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룸버그 “‘미 상호 관세’로 대중국 평균 관세율 65%에 달할 것”
입력 2025.04.03 (16:44)
수정 2025.04.03 (16:4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현지 시각 2일 중국에 34% 상호 관세 부과를 발표함에 따라 중국산 수입품에 대한 미국의 평균 관세율이 65%에 달할 것이라는 추정이 나옵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2월 4일과 3월 4일에 각각 10%씩 총 20%의 추가 관세를 중국에 이미 부과한 바 있습니다.
여기에 이와 별도로 이날 중국에 대해 34%의 상호 관세를 발표했습니다.
블룸버그는 “이는 많은 중국산 수입품에 50%를 넘는 관세가 부과된다는 뜻”이라며 “2029년까지 미중 무역 대부분을 소멸시키기에 충분히 높은 수준”이라고 보도했습니다.
전문가들에 따르면 34% 상호 관세 부과로 모든 중국 수입품에 대한 평균 관세율이 65%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고 블룸버그는 전했습니다.
트럼프 1기 행정부 때 시작돼 조 바이든 전임 행정부 시기에 유지된 기존 관세까지 포함하면 이런 계산이 나온다는 것입니다.
지난해 대선 유세 과정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공언해 온 ‘대중국 60% 관세 부과’를 실현하는 셈입니다.
또한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중국발 800달러(약 117만 원) 이하의 수입품에 대한 관세를 면제해주는 ‘소액 면세 제도’를 폐지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했습니다.
해당 행정명령은 다음 달 2일 발효됩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중국산 수입품에 대한 34%의 상호 관세로 “트럼프 2기 행정부 이전에 부과된 것을 포함하면 중국산 제품에 대한 미국의 평균 관세가 70% 이상으로 사실상 인상될 것”이라고 보도하기도 했습니다.
다만 피터슨 국제경제연구소의 무역 전문가 채드 바운에 따르면 이번 관세 인상으로 미국의 대중국 평균 관세가 42.1%로 인상됐다는 추정도 있습니다.
이는 트럼프 대통령이 첫 임기인 2018년 중국과의 첫 무역 전쟁을 벌이기 전의 10배가 넘는 수준입니다.
중국 상무부는 이날 대변인 명의 성명에서 “미국은 주관적이고 일방적인 평가를 바탕으로 상호 관세를 도출했다”며 “이에 대해 많은 무역 상대국이 이미 강한 불만과 명확한 반대를 표명했다”고 강조했습니다.
그러면서 “즉시 일방적 관세 조치를 철회하고 무역 상대국과 평등한 대화를 통해 이견을 적절하게 해소할 것을 미국에 촉구한다”는 반응을 내놨습니다.
중국은 지난달 4일 미국이 10%의 추가 보편 관세를 부과하자 즉시 석탄·석유 등 일부 미국산 수입품에 10∼15% 관세를 부과하는 등 강력히 대응한 바 있습니다.
한편 미국은 이번 상호 관세율을 발표하면서 국가별로 정교하게 계산하지 않고 사실상 해당 국가와의 교역에서 발생한 무역적자액을 해당국에서 수입하는 금액으로 나눈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2월 4일과 3월 4일에 각각 10%씩 총 20%의 추가 관세를 중국에 이미 부과한 바 있습니다.
여기에 이와 별도로 이날 중국에 대해 34%의 상호 관세를 발표했습니다.
블룸버그는 “이는 많은 중국산 수입품에 50%를 넘는 관세가 부과된다는 뜻”이라며 “2029년까지 미중 무역 대부분을 소멸시키기에 충분히 높은 수준”이라고 보도했습니다.
전문가들에 따르면 34% 상호 관세 부과로 모든 중국 수입품에 대한 평균 관세율이 65%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고 블룸버그는 전했습니다.
트럼프 1기 행정부 때 시작돼 조 바이든 전임 행정부 시기에 유지된 기존 관세까지 포함하면 이런 계산이 나온다는 것입니다.
