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연구진, 모더나·화이자 ‘mRNA 백신’ 작동 원리 최초 규명

입력 2025.04.04 (03:0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 연구진이 모더나·화이자의 코로나19 백신인 '메신저 리보핵산(mRNA)' 백신의 작동 원리를 세계 최초로 밝혀냈습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오늘(4일) 김빛내리 기초과학연구원 RNA 연구단장이 이끄는 연구팀이 mRNA 백신의 세포 내 전달 등 작동 원리를 규명했다고 밝혔습니다.

mRNA를 활용한 백신은 모더나와 화이자가 상용화한 코로나19 백신으로, 전통적인 재조합 단백질 방식 백신보다 훨씬 빠르게 생산할 수 있고, 각종 변이 바이러스에 대응하기 쉽습니다.

이 때문에 mRNA 백신은 코로나19 대유행 당시 세계 각국의 감염 예방에 크게 기여했지만, 체내에 투입된 mRNA가 정확히 어떻게 작동되는지는 연구가 충분하지 않았습니다.

이에 김빛내리 연구팀은 우선 mRNA가 처음 인체에 유입될 때 '황산 헤파란'이란 단백질 도움을 받아 세포 안으로 들어간다는 사실을 발견했습니다.

또, 세포질 내 'TRIM25' 라고 하는 단백질이 체내 유입된 mRNA를 침입자로 인식하고 제거한다는 사실도 처음 확인했습니다.

이 단백질은 소포체 막이 파열되면서 나오는 양성자 이온(H+)에 의해 활성화되는데, 그럴 경우 mRNA를 표적 삼아 빠르게 분해한다고, 연구진은 설명했습니다.

모더나와 화이자의 코로나19 백신의 경우, 그 안에 들어있는 'N1-메틸수도유리딘 변형 염기'가 TRIM25 단백질의 결합력을 감소시켜 mRNA를 분해하지 못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과기정통부는 “이번 연구는 mRNA 백신의 세포 내 작동 원리를 최초로 밝혀냄으로써 mRNA 치료제의 효능과 안정성을 한 단계 높여갈 이론적 토대가 마련됐다는데 큰 의미가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이번 연구 결과는 현지 시각으로 오늘 새벽, 세계적인 학술지인 사이언스지 온라인판에 실렸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국내 연구진, 모더나·화이자 ‘mRNA 백신’ 작동 원리 최초 규명
    • 입력 2025-04-04 03:00:50
    IT·과학
국내 연구진이 모더나·화이자의 코로나19 백신인 '메신저 리보핵산(mRNA)' 백신의 작동 원리를 세계 최초로 밝혀냈습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오늘(4일) 김빛내리 기초과학연구원 RNA 연구단장이 이끄는 연구팀이 mRNA 백신의 세포 내 전달 등 작동 원리를 규명했다고 밝혔습니다.

mRNA를 활용한 백신은 모더나와 화이자가 상용화한 코로나19 백신으로, 전통적인 재조합 단백질 방식 백신보다 훨씬 빠르게 생산할 수 있고, 각종 변이 바이러스에 대응하기 쉽습니다.

이 때문에 mRNA 백신은 코로나19 대유행 당시 세계 각국의 감염 예방에 크게 기여했지만, 체내에 투입된 mRNA가 정확히 어떻게 작동되는지는 연구가 충분하지 않았습니다.

이에 김빛내리 연구팀은 우선 mRNA가 처음 인체에 유입될 때 '황산 헤파란'이란 단백질 도움을 받아 세포 안으로 들어간다는 사실을 발견했습니다.

또, 세포질 내 'TRIM25' 라고 하는 단백질이 체내 유입된 mRNA를 침입자로 인식하고 제거한다는 사실도 처음 확인했습니다.

이 단백질은 소포체 막이 파열되면서 나오는 양성자 이온(H+)에 의해 활성화되는데, 그럴 경우 mRNA를 표적 삼아 빠르게 분해한다고, 연구진은 설명했습니다.

모더나와 화이자의 코로나19 백신의 경우, 그 안에 들어있는 'N1-메틸수도유리딘 변형 염기'가 TRIM25 단백질의 결합력을 감소시켜 mRNA를 분해하지 못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과기정통부는 “이번 연구는 mRNA 백신의 세포 내 작동 원리를 최초로 밝혀냄으로써 mRNA 치료제의 효능과 안정성을 한 단계 높여갈 이론적 토대가 마련됐다는데 큰 의미가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이번 연구 결과는 현지 시각으로 오늘 새벽, 세계적인 학술지인 사이언스지 온라인판에 실렸습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