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불 휩쓴 송이 산지…무너진 농업 기반
입력 2025.04.04 (06:47)
수정 2025.04.04 (07:58)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경상북도는 송이와 사과 주산지로 유명한데요.
이번 산불로 생산 기반에 큰 피해가 발생했습니다.
피해 복구에 오랜 시간이 걸릴 것으로 예상됩니다.
김도훈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전국 송이 생산량의 20% 이상을 차지하는 경북 영덕군.
이번 산불로 송이가 자라던 산간 지역 대부분이 잿더미로 변했습니다.
수십 년 된 이런 큰 소나무들뿐만 아니라 심은 지 5년 정도 된 이런 어린 소나무들까지 모두 불타버렸습니다.
최소 30~40년 동안은 이 산에서 송이를 채취할 수 없게 된 겁니다.
영덕군 인구 10명 중 2명은 송이 채취 등 관련 분야에 종사하는데, 이들 상당수가 생계를 위한 터전을 잃게 됐습니다.
특히, 송이는 산에서 자생하고 생산량이 일정하지 않아 현행법상 재난 지원 대상에도 빠져 있습니다.
[신두기/송이 임업인 : "지금도 아직까지 실질적으로 참 어떻게 살아야 되느냐 하는 마음이 앞서요. 집 탄 건 아무것도 아니야."]
드넓은 과수원에 불타고 그을린 앙상한 사과나무만 남았습니다.
불탄 나무를 뽑아내고 새 묘목을 심어 열매를 수확하기까지 몇 년이 걸릴지 가늠이 힘듭니다.
게다가 상당수 농민은 고령층이어서 장기간의 복구 기간을 거쳐 재기할 수 있을지 기약하기 어렵습니다.
[정희호/과수 농민 : "한순간에 이렇게 되니까, 농사를 다시 지어야 할지 말아야 할지…. 고민이 아닙니다. 우리는 이게 삶인데, 앞이 안 보이니까."]
이번 산불로 경북 지역 농작물과 농업시설은 9백억 원이 넘는 피해를 입은 것으로 추산됩니다.
송이와 사과 등 경북 지역 주력 농업의 생산 기반이 무너진 것은 물론, 농산물 가격 상승 등 물가에도 적잖은 여파가 우려됩니다.
KBS 뉴스 김도훈입니다.
촬영기자:김익수 김동욱
경상북도는 송이와 사과 주산지로 유명한데요.
이번 산불로 생산 기반에 큰 피해가 발생했습니다.
피해 복구에 오랜 시간이 걸릴 것으로 예상됩니다.
김도훈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전국 송이 생산량의 20% 이상을 차지하는 경북 영덕군.
이번 산불로 송이가 자라던 산간 지역 대부분이 잿더미로 변했습니다.
수십 년 된 이런 큰 소나무들뿐만 아니라 심은 지 5년 정도 된 이런 어린 소나무들까지 모두 불타버렸습니다.
최소 30~40년 동안은 이 산에서 송이를 채취할 수 없게 된 겁니다.
영덕군 인구 10명 중 2명은 송이 채취 등 관련 분야에 종사하는데, 이들 상당수가 생계를 위한 터전을 잃게 됐습니다.
특히, 송이는 산에서 자생하고 생산량이 일정하지 않아 현행법상 재난 지원 대상에도 빠져 있습니다.
[신두기/송이 임업인 : "지금도 아직까지 실질적으로 참 어떻게 살아야 되느냐 하는 마음이 앞서요. 집 탄 건 아무것도 아니야."]
드넓은 과수원에 불타고 그을린 앙상한 사과나무만 남았습니다.
불탄 나무를 뽑아내고 새 묘목을 심어 열매를 수확하기까지 몇 년이 걸릴지 가늠이 힘듭니다.
게다가 상당수 농민은 고령층이어서 장기간의 복구 기간을 거쳐 재기할 수 있을지 기약하기 어렵습니다.
[정희호/과수 농민 : "한순간에 이렇게 되니까, 농사를 다시 지어야 할지 말아야 할지…. 고민이 아닙니다. 우리는 이게 삶인데, 앞이 안 보이니까."]
이번 산불로 경북 지역 농작물과 농업시설은 9백억 원이 넘는 피해를 입은 것으로 추산됩니다.
송이와 사과 등 경북 지역 주력 농업의 생산 기반이 무너진 것은 물론, 농산물 가격 상승 등 물가에도 적잖은 여파가 우려됩니다.
KBS 뉴스 김도훈입니다.
