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인계로 정보 빼낸다”…중국 주재 미국 정부 직원에 ‘중국인과 연애 금지령’
입력 2025.04.03 (17:57)
수정 2025.04.03 (18:1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국 주재 미국 정부기관 직원들에게 ‘중국인과 연애·성관계 금지령’이 내려졌다고 AP통신 등이 3일 보도했습니다.
이번 조치는 주베이징 대사관을 비롯해 광저우, 상하이, 선양, 우한의 영사관과 홍콩·마카오 영사관 등에 소속된 정규 직원뿐만 아니라 보안 인가를 받은 계약직 직원도 포함됩니다. 이는 니콜라스 번스 전 중국 주재 미국대사가 지난 1월 퇴임하기 직전 도입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일부 미 정부기관이 이와 유사한 제한을 둔 적은 있으나, 이렇게 전면적인 사교 금지 정책을 도입한 것은 냉전 이후 처음이라고 통신들은 짚었습니다.
기존에도 중국인과의 친밀한 관계를 보고하게 돼 있긴 했으나, 대놓고 금지하지는 않았었습니다. 미중 무역 긴장이 높아지는 가운데 미국의 중국에 대한 불신이 심화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조치라고 블룸버그는 분석했습니다.
이번 정책은 공식 발표 없이 구두 및 통신으로 전달됐으며, 이를 위반한 직원은 중국에서 즉시 철수해야 하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전에 중국인과 관계를 맺어온 직원의 경우 따로 예외 신청을 해야 하나, 신청은 거절될 수도 있습니다.
미국 정보 전문가들은 중국 정부가 미국 외교가에 접근해 정보를 빼내기 위해 미인계로 포섭하는 수법을 적극 활용하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전직 미국 중앙정보국(CIA) 분석가 출신인 피터 매티스는 “과거 중국 정보기관이 중국에 주재한 미국 외교관을 꾀어낸 사건이 최소 2건 공개된 바 있는데, 최근에는 유사한 사례를 들은 적이 없다”면서 “이번 조치는 중국이 미국 정부에 접근하는 방식이 더욱 공격적으로 변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고 지적했습니다.
[사진 출처 : 게티이미지]
이번 조치는 주베이징 대사관을 비롯해 광저우, 상하이, 선양, 우한의 영사관과 홍콩·마카오 영사관 등에 소속된 정규 직원뿐만 아니라 보안 인가를 받은 계약직 직원도 포함됩니다. 이는 니콜라스 번스 전 중국 주재 미국대사가 지난 1월 퇴임하기 직전 도입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일부 미 정부기관이 이와 유사한 제한을 둔 적은 있으나, 이렇게 전면적인 사교 금지 정책을 도입한 것은 냉전 이후 처음이라고 통신들은 짚었습니다.
기존에도 중국인과의 친밀한 관계를 보고하게 돼 있긴 했으나, 대놓고 금지하지는 않았었습니다. 미중 무역 긴장이 높아지는 가운데 미국의 중국에 대한 불신이 심화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조치라고 블룸버그는 분석했습니다.
이번 정책은 공식 발표 없이 구두 및 통신으로 전달됐으며, 이를 위반한 직원은 중국에서 즉시 철수해야 하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전에 중국인과 관계를 맺어온 직원의 경우 따로 예외 신청을 해야 하나, 신청은 거절될 수도 있습니다.
미국 정보 전문가들은 중국 정부가 미국 외교가에 접근해 정보를 빼내기 위해 미인계로 포섭하는 수법을 적극 활용하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전직 미국 중앙정보국(CIA) 분석가 출신인 피터 매티스는 “과거 중국 정보기관이 중국에 주재한 미국 외교관을 꾀어낸 사건이 최소 2건 공개된 바 있는데, 최근에는 유사한 사례를 들은 적이 없다”면서 “이번 조치는 중국이 미국 정부에 접근하는 방식이 더욱 공격적으로 변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고 지적했습니다.
