캐나다, 미국의 자동차 관세에 대응해 25% 맞불관세 부과
입력 2025.04.04 (03:22)
수정 2025.04.04 (03:2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마크 카니 캐나다 총리는 3일 도널드 트럼프 미 행정부가 부과한 25% 자동차 관세에 대응해 미국산 자동차에 25% 맞불 관세를 부과한다고 밝혔습니다.
카니 총리는 "미국 시민들에게 미칠 충격에 비춰볼 때 미 행정부는 결국 정책을 바꿔야 하겠지만, 그렇다고 내가 잘못된 희망을 주길 원하진 않는다"며 이처럼 말했습니다.
다만, 트럼프 행정부가 미국·멕시코·캐나다 무역협정(USMCA) 적용 상품은 관세 적용을 유예한 것과 마찬가지로 캐나다 역시 USMCA 적용 상품은 관세 대상에서 제외했습니다.
자동차 부품 역시 신규 관세 부과 대상에서 제외됐습니다.
앞서 부과한 캐나다의 맞불 관세 조치 역시 그대로 유지한다고 카니 총리는 밝혔습니다.
카니 총리는 "미국은 지난 80년간 글로벌 경제 리더십을 발휘해 왔고, 이 기간 미국은 신뢰와 상호존중에 근거한 동맹을 강화하면서 자유롭고 개방된 무역을 옹호했다"며 "이제 그 시기는 끝났다"라고 말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전날 전 세계 교역국을 상대로 고율의 상호관세를 부과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했습니다.
캐나다와 멕시코는 이날 상호관세 부과 대상에서는 제외됐습니다.
앞서 트럼프 행정부는 미국으로의 합성마약 펜타닐 밀매와 불법 이민자 유입에 충분히 대응하지 않았다며 캐나다와 멕시코를 상대로 25% 관세를 부과했습니다.
다만, USMCA 준수 상품에 대해선 관세 적용 면제 조치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또 트럼프 행정부는 3일 오전 0시1분부터 미국 이외에서 생산된 모든 자동차에 대해 25% 관세를 예외 없이 부과하기 시작했으며, 엔진 등 주요 부품에 대해서는 늦어도 다음 달 3일 이전에 25%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예고했습니다.
[사진 출처 : AP=연합뉴스]
카니 총리는 "미국 시민들에게 미칠 충격에 비춰볼 때 미 행정부는 결국 정책을 바꿔야 하겠지만, 그렇다고 내가 잘못된 희망을 주길 원하진 않는다"며 이처럼 말했습니다.
다만, 트럼프 행정부가 미국·멕시코·캐나다 무역협정(USMCA) 적용 상품은 관세 적용을 유예한 것과 마찬가지로 캐나다 역시 USMCA 적용 상품은 관세 대상에서 제외했습니다.
자동차 부품 역시 신규 관세 부과 대상에서 제외됐습니다.
앞서 부과한 캐나다의 맞불 관세 조치 역시 그대로 유지한다고 카니 총리는 밝혔습니다.
카니 총리는 "미국은 지난 80년간 글로벌 경제 리더십을 발휘해 왔고, 이 기간 미국은 신뢰와 상호존중에 근거한 동맹을 강화하면서 자유롭고 개방된 무역을 옹호했다"며 "이제 그 시기는 끝났다"라고 말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전날 전 세계 교역국을 상대로 고율의 상호관세를 부과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했습니다.
캐나다와 멕시코는 이날 상호관세 부과 대상에서는 제외됐습니다.
앞서 트럼프 행정부는 미국으로의 합성마약 펜타닐 밀매와 불법 이민자 유입에 충분히 대응하지 않았다며 캐나다와 멕시코를 상대로 25% 관세를 부과했습니다.
다만, USMCA 준수 상품에 대해선 관세 적용 면제 조치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또 트럼프 행정부는 3일 오전 0시1분부터 미국 이외에서 생산된 모든 자동차에 대해 25% 관세를 예외 없이 부과하기 시작했으며, 엔진 등 주요 부품에 대해서는 늦어도 다음 달 3일 이전에 25%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예고했습니다.
