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 하동 산불 밤사이 주불 대부분 진화

입력 2025.04.08 (09:46) 수정 2025.04.08 (10:1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어제(7일) 낮 경남 하동군 옥종면에서 난 산불이 밤 사이 계속 이어졌습니다.

현재 상황은 어떤지 현장에 나가 있는 취재기자 연결하겠습니다.

문그린 기자, 현재 상황 전해주시죠.

[리포트]

네, 저는 지금 경남 하동군 옥종면의 산불 현장에 나와 있습니다.

제 뒤로 산 능선 곳곳에서 아직 흰 연기가 피어오르고 있는데요.

공중 진화를 하기 위해 산불 진화 헬기 여러 대가 부지런히 상공을 날고 있습니다.

산불은 어제(7일) 낮 12시 5분 경남 하동군 옥종면 회신리 야산에서 시작됐습니다.

지난달 말 산청 산불이 번진 곳과 약 3km 떨어진 곳입니다.

산림청은 어제 불이 난지 약 1시간 40분 만에 산불 1단계를 발령한 데 이어 오후 3시 30분 산불 2단계로 격상했습니다.

산림청은 산불이 나자마자 진화 헬기 36대와 인력 4백여 명을 동원해 불을 껐는데요.

하지만, 낮동안 주불을 끄지 못하고, 진화율 87% 상태에서 야간진화에 돌입했습니다.

산림청 소속 특수진화대와 공중진화대를 포함해 750여 명이 장비 70여 대를 동원해 밤새 진화 작업을 이어갔습니다.

오늘 새벽 5시 기준 진화율이 99%까지 올라갔다가, 시간당 최대 20m에 이르는 강한 바람이 불면서 불길이 번져 오전 7시 기준 93%로 떨어졌습니다.

산불 영향 구역은 70ha, 전체 불의 길이는 5.18km로 대부분 주불이 진화됐고, 남은 불의 길이는 350m로 추정됩니다.

산림청은 헬기를 동원해 오늘 중 주불을 진화한다는 목표입니다.

회신마을과 양지마을 등 인근 마을 7곳의 주민 500여 명은 옥천관과 옥종고등학교로 대피해 밤을 보냈습니다.

또 주민 1명이 양손에 2도 화상을 입었는데요.

산림청은 화상을 입은 이 주민이 예초기로 작업하다 산불이 난 것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경남 하동 산불 현장에서 KBS 뉴스 문그린입니다.

촬영기자:변성준/영상편집:김태훈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경남 하동 산불 밤사이 주불 대부분 진화
    • 입력 2025-04-08 09:46:32
    • 수정2025-04-08 10:11:28
    930뉴스
[앵커]

어제(7일) 낮 경남 하동군 옥종면에서 난 산불이 밤 사이 계속 이어졌습니다.

현재 상황은 어떤지 현장에 나가 있는 취재기자 연결하겠습니다.

문그린 기자, 현재 상황 전해주시죠.

[리포트]

네, 저는 지금 경남 하동군 옥종면의 산불 현장에 나와 있습니다.

제 뒤로 산 능선 곳곳에서 아직 흰 연기가 피어오르고 있는데요.

공중 진화를 하기 위해 산불 진화 헬기 여러 대가 부지런히 상공을 날고 있습니다.

산불은 어제(7일) 낮 12시 5분 경남 하동군 옥종면 회신리 야산에서 시작됐습니다.

지난달 말 산청 산불이 번진 곳과 약 3km 떨어진 곳입니다.

산림청은 어제 불이 난지 약 1시간 40분 만에 산불 1단계를 발령한 데 이어 오후 3시 30분 산불 2단계로 격상했습니다.

산림청은 산불이 나자마자 진화 헬기 36대와 인력 4백여 명을 동원해 불을 껐는데요.

하지만, 낮동안 주불을 끄지 못하고, 진화율 87% 상태에서 야간진화에 돌입했습니다.

산림청 소속 특수진화대와 공중진화대를 포함해 750여 명이 장비 70여 대를 동원해 밤새 진화 작업을 이어갔습니다.

오늘 새벽 5시 기준 진화율이 99%까지 올라갔다가, 시간당 최대 20m에 이르는 강한 바람이 불면서 불길이 번져 오전 7시 기준 93%로 떨어졌습니다.

산불 영향 구역은 70ha, 전체 불의 길이는 5.18km로 대부분 주불이 진화됐고, 남은 불의 길이는 350m로 추정됩니다.

산림청은 헬기를 동원해 오늘 중 주불을 진화한다는 목표입니다.

회신마을과 양지마을 등 인근 마을 7곳의 주민 500여 명은 옥천관과 옥종고등학교로 대피해 밤을 보냈습니다.

또 주민 1명이 양손에 2도 화상을 입었는데요.

산림청은 화상을 입은 이 주민이 예초기로 작업하다 산불이 난 것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경남 하동 산불 현장에서 KBS 뉴스 문그린입니다.

촬영기자:변성준/영상편집:김태훈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