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가, 미 경기침체 진입 경고…“관세 발표전부터 이미 둔화”

입력 2025.04.04 (01:30) 수정 2025.04.04 (01:3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전 세계 교역국을 상대로 고율의 상호관세 부과를 발표하면서 미국이 경기침체에 진입할 위험이 커졌다는 경고가 월가에서 나오고 있습니다.

블룸버그 통신 등에 따르면 JP모건체이스의 마이클 페롤리 미국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투자자 노트에서 상호관세가 올해 인플레이션을 1.5%포인트 올릴 수 있지만 개인소득과 소비지출을 억누를 수 있다며 "이 효과만으로도 미국 경제를 위험할 정도로 침체에 가까워지게 할 수 있다"라고 진단했습니다.

페롤리는 트럼프 대통령이 밝힌 상호관세의 평균 실효세율이 23% 이상이라고 평가하면서 이 같은 관세율은 보호무역주의가 득세했던 1차 세계대전 발발 이전 시기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라고 지적했습니다.

UBS의 조너선 핑글 미국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상호관세 여파로 미국 경제가 2개 분기 연속 마이너스 성장을 나타내는 기술적 침체에 빠질 것이라고 내다봤습니다.

그는 "경기 확장세는 이미 둔화하고 있었고, 재정지원은 약해지고 있었으며, 소비 강도도 축소되고 있었다"며 상호관세 발표 이전에 이미 미국 경제에 대한 신뢰가 약화 징후를 보이고 있었다고 진단했습니다.

뉴욕증시가 추가 하락을 이어갈 것이란 경고도 나왔습니다.

RBC캐피털마켓츠의 로리 칼바시나가 이끄는 주식전략팀은 상호관세 여파로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가 4,900∼5,300으로 추가 하락할 수 있다고 내다봤습니다.

지난 2월 고점 대비 낙폭이 최대 20%에 이를 수 있다고 본 것입니다.

칼바시나는 캐나다와 멕시코에 추가 조치가 부여되지 않은 점과 협상 여지가 남았다는 점은 희망적인 요인이라고 지목하면서도, 예외 조항이 없고 최종 관세 수준에 대한 불확실성이 지속되며 경제심리에 악영향을 주는 점 등을 우려 요인으로 지목했습니다.

[사진 출처 : AFP=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월가, 미 경기침체 진입 경고…“관세 발표전부터 이미 둔화”
    • 입력 2025-04-04 01:30:42
    • 수정2025-04-04 01:31:23
    국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전 세계 교역국을 상대로 고율의 상호관세 부과를 발표하면서 미국이 경기침체에 진입할 위험이 커졌다는 경고가 월가에서 나오고 있습니다.

블룸버그 통신 등에 따르면 JP모건체이스의 마이클 페롤리 미국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투자자 노트에서 상호관세가 올해 인플레이션을 1.5%포인트 올릴 수 있지만 개인소득과 소비지출을 억누를 수 있다며 "이 효과만으로도 미국 경제를 위험할 정도로 침체에 가까워지게 할 수 있다"라고 진단했습니다.

페롤리는 트럼프 대통령이 밝힌 상호관세의 평균 실효세율이 23% 이상이라고 평가하면서 이 같은 관세율은 보호무역주의가 득세했던 1차 세계대전 발발 이전 시기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라고 지적했습니다.

UBS의 조너선 핑글 미국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상호관세 여파로 미국 경제가 2개 분기 연속 마이너스 성장을 나타내는 기술적 침체에 빠질 것이라고 내다봤습니다.

그는 "경기 확장세는 이미 둔화하고 있었고, 재정지원은 약해지고 있었으며, 소비 강도도 축소되고 있었다"며 상호관세 발표 이전에 이미 미국 경제에 대한 신뢰가 약화 징후를 보이고 있었다고 진단했습니다.

뉴욕증시가 추가 하락을 이어갈 것이란 경고도 나왔습니다.

RBC캐피털마켓츠의 로리 칼바시나가 이끄는 주식전략팀은 상호관세 여파로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가 4,900∼5,300으로 추가 하락할 수 있다고 내다봤습니다.

지난 2월 고점 대비 낙폭이 최대 20%에 이를 수 있다고 본 것입니다.

칼바시나는 캐나다와 멕시코에 추가 조치가 부여되지 않은 점과 협상 여지가 남았다는 점은 희망적인 요인이라고 지목하면서도, 예외 조항이 없고 최종 관세 수준에 대한 불확실성이 지속되며 경제심리에 악영향을 주는 점 등을 우려 요인으로 지목했습니다.

[사진 출처 : AFP=연합뉴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