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불 2단계’ 경남 하동…밤새 진화·주민 대피
입력 2025.04.08 (06:40)
수정 2025.04.08 (06:5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어제(7일), 경남 하동군 옥종면에서 난 산불 진화작업이 밤새 진행됐습니다.
현재 진화 상황은 어떤지 현장에 나가 있는 취재기자 연결하겠습니다.
문그린 기자, 현재 상황 전해주시죠.
[리포트]
네, 저는 지금 현장통합지휘본부가 꾸려진 경남 하동군 옥종면의 옥천관에 나와 있습니다.
어제 산불이 난 곳과 직선거리로 4km가량 떨어져 있는데요.
밤새 지상 진화작업을 한 산림청은 헬기를 이용한 공중 진화를 위해 준비를 하고 있습니다.
산불은 어제(7일) 낮 12시 5분 경남 하동군 옥종면 회신리 야산에서 시작됐습니다.
지난달 말 산청 산불이 번진 곳과 약 3km 떨어진 곳입니다.
산림청은 어제 불이 난지 약 1시간 40분 만에 산불 1단계를 발령한 데 이어 한 시간도 지나지 않아 산불 2단계로 격상했습니다.
산림청은 산불이 나자마자 진화 헬기 36대와 인력 4백여 명을 동원해 불을 껐는데요.
하지만, 낮동안 주불을 끄지 못하고, 진화율 87% 상태에서 야간진화에 돌입했습니다.
산림청 소속 특수진화대와 공중진화대를 포함해 750여 명이 장비 70여 대를 동원해 밤새 불을 껐는데요.
어젯밤 11시 기준 진화율이 99%까지 올랐습니다.
산불 영향 구역은 66ha, 전체 불의 길이는 4.65km로 4.6km는 주불이 진화됐고 남은 불의 길이는 0.5km로 추정됩니다.
산림청은 헬기를 동원해 오전 중 주불을 진화한다는 목표입니다.
회신마을과 양지마을 등 인근 마을 7곳의 주민 500여 명은 옥천관과 옥종고등학교로 대피해 밤을 보냈습니다.
또 주민 1명이 양손에 2도 화상을 입었는데요.
산림청은 화상을 입은 이 주민이 예초기로 작업하다 산불이 난 것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경남 하동 산불 현장에서 KBS 뉴스 문그린입니다.
촬영기자:변성준/영상편집:김태훈
어제(7일), 경남 하동군 옥종면에서 난 산불 진화작업이 밤새 진행됐습니다.
현재 진화 상황은 어떤지 현장에 나가 있는 취재기자 연결하겠습니다.
문그린 기자, 현재 상황 전해주시죠.
[리포트]
네, 저는 지금 현장통합지휘본부가 꾸려진 경남 하동군 옥종면의 옥천관에 나와 있습니다.
어제 산불이 난 곳과 직선거리로 4km가량 떨어져 있는데요.
밤새 지상 진화작업을 한 산림청은 헬기를 이용한 공중 진화를 위해 준비를 하고 있습니다.
산불은 어제(7일) 낮 12시 5분 경남 하동군 옥종면 회신리 야산에서 시작됐습니다.
지난달 말 산청 산불이 번진 곳과 약 3km 떨어진 곳입니다.
산림청은 어제 불이 난지 약 1시간 40분 만에 산불 1단계를 발령한 데 이어 한 시간도 지나지 않아 산불 2단계로 격상했습니다.
산림청은 산불이 나자마자 진화 헬기 36대와 인력 4백여 명을 동원해 불을 껐는데요.
하지만, 낮동안 주불을 끄지 못하고, 진화율 87% 상태에서 야간진화에 돌입했습니다.
산림청 소속 특수진화대와 공중진화대를 포함해 750여 명이 장비 70여 대를 동원해 밤새 불을 껐는데요.
어젯밤 11시 기준 진화율이 99%까지 올랐습니다.
산불 영향 구역은 66ha, 전체 불의 길이는 4.65km로 4.6km는 주불이 진화됐고 남은 불의 길이는 0.5km로 추정됩니다.
산림청은 헬기를 동원해 오전 중 주불을 진화한다는 목표입니다.
회신마을과 양지마을 등 인근 마을 7곳의 주민 500여 명은 옥천관과 옥종고등학교로 대피해 밤을 보냈습니다.
또 주민 1명이 양손에 2도 화상을 입었는데요.
산림청은 화상을 입은 이 주민이 예초기로 작업하다 산불이 난 것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경남 하동 산불 현장에서 KBS 뉴스 문그린입니다.
