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협상팀에 국가별 맞춤형 관세 협상 지시…“동맹 우선”

입력 2025.04.09 (06:34) 수정 2025.04.09 (11:03)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미국의 무역 협상팀에 상호 관세 등과 관련해 국가별로 맞춤형 협상을 할 것을 지시했다고 백악관이 현지시간으로 8일 밝혔습니다.

캐롤라인 레빗 백악관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트럼프 대통령은 전화를 받고 대화할 의사가 있다”면서 이같이 전했습니다.

그는 “모든 개별 협상은 그 나라의 시장, 수출, 미국의 수입 등을 기반으로 맞춤형으로 독특한 것이 돼야 한다”라고 말했습니다.

그는 70개 가까운 국가가 협상을 위해 미국을 접촉하고 있다고 재확인하면서 “이들 국가는 미국산 제품에 상당한 관세를 부과하고 터무니없는 비관세 장벽으로 미국 산업을 차단함으로써 부당하게 부유해졌다는 것을 깨닫고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이어 “트럼프 대통령의 메시지는 ‘최고의 제안을 갖고 오면 들을 것’이란 것이다”라면서 “미국 노동자에게 이익이 되고 미국의 심각한 무역 적자를 해결할 수 있을 때만 협상이 이뤄질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그는 무역 협상에 다른 의제도 포함될 수 있느냐는 질문에 “트럼프 대통령은 맞춤형 접근 방식을 취할 것”이라면서 “만약 그것이 해외 원조, 미군의 이들 국가 주둔 및 그 비용 등을 의미한다면 그것은 협상의 일부가 될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이어 “이것은 관세와 무역 협상이지만 그것은 모든 나라에 ‘원스톱 쇼핑’이 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그는 상호관세 시간표를 묻는 말에는 “트럼프 대통령은 협상이 미국 노동자와 제조업 등에 좋은 것이 되도록 매우 초점을 맞추고 있다”라면서 “이 협상은 모든 국가에 대한 심각한 적자도 해결해야 한다. 모든 옵션은 테이블 위에 있다”고 말했습니다.

이어 “상호관세는 협상이 진행되는 과정에도 계속 부과될 것이며 미국은 수조 달러의 수입을 창출할 것”이라고 주장했습니다.

그는 무역 협상시 한국과 일본 같은 동맹과 먼저 협상하기로 했다는 케빈 해싯 백악관 국가경제위원회(NEC) 위원장의 발언과 관련, “우리는 전 세계의 파트너와 동맹을 우선시할 것”이라고 재확인했습니다.

그는 상호관세 부과 유예를 묻는 말에는 “대통령은 연기를 고려하지 않고 있다”고 말했으며 예외 조치 가능성에 대한 질문에는 “앞서 나가지 않겠다”면서 답변을 피했습니다.

한편 레빗 대변인은 이날 나이브 부켈레 엘살바도르 대통령, 조르자 멜로니 이탈리아 총리가 각각 14일, 17일 백악관을 방문한다고 밝혔습니다.

[사진 출처 : EPA=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트럼프, 협상팀에 국가별 맞춤형 관세 협상 지시…“동맹 우선”
    • 입력 2025-04-09 06:34:37
    • 수정2025-04-09 11:03:08
    국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미국의 무역 협상팀에 상호 관세 등과 관련해 국가별로 맞춤형 협상을 할 것을 지시했다고 백악관이 현지시간으로 8일 밝혔습니다.

캐롤라인 레빗 백악관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트럼프 대통령은 전화를 받고 대화할 의사가 있다”면서 이같이 전했습니다.

그는 “모든 개별 협상은 그 나라의 시장, 수출, 미국의 수입 등을 기반으로 맞춤형으로 독특한 것이 돼야 한다”라고 말했습니다.

그는 70개 가까운 국가가 협상을 위해 미국을 접촉하고 있다고 재확인하면서 “이들 국가는 미국산 제품에 상당한 관세를 부과하고 터무니없는 비관세 장벽으로 미국 산업을 차단함으로써 부당하게 부유해졌다는 것을 깨닫고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이어 “트럼프 대통령의 메시지는 ‘최고의 제안을 갖고 오면 들을 것’이란 것이다”라면서 “미국 노동자에게 이익이 되고 미국의 심각한 무역 적자를 해결할 수 있을 때만 협상이 이뤄질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그는 무역 협상에 다른 의제도 포함될 수 있느냐는 질문에 “트럼프 대통령은 맞춤형 접근 방식을 취할 것”이라면서 “만약 그것이 해외 원조, 미군의 이들 국가 주둔 및 그 비용 등을 의미한다면 그것은 협상의 일부가 될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이어 “이것은 관세와 무역 협상이지만 그것은 모든 나라에 ‘원스톱 쇼핑’이 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그는 상호관세 시간표를 묻는 말에는 “트럼프 대통령은 협상이 미국 노동자와 제조업 등에 좋은 것이 되도록 매우 초점을 맞추고 있다”라면서 “이 협상은 모든 국가에 대한 심각한 적자도 해결해야 한다. 모든 옵션은 테이블 위에 있다”고 말했습니다.

이어 “상호관세는 협상이 진행되는 과정에도 계속 부과될 것이며 미국은 수조 달러의 수입을 창출할 것”이라고 주장했습니다.

그는 무역 협상시 한국과 일본 같은 동맹과 먼저 협상하기로 했다는 케빈 해싯 백악관 국가경제위원회(NEC) 위원장의 발언과 관련, “우리는 전 세계의 파트너와 동맹을 우선시할 것”이라고 재확인했습니다.

그는 상호관세 부과 유예를 묻는 말에는 “대통령은 연기를 고려하지 않고 있다”고 말했으며 예외 조치 가능성에 대한 질문에는 “앞서 나가지 않겠다”면서 답변을 피했습니다.

한편 레빗 대변인은 이날 나이브 부켈레 엘살바도르 대통령, 조르자 멜로니 이탈리아 총리가 각각 14일, 17일 백악관을 방문한다고 밝혔습니다.

[사진 출처 : EPA=연합뉴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