지난해 대선 유세 과정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공언해 온 ‘대중국 60% 관세 부과’를 실현하는 셈입니다.
또한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중국발 800달러(약 117만 원) 이하의 수입품에 대한 관세를 면제해주는 ‘소액 면세 제도’를 폐지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했습니다.
해당 행정명령은 다음 달 2일 발효됩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중국산 수입품에 대한 34%의 상호 관세로 “트럼프 2기 행정부 이전에 부과된 것을 포함하면 중국산 제품에 대한 미국의 평균 관세가 70% 이상으로 사실상 인상될 것”이라고 보도하기도 했습니다.
다만 피터슨 국제경제연구소의 무역 전문가 채드 바운에 따르면 이번 관세 인상으로 미국의 대중국 평균 관세가 42.1%로 인상됐다는 추정도 있습니다.
이는 트럼프 대통령이 첫 임기인 2018년 중국과의 첫 무역 전쟁을 벌이기 전의 10배가 넘는 수준입니다.
중국 상무부는 이날 대변인 명의 성명에서 “미국은 주관적이고 일방적인 평가를 바탕으로 상호 관세를 도출했다”며 “이에 대해 많은 무역 상대국이 이미 강한 불만과 명확한 반대를 표명했다”고 강조했습니다.
그러면서 “즉시 일방적 관세 조치를 철회하고 무역 상대국과 평등한 대화를 통해 이견을 적절하게 해소할 것을 미국에 촉구한다”는 반응을 내놨습니다.
중국은 지난달 4일 미국이 10%의 추가 보편 관세를 부과하자 즉시 석탄·석유 등 일부 미국산 수입품에 10∼15% 관세를 부과하는 등 강력히 대응한 바 있습니다.
한편 미국은 이번 상호 관세율을 발표하면서 국가별로 정교하게 계산하지 않고 사실상 해당 국가와의 교역에서 발생한 무역적자액을 해당국에서 수입하는 금액으로 나눈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블룸버그 “‘미 상호 관세’로 대중국 평균 관세율 65%에 달할 것”
-
- 입력 2025-04-03 16:44:14
- 수정2025-04-03 16:46:20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현지 시각 2일 중국에 34% 상호 관세 부과를 발표함에 따라 중국산 수입품에 대한 미국의 평균 관세율이 65%에 달할 것이라는 추정이 나옵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2월 4일과 3월 4일에 각각 10%씩 총 20%의 추가 관세를 중국에 이미 부과한 바 있습니다.
여기에 이와 별도로 이날 중국에 대해 34%의 상호 관세를 발표했습니다.
블룸버그는 “이는 많은 중국산 수입품에 50%를 넘는 관세가 부과된다는 뜻”이라며 “2029년까지 미중 무역 대부분을 소멸시키기에 충분히 높은 수준”이라고 보도했습니다.
전문가들에 따르면 34% 상호 관세 부과로 모든 중국 수입품에 대한 평균 관세율이 65%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고 블룸버그는 전했습니다.
트럼프 1기 행정부 때 시작돼 조 바이든 전임 행정부 시기에 유지된 기존 관세까지 포함하면 이런 계산이 나온다는 것입니다.
지난해 대선 유세 과정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공언해 온 ‘대중국 60% 관세 부과’를 실현하는 셈입니다.
또한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중국발 800달러(약 117만 원) 이하의 수입품에 대한 관세를 면제해주는 ‘소액 면세 제도’를 폐지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했습니다.
해당 행정명령은 다음 달 2일 발효됩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중국산 수입품에 대한 34%의 상호 관세로 “트럼프 2기 행정부 이전에 부과된 것을 포함하면 중국산 제품에 대한 미국의 평균 관세가 70% 이상으로 사실상 인상될 것”이라고 보도하기도 했습니다.
다만 피터슨 국제경제연구소의 무역 전문가 채드 바운에 따르면 이번 관세 인상으로 미국의 대중국 평균 관세가 42.1%로 인상됐다는 추정도 있습니다.