촬영기자:김익수 김동욱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산불 휩쓴 송이 산지…무너진 농업 기반
-
- 입력 2025-04-04 06:47:01
- 수정2025-04-04 07:58:23

[앵커]
경상북도는 송이와 사과 주산지로 유명한데요.
이번 산불로 생산 기반에 큰 피해가 발생했습니다.
피해 복구에 오랜 시간이 걸릴 것으로 예상됩니다.
김도훈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전국 송이 생산량의 20% 이상을 차지하는 경북 영덕군.
이번 산불로 송이가 자라던 산간 지역 대부분이 잿더미로 변했습니다.
수십 년 된 이런 큰 소나무들뿐만 아니라 심은 지 5년 정도 된 이런 어린 소나무들까지 모두 불타버렸습니다.
최소 30~40년 동안은 이 산에서 송이를 채취할 수 없게 된 겁니다.
영덕군 인구 10명 중 2명은 송이 채취 등 관련 분야에 종사하는데, 이들 상당수가 생계를 위한 터전을 잃게 됐습니다.
특히, 송이는 산에서 자생하고 생산량이 일정하지 않아 현행법상 재난 지원 대상에도 빠져 있습니다.
[신두기/송이 임업인 : "지금도 아직까지 실질적으로 참 어떻게 살아야 되느냐 하는 마음이 앞서요. 집 탄 건 아무것도 아니야."]
드넓은 과수원에 불타고 그을린 앙상한 사과나무만 남았습니다.
불탄 나무를 뽑아내고 새 묘목을 심어 열매를 수확하기까지 몇 년이 걸릴지 가늠이 힘듭니다.
게다가 상당수 농민은 고령층이어서 장기간의 복구 기간을 거쳐 재기할 수 있을지 기약하기 어렵습니다.
[정희호/과수 농민 : "한순간에 이렇게 되니까, 농사를 다시 지어야 할지 말아야 할지…. 고민이 아닙니다. 우리는 이게 삶인데, 앞이 안 보이니까."]
이번 산불로 경북 지역 농작물과 농업시설은 9백억 원이 넘는 피해를 입은 것으로 추산됩니다.
송이와 사과 등 경북 지역 주력 농업의 생산 기반이 무너진 것은 물론, 농산물 가격 상승 등 물가에도 적잖은 여파가 우려됩니다.
KBS 뉴스 김도훈입니다.
촬영기자:김익수 김동욱
경상북도는 송이와 사과 주산지로 유명한데요.
이번 산불로 생산 기반에 큰 피해가 발생했습니다.
피해 복구에 오랜 시간이 걸릴 것으로 예상됩니다.
김도훈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전국 송이 생산량의 20% 이상을 차지하는 경북 영덕군.
이번 산불로 송이가 자라던 산간 지역 대부분이 잿더미로 변했습니다.
수십 년 된 이런 큰 소나무들뿐만 아니라 심은 지 5년 정도 된 이런 어린 소나무들까지 모두 불타버렸습니다.
최소 30~40년 동안은 이 산에서 송이를 채취할 수 없게 된 겁니다.
영덕군 인구 10명 중 2명은 송이 채취 등 관련 분야에 종사하는데, 이들 상당수가 생계를 위한 터전을 잃게 됐습니다.
특히, 송이는 산에서 자생하고 생산량이 일정하지 않아 현행법상 재난 지원 대상에도 빠져 있습니다.
[신두기/송이 임업인 : "지금도 아직까지 실질적으로 참 어떻게 살아야 되느냐 하는 마음이 앞서요. 집 탄 건 아무것도 아니야."]
드넓은 과수원에 불타고 그을린 앙상한 사과나무만 남았습니다.
불탄 나무를 뽑아내고 새 묘목을 심어 열매를 수확하기까지 몇 년이 걸릴지 가늠이 힘듭니다.
게다가 상당수 농민은 고령층이어서 장기간의 복구 기간을 거쳐 재기할 수 있을지 기약하기 어렵습니다.
[정희호/과수 농민 : "한순간에 이렇게 되니까, 농사를 다시 지어야 할지 말아야 할지…. 고민이 아닙니다. 우리는 이게 삶인데, 앞이 안 보이니까."]
이번 산불로 경북 지역 농작물과 농업시설은 9백억 원이 넘는 피해를 입은 것으로 추산됩니다.
송이와 사과 등 경북 지역 주력 농업의 생산 기반이 무너진 것은 물론, 농산물 가격 상승 등 물가에도 적잖은 여파가 우려됩니다.
KBS 뉴스 김도훈입니다.
촬영기자:김익수 김동욱
-
-
김도훈 기자 kinchy@kbs.co.kr
김도훈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