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 정찰위성 4호기 이번 달 23일 미국서 발사
입력 2025.04.02 (15:25)
수정 2025.04.02 (15:2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우리 군의 정찰위성 4호기가 이번 달 미국에서 발사됩니다.
군 당국에 따르면, 한국 시각으로 오는 23일 미국 캘리포니아주 반덴버그 우주군 기지에서 정찰위성 4호기를 발사하기로 잠정 결정했습니다.
기상 상황이나 스페이스 X 측 일정에 따라 날짜는 바뀔 수 있지만, 이번 달 넷째 주 안에 발사한다는 계획입니다.
이번에 발사하는 위성은 지난해 12월 발사된 3호기와 마찬가지로 스페이스 X의 '팰컨9' 로켓에 실려 목표 궤도(약 500km 고도)에 진입할 예정입니다.
정찰 위성 4호기 역시 2호기와 3호기에 장착된 합성개구레이더(SAR)가 탑재돼 기상 조건과 관계없이 주야간 촬영이 가능합니다.
우리 군은 2023년 1호기를 발사를 시작으로, 정찰 위성 5기를 배치하는 '425 사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정찰 위성 5호기 역시 올해 안에 발사한다는 목표입니다.
정찰위성 5기가 모두 배치되면 북한 내 특정 표적을 2시간 단위로 감시·정찰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국방부 제공]
군 당국에 따르면, 한국 시각으로 오는 23일 미국 캘리포니아주 반덴버그 우주군 기지에서 정찰위성 4호기를 발사하기로 잠정 결정했습니다.
기상 상황이나 스페이스 X 측 일정에 따라 날짜는 바뀔 수 있지만, 이번 달 넷째 주 안에 발사한다는 계획입니다.
이번에 발사하는 위성은 지난해 12월 발사된 3호기와 마찬가지로 스페이스 X의 '팰컨9' 로켓에 실려 목표 궤도(약 500km 고도)에 진입할 예정입니다.
정찰 위성 4호기 역시 2호기와 3호기에 장착된 합성개구레이더(SAR)가 탑재돼 기상 조건과 관계없이 주야간 촬영이 가능합니다.
우리 군은 2023년 1호기를 발사를 시작으로, 정찰 위성 5기를 배치하는 '425 사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정찰 위성 5호기 역시 올해 안에 발사한다는 목표입니다.
정찰위성 5기가 모두 배치되면 북한 내 특정 표적을 2시간 단위로 감시·정찰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국방부 제공]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군 정찰위성 4호기 이번 달 23일 미국서 발사
-
- 입력 2025-04-02 15:25:13
- 수정2025-04-02 15:26:25

우리 군의 정찰위성 4호기가 이번 달 미국에서 발사됩니다.
군 당국에 따르면, 한국 시각으로 오는 23일 미국 캘리포니아주 반덴버그 우주군 기지에서 정찰위성 4호기를 발사하기로 잠정 결정했습니다.
기상 상황이나 스페이스 X 측 일정에 따라 날짜는 바뀔 수 있지만, 이번 달 넷째 주 안에 발사한다는 계획입니다.
이번에 발사하는 위성은 지난해 12월 발사된 3호기와 마찬가지로 스페이스 X의 '팰컨9' 로켓에 실려 목표 궤도(약 500km 고도)에 진입할 예정입니다.
정찰 위성 4호기 역시 2호기와 3호기에 장착된 합성개구레이더(SAR)가 탑재돼 기상 조건과 관계없이 주야간 촬영이 가능합니다.
우리 군은 2023년 1호기를 발사를 시작으로, 정찰 위성 5기를 배치하는 '425 사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정찰 위성 5호기 역시 올해 안에 발사한다는 목표입니다.
정찰위성 5기가 모두 배치되면 북한 내 특정 표적을 2시간 단위로 감시·정찰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국방부 제공]
군 당국에 따르면, 한국 시각으로 오는 23일 미국 캘리포니아주 반덴버그 우주군 기지에서 정찰위성 4호기를 발사하기로 잠정 결정했습니다.
기상 상황이나 스페이스 X 측 일정에 따라 날짜는 바뀔 수 있지만, 이번 달 넷째 주 안에 발사한다는 계획입니다.
이번에 발사하는 위성은 지난해 12월 발사된 3호기와 마찬가지로 스페이스 X의 '팰컨9' 로켓에 실려 목표 궤도(약 500km 고도)에 진입할 예정입니다.
정찰 위성 4호기 역시 2호기와 3호기에 장착된 합성개구레이더(SAR)가 탑재돼 기상 조건과 관계없이 주야간 촬영이 가능합니다.
우리 군은 2023년 1호기를 발사를 시작으로, 정찰 위성 5기를 배치하는 '425 사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정찰 위성 5호기 역시 올해 안에 발사한다는 목표입니다.
정찰위성 5기가 모두 배치되면 북한 내 특정 표적을 2시간 단위로 감시·정찰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국방부 제공]
-
-
조혜진 기자 jin2@kbs.co.kr
조혜진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