촬영기자:변성준/영상편집:김태훈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산불 2단계’ 경남 하동…밤새 진화·주민 대피
-
- 입력 2025-04-08 06:40:49
- 수정2025-04-08 06:54:32

[앵커]
어제(7일), 경남 하동군 옥종면에서 난 산불 진화작업이 밤새 진행됐습니다.
현재 진화 상황은 어떤지 현장에 나가 있는 취재기자 연결하겠습니다.
문그린 기자, 현재 상황 전해주시죠.
[리포트]
네, 저는 지금 현장통합지휘본부가 꾸려진 경남 하동군 옥종면의 옥천관에 나와 있습니다.
어제 산불이 난 곳과 직선거리로 4km가량 떨어져 있는데요.
밤새 지상 진화작업을 한 산림청은 헬기를 이용한 공중 진화를 위해 준비를 하고 있습니다.
산불은 어제(7일) 낮 12시 5분 경남 하동군 옥종면 회신리 야산에서 시작됐습니다.
지난달 말 산청 산불이 번진 곳과 약 3km 떨어진 곳입니다.
산림청은 어제 불이 난지 약 1시간 40분 만에 산불 1단계를 발령한 데 이어 한 시간도 지나지 않아 산불 2단계로 격상했습니다.
산림청은 산불이 나자마자 진화 헬기 36대와 인력 4백여 명을 동원해 불을 껐는데요.
하지만, 낮동안 주불을 끄지 못하고, 진화율 87% 상태에서 야간진화에 돌입했습니다.
산림청 소속 특수진화대와 공중진화대를 포함해 750여 명이 장비 70여 대를 동원해 밤새 불을 껐는데요.
어젯밤 11시 기준 진화율이 99%까지 올랐습니다.
산불 영향 구역은 66ha, 전체 불의 길이는 4.65km로 4.6km는 주불이 진화됐고 남은 불의 길이는 0.5km로 추정됩니다.
산림청은 헬기를 동원해 오전 중 주불을 진화한다는 목표입니다.
회신마을과 양지마을 등 인근 마을 7곳의 주민 500여 명은 옥천관과 옥종고등학교로 대피해 밤을 보냈습니다.
또 주민 1명이 양손에 2도 화상을 입었는데요.
산림청은 화상을 입은 이 주민이 예초기로 작업하다 산불이 난 것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경남 하동 산불 현장에서 KBS 뉴스 문그린입니다.
촬영기자:변성준/영상편집:김태훈
어제(7일), 경남 하동군 옥종면에서 난 산불 진화작업이 밤새 진행됐습니다.
현재 진화 상황은 어떤지 현장에 나가 있는 취재기자 연결하겠습니다.
문그린 기자, 현재 상황 전해주시죠.
[리포트]
네, 저는 지금 현장통합지휘본부가 꾸려진 경남 하동군 옥종면의 옥천관에 나와 있습니다.
어제 산불이 난 곳과 직선거리로 4km가량 떨어져 있는데요.
밤새 지상 진화작업을 한 산림청은 헬기를 이용한 공중 진화를 위해 준비를 하고 있습니다.
산불은 어제(7일) 낮 12시 5분 경남 하동군 옥종면 회신리 야산에서 시작됐습니다.
지난달 말 산청 산불이 번진 곳과 약 3km 떨어진 곳입니다.
산림청은 어제 불이 난지 약 1시간 40분 만에 산불 1단계를 발령한 데 이어 한 시간도 지나지 않아 산불 2단계로 격상했습니다.
산림청은 산불이 나자마자 진화 헬기 36대와 인력 4백여 명을 동원해 불을 껐는데요.
하지만, 낮동안 주불을 끄지 못하고, 진화율 87% 상태에서 야간진화에 돌입했습니다.
산림청 소속 특수진화대와 공중진화대를 포함해 750여 명이 장비 70여 대를 동원해 밤새 불을 껐는데요.
어젯밤 11시 기준 진화율이 99%까지 올랐습니다.
산불 영향 구역은 66ha, 전체 불의 길이는 4.65km로 4.6km는 주불이 진화됐고 남은 불의 길이는 0.5km로 추정됩니다.
산림청은 헬기를 동원해 오전 중 주불을 진화한다는 목표입니다.
회신마을과 양지마을 등 인근 마을 7곳의 주민 500여 명은 옥천관과 옥종고등학교로 대피해 밤을 보냈습니다.
또 주민 1명이 양손에 2도 화상을 입었는데요.
산림청은 화상을 입은 이 주민이 예초기로 작업하다 산불이 난 것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경남 하동 산불 현장에서 KBS 뉴스 문그린입니다.
촬영기자:변성준/영상편집:김태훈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