[사진 출처 : AP=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캐나다, 미국의 자동차 관세에 대응해 25% 맞불관세 부과
-
- 입력 2025-04-04 03:22:21
- 수정2025-04-04 03:22:44

마크 카니 캐나다 총리는 3일 도널드 트럼프 미 행정부가 부과한 25% 자동차 관세에 대응해 미국산 자동차에 25% 맞불 관세를 부과한다고 밝혔습니다.
카니 총리는 "미국 시민들에게 미칠 충격에 비춰볼 때 미 행정부는 결국 정책을 바꿔야 하겠지만, 그렇다고 내가 잘못된 희망을 주길 원하진 않는다"며 이처럼 말했습니다.
다만, 트럼프 행정부가 미국·멕시코·캐나다 무역협정(USMCA) 적용 상품은 관세 적용을 유예한 것과 마찬가지로 캐나다 역시 USMCA 적용 상품은 관세 대상에서 제외했습니다.
자동차 부품 역시 신규 관세 부과 대상에서 제외됐습니다.
앞서 부과한 캐나다의 맞불 관세 조치 역시 그대로 유지한다고 카니 총리는 밝혔습니다.
카니 총리는 "미국은 지난 80년간 글로벌 경제 리더십을 발휘해 왔고, 이 기간 미국은 신뢰와 상호존중에 근거한 동맹을 강화하면서 자유롭고 개방된 무역을 옹호했다"며 "이제 그 시기는 끝났다"라고 말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전날 전 세계 교역국을 상대로 고율의 상호관세를 부과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했습니다.
캐나다와 멕시코는 이날 상호관세 부과 대상에서는 제외됐습니다.
앞서 트럼프 행정부는 미국으로의 합성마약 펜타닐 밀매와 불법 이민자 유입에 충분히 대응하지 않았다며 캐나다와 멕시코를 상대로 25% 관세를 부과했습니다.
다만, USMCA 준수 상품에 대해선 관세 적용 면제 조치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또 트럼프 행정부는 3일 오전 0시1분부터 미국 이외에서 생산된 모든 자동차에 대해 25% 관세를 예외 없이 부과하기 시작했으며, 엔진 등 주요 부품에 대해서는 늦어도 다음 달 3일 이전에 25%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예고했습니다.
[사진 출처 : AP=연합뉴스]
카니 총리는 "미국 시민들에게 미칠 충격에 비춰볼 때 미 행정부는 결국 정책을 바꿔야 하겠지만, 그렇다고 내가 잘못된 희망을 주길 원하진 않는다"며 이처럼 말했습니다.
다만, 트럼프 행정부가 미국·멕시코·캐나다 무역협정(USMCA) 적용 상품은 관세 적용을 유예한 것과 마찬가지로 캐나다 역시 USMCA 적용 상품은 관세 대상에서 제외했습니다.
자동차 부품 역시 신규 관세 부과 대상에서 제외됐습니다.
앞서 부과한 캐나다의 맞불 관세 조치 역시 그대로 유지한다고 카니 총리는 밝혔습니다.
카니 총리는 "미국은 지난 80년간 글로벌 경제 리더십을 발휘해 왔고, 이 기간 미국은 신뢰와 상호존중에 근거한 동맹을 강화하면서 자유롭고 개방된 무역을 옹호했다"며 "이제 그 시기는 끝났다"라고 말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전날 전 세계 교역국을 상대로 고율의 상호관세를 부과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했습니다.
캐나다와 멕시코는 이날 상호관세 부과 대상에서는 제외됐습니다.
앞서 트럼프 행정부는 미국으로의 합성마약 펜타닐 밀매와 불법 이민자 유입에 충분히 대응하지 않았다며 캐나다와 멕시코를 상대로 25% 관세를 부과했습니다.
다만, USMCA 준수 상품에 대해선 관세 적용 면제 조치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또 트럼프 행정부는 3일 오전 0시1분부터 미국 이외에서 생산된 모든 자동차에 대해 25% 관세를 예외 없이 부과하기 시작했으며, 엔진 등 주요 부품에 대해서는 늦어도 다음 달 3일 이전에 25%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예고했습니다.
[사진 출처 : AP=연합뉴스]
-
-
윤진 기자 jin@kbs.co.kr
윤진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