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악영향’에 쉬쉬?…알 길 없는 ‘땅꺼짐 위험지도’

입력 2025.04.03 (06:26) 수정 2025.04.03 (06:3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최근 땅 꺼짐 사고가 발생한 서울 강동구 도로.

알고 보니 지반침하 가능성이 높다고 서울시가 미리 분류해 뒀던 곳이었습니다.

서울시는 이처럼 서울 전역의 땅 꺼짐 위험도를 평가해 별도의 지도까지 만들어 놓고도, 시민들에게는 공개하지 않고 있습니다.

주변 집값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겁니다.

먼저 김성수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지난해 8월, 서울 연희동에서 발생한 땅 꺼짐 사고.

당시 사고로 차량에 타고 있던 2명이 다쳤고, 서울시는 부랴부랴 대책을 내놨습니다.

서울 전역의 땅 꺼짐 위험도를 평가하는 지도를 만들겠다는 겁니다.

[정성국/당시 서울시 도로기획관/지난해 9월 : "공사장 관리 이외에도 '지반 침하에 대한 안전 지도'를 구축하고…."]

땅 꺼짐 위험도에 따라 다섯 단계로 등급이 매겨지는데, 노후 상수도관이 있거나 지하에서 공사가 진행 중인 곳 등이 위험 지역으로 분류됩니다.

서울시 전역의 관련 정보가 담긴 지도는 지난해 말 완성됐지만, 서울시의 비공개 결정에 시민들은 확인할 수가 없습니다.

지난달 발생한 강동구 땅 꺼짐 사고 현장이 이 지도에서 가장 위험이 높은 등급으로 분류됐던 곳이라는 사실도 뒤늦게 알려졌습니다.

하지만 서울시는 여전히 공사 관계자 등 외에는 알려줄 수 없다는 입장을 고수 중입니다.

위험도가 높은 지역으로 알려지면 주변 집값에 영향을 끼칠 수 있고, 주민들도 과도한 불안감을 가질 수 있다는 겁니다.

실제 주민들의 생각은 다릅니다.

[이충희/땅 꺼짐 인근 주유소 업주 : "(위험) 등급에 대해서는 제가 몰랐죠. (알았다면) 더 적극적으로 개입을 해서 공사 감독을 한다든가 아니면 저희 증상 같은 것을 더 적극적으로…."]

영동대로, 동부간선도로 등 서울 곳곳에서 대규모 지하 공사가 진행 중인 상황.

땅 꺼짐 사고는 계속되지만, 시민들이 위험도를 공식적으로 알 방법은 여전히 없습니다.

KBS 뉴스 김성숩니다.

영상편집:고응용/그래픽:채상우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부동산 악영향’에 쉬쉬?…알 길 없는 ‘땅꺼짐 위험지도’
    • 입력 2025-04-03 06:26:48
    • 수정2025-04-03 06:30:19
    뉴스광장 1부
[앵커]

최근 땅 꺼짐 사고가 발생한 서울 강동구 도로.

알고 보니 지반침하 가능성이 높다고 서울시가 미리 분류해 뒀던 곳이었습니다.

서울시는 이처럼 서울 전역의 땅 꺼짐 위험도를 평가해 별도의 지도까지 만들어 놓고도, 시민들에게는 공개하지 않고 있습니다.

주변 집값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겁니다.

먼저 김성수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지난해 8월, 서울 연희동에서 발생한 땅 꺼짐 사고.

당시 사고로 차량에 타고 있던 2명이 다쳤고, 서울시는 부랴부랴 대책을 내놨습니다.

서울 전역의 땅 꺼짐 위험도를 평가하는 지도를 만들겠다는 겁니다.

[정성국/당시 서울시 도로기획관/지난해 9월 : "공사장 관리 이외에도 '지반 침하에 대한 안전 지도'를 구축하고…."]

땅 꺼짐 위험도에 따라 다섯 단계로 등급이 매겨지는데, 노후 상수도관이 있거나 지하에서 공사가 진행 중인 곳 등이 위험 지역으로 분류됩니다.

서울시 전역의 관련 정보가 담긴 지도는 지난해 말 완성됐지만, 서울시의 비공개 결정에 시민들은 확인할 수가 없습니다.

지난달 발생한 강동구 땅 꺼짐 사고 현장이 이 지도에서 가장 위험이 높은 등급으로 분류됐던 곳이라는 사실도 뒤늦게 알려졌습니다.

하지만 서울시는 여전히 공사 관계자 등 외에는 알려줄 수 없다는 입장을 고수 중입니다.

위험도가 높은 지역으로 알려지면 주변 집값에 영향을 끼칠 수 있고, 주민들도 과도한 불안감을 가질 수 있다는 겁니다.

실제 주민들의 생각은 다릅니다.

[이충희/땅 꺼짐 인근 주유소 업주 : "(위험) 등급에 대해서는 제가 몰랐죠. (알았다면) 더 적극적으로 개입을 해서 공사 감독을 한다든가 아니면 저희 증상 같은 것을 더 적극적으로…."]

영동대로, 동부간선도로 등 서울 곳곳에서 대규모 지하 공사가 진행 중인 상황.

땅 꺼짐 사고는 계속되지만, 시민들이 위험도를 공식적으로 알 방법은 여전히 없습니다.

KBS 뉴스 김성숩니다.

영상편집:고응용/그래픽:채상우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