정을 잡는 데 주저하기 때문이라고 NYT는 지적했습니다.

데인스 의원은 22일 NYT 인터뷰에서 “이번 방문은 트럼프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간 매우 중요한 회담이 될 다음 단계를 주선하고 준비하기 위한 첫 번째 단계”라고 말했습니다.

[사진 출처 : 신화=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시진핑 내달 동남아 3국 순방”…미중 6월 ‘생일 정상회담’?
    • 입력 2025-03-31 16:40:02
    국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다음 달 동남아 3개국 순방에 나선다고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가 31일 익명의 외교 소식통을 인용해 보도했습니다.

보도에 따르면 중국은 시 주석이 내달 중순 베트남과 말레이시아, 캄보디아를 방문하는 쪽으로 일정을 조율하고 있습니다. 이 가운데 올해 아세안(ASEAN·동남아시아국가연합) 순회 회장국인 말레이시아에는 사흘 머물 것으로 보입니다.

시 주석이 순방에 나서면 올해 첫 해외 방문으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재집권 이후 미국과 갈등이 확대되는 가운데 중국이 우방국과 결속을 강화하기 위해서라는 분석이 나옵니다.

최근 몇 년간 시 주석의 해외 방문은 한 해 몇 차례로만 제한되고, 그것도 러시아와 글로벌 사우스(Global South·주로 남반구에 있는 신흥국과 개도국을 통칭) 등 중국 우방에 집중되는 경향을 보였습니다.

다음 달 순방 예정국 가운데 베트남은 아세안에서 중국의 가장 큰 무역 상대국이며, 캄보디아는 동남아의 대표적인 친중 국가입니다. 화교 인구 비중이 높은 말레이시아는 미중 사이에서 중립 외교 노선을 견지하고 있습니다.

시 주석이 내달 순방에 나선다면 트럼프 대통령과 미중 정상회담이 이른 시간 내에 열리지는 못할 것으로 보입니다.

트럼프 대통령도 오는 5월 중순 사우디아라비아를 찾을 예정이라고 미국 매체 악시오스가 30일(이하 현지시간) 전했습니다. 두 번째 임기 첫 해외 방문지로 사우디아라비아를 택한 것입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17일 시 주석이 머지않은 시일 내에 미국을 방문할 것이라고 밝혔었습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이달 초 미국과 중국이 오는 6월 미국에서 트럼프 대통령과 시 주석 간 정상회담을 개최하는 방안에 대한 논의를 시작했다고 전했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과 시 주석 모두 6월이 생일이기 때문에 ‘생일 정상회담’의 의미도 있다고 WSJ은 짚었습니다.

WSJ 보도에 앞서 SCMP는 이르면 다음 달 미중 간 정상회담이 열릴 수 있다고 여러 외교 소식통을 인용해 전했습니다. 하지만, 미국 뉴욕타임스(NYT)는 미중 간 정상회담을 위한 합의에 몇 달이 걸릴 수 있다며 길게는 연말까지 늦어질 가능성도 제기했습니다.

NYT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의 최측근으로 이달 중국을 방문해 허리펑 국무원 부총리와 회동한 스티브 데인스(공화·몬태나) 미 상원의원은 한 인터뷰에서 미중 정상회담이 올해 연말까지는 열릴 것으로 믿는다고 말했습니다. 미국 측 기대보다 지연되는 것입니다. 이는 중국 측이 양국 간 주요 이슈에 대한 세부안 협상 전까지 회담 일정을 잡는 데 주저하기 때문이라고 NYT는 지적했습니다.

데인스 의원은 22일 NYT 인터뷰에서 “이번 방문은 트럼프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간 매우 중요한 회담이 될 다음 단계를 주선하고 준비하기 위한 첫 번째 단계”라고 말했습니다.

[사진 출처 : 신화=연합뉴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