이는 트럼프 대통령이 첫 임기인 2018년 중국과의 첫 무역 전쟁을 벌이기 전의 10배가 넘는 수준입니다.
중국 상무부는 이날 대변인 명의 성명에서 “미국은 주관적이고 일방적인 평가를 바탕으로 상호 관세를 도출했다”며 “이에 대해 많은 무역 상대국이 이미 강한 불만과 명확한 반대를 표명했다”고 강조했습니다.
그러면서 “즉시 일방적 관세 조치를 철회하고 무역 상대국과 평등한 대화를 통해 이견을 적절하게 해소할 것을 미국에 촉구한다”는 반응을 내놨습니다.
중국은 지난달 4일 미국이 10%의 추가 보편 관세를 부과하자 즉시 석탄·석유 등 일부 미국산 수입품에 10∼15% 관세를 부과하는 등 강력히 대응한 바 있습니다.
한편 미국은 이번 상호 관세율을 발표하면서 국가별로 정교하게 계산하지 않고 사실상 해당 국가와의 교역에서 발생한 무역적자액을 해당국에서 수입하는 금액으로 나눈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2월 4일과 3월 4일에 각각 10%씩 총 20%의 추가 관세를 중국에 이미 부과한 바 있습니다.
여기에 이와 별도로 이날 중국에 대해 34%의 상호 관세를 발표했습니다.
블룸버그는 “이는 많은 중국산 수입품에 50%를 넘는 관세가 부과된다는 뜻”이라며 “2029년까지 미중 무역 대부분을 소멸시키기에 충분히 높은 수준”이라고 보도했습니다.
전문가들에 따르면 34% 상호 관세 부과로 모든 중국 수입품에 대한 평균 관세율이 65%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고 블룸버그는 전했습니다.
트럼프 1기 행정부 때 시작돼 조 바이든 전임 행정부 시기에 유지된 기존 관세까지 포함하면 이런 계산이 나온다는 것입니다.
지난해 대선 유세 과정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공언해 온 ‘대중국 60% 관세 부과’를 실현하는 셈입니다.
또한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중국발 800달러(약 117만 원) 이하의 수입품에 대한 관세를 면제해주는 ‘소액 면세 제도’를 폐지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했습니다.
해당 행정명령은 다음 달 2일 발효됩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중국산 수입품에 대한 34%의 상호 관세로 “트럼프 2기 행정부 이전에 부과된 것을 포함하면 중국산 제품에 대한 미국의 평균 관세가 70% 이상으로 사실상 인상될 것”이라고 보도하기도 했습니다.
다만 피터슨 국제경제연구소의 무역 전문가 채드 바운에 따르면 이번 관세 인상으로 미국의 대중국 평균 관세가 42.1%로 인상됐다는 추정도 있습니다.
이는 트럼프 대통령이 첫 임기인 2018년 중국과의 첫 무역 전쟁을 벌이기 전의 10배가 넘는 수준입니다.
중국 상무부는 이날 대변인 명의 성명에서 “미국은 주관적이고 일방적인 평가를 바탕으로 상호 관세를 도출했다”며 “이에 대해 많은 무역 상대국이 이미 강한 불만과 명확한 반대를 표명했다”고 강조했습니다.
그러면서 “즉시 일방적 관세 조치를 철회하고 무역 상대국과 평등한 대화를 통해 이견을 적절하게 해소할 것을 미국에 촉구한다”는 반응을 내놨습니다.
중국은 지난달 4일 미국이 10%의 추가 보편 관세를 부과하자 즉시 석탄·석유 등 일부 미국산 수입품에 10∼15% 관세를 부과하는 등 강력히 대응한 바 있습니다.
한편 미국은 이번 상호 관세율을 발표하면서 국가별로 정교하게 계산하지 않고 사실상 해당 국가와의 교역에서 발생한 무역적자액을 해당국에서 수입하는 금액으로 나눈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
홍진아 기자 gina@kbs.co.kr
홍진아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