[사진 출처 : 게티이미지]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미인계로 정보 빼낸다”…중국 주재 미국 정부 직원에 ‘중국인과 연애 금지령’
-
- 입력 2025-04-03 17:57:29
- 수정2025-04-03 18:10:10

중국 주재 미국 정부기관 직원들에게 ‘중국인과 연애·성관계 금지령’이 내려졌다고 AP통신 등이 3일 보도했습니다.
이번 조치는 주베이징 대사관을 비롯해 광저우, 상하이, 선양, 우한의 영사관과 홍콩·마카오 영사관 등에 소속된 정규 직원뿐만 아니라 보안 인가를 받은 계약직 직원도 포함됩니다. 이는 니콜라스 번스 전 중국 주재 미국대사가 지난 1월 퇴임하기 직전 도입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일부 미 정부기관이 이와 유사한 제한을 둔 적은 있으나, 이렇게 전면적인 사교 금지 정책을 도입한 것은 냉전 이후 처음이라고 통신들은 짚었습니다.
기존에도 중국인과의 친밀한 관계를 보고하게 돼 있긴 했으나, 대놓고 금지하지는 않았었습니다. 미중 무역 긴장이 높아지는 가운데 미국의 중국에 대한 불신이 심화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조치라고 블룸버그는 분석했습니다.
이번 정책은 공식 발표 없이 구두 및 통신으로 전달됐으며, 이를 위반한 직원은 중국에서 즉시 철수해야 하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전에 중국인과 관계를 맺어온 직원의 경우 따로 예외 신청을 해야 하나, 신청은 거절될 수도 있습니다.
미국 정보 전문가들은 중국 정부가 미국 외교가에 접근해 정보를 빼내기 위해 미인계로 포섭하는 수법을 적극 활용하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전직 미국 중앙정보국(CIA) 분석가 출신인 피터 매티스는 “과거 중국 정보기관이 중국에 주재한 미국 외교관을 꾀어낸 사건이 최소 2건 공개된 바 있는데, 최근에는 유사한 사례를 들은 적이 없다”면서 “이번 조치는 중국이 미국 정부에 접근하는 방식이 더욱 공격적으로 변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고 지적했습니다.
[사진 출처 : 게티이미지]
이번 조치는 주베이징 대사관을 비롯해 광저우, 상하이, 선양, 우한의 영사관과 홍콩·마카오 영사관 등에 소속된 정규 직원뿐만 아니라 보안 인가를 받은 계약직 직원도 포함됩니다. 이는 니콜라스 번스 전 중국 주재 미국대사가 지난 1월 퇴임하기 직전 도입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일부 미 정부기관이 이와 유사한 제한을 둔 적은 있으나, 이렇게 전면적인 사교 금지 정책을 도입한 것은 냉전 이후 처음이라고 통신들은 짚었습니다.
기존에도 중국인과의 친밀한 관계를 보고하게 돼 있긴 했으나, 대놓고 금지하지는 않았었습니다. 미중 무역 긴장이 높아지는 가운데 미국의 중국에 대한 불신이 심화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조치라고 블룸버그는 분석했습니다.
이번 정책은 공식 발표 없이 구두 및 통신으로 전달됐으며, 이를 위반한 직원은 중국에서 즉시 철수해야 하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전에 중국인과 관계를 맺어온 직원의 경우 따로 예외 신청을 해야 하나, 신청은 거절될 수도 있습니다.
미국 정보 전문가들은 중국 정부가 미국 외교가에 접근해 정보를 빼내기 위해 미인계로 포섭하는 수법을 적극 활용하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전직 미국 중앙정보국(CIA) 분석가 출신인 피터 매티스는 “과거 중국 정보기관이 중국에 주재한 미국 외교관을 꾀어낸 사건이 최소 2건 공개된 바 있는데, 최근에는 유사한 사례를 들은 적이 없다”면서 “이번 조치는 중국이 미국 정부에 접근하는 방식이 더욱 공격적으로 변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고 지적했습니다.
[사진 출처 : 게티이미지]
-
-
김귀수 기자 seowoo10@kbs.co.kr
김귀수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