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안해서 못 살겠다”…연천군 주민들 대책 호소

입력 2025.04.09 (07:48) 수정 2025.04.09 (07:5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경기도 최북단 연천군은 전체 면적의 90% 이상이 군사시설 보호구역입니다.

국가안보라는 테두리 안에서 일상생활과 재산상 피해까지 감수한 주민들이 이젠 불안해서 더는 못 살겠다고 말합니다.

선재희 기자가 만나봤습니다.

[리포트]

수도권 전철 1호선, 청산역.

개통된 지 1년이 지났지만 주변은 허허벌판이나 진배없습니다.

근처에 탄약고가 있는데, 탄약고 주변 600여 m는 개발 자체가 어렵습니다.

[최충열/연천군 민군협력팀장 : "(예전부터 있었던 것들은 어쩔 수 없지만) 새로 뭘 짓거나 하는 건 안 되는 거죠. 신축 증축은 안 되는 거죠. 증축도 다 허가받아야 됩니다."]

낡은 집을 새로 지으려고 해도 군과 협의를 거쳐야 합니다.

[유기문/연천군 초성1리 이장 : "군 동의, 협의가 안 되어서 집을 2월달에 헐어서 10월~11월에 입주했어요. 3개월이면 집을 완성해서 입주하거든요. 그런데 그렇게 못 했습니다."]

마을 바로 옆에 자리잡은 사격장, 주민들에게 불안은 일상입니다.

[박창수/초성4리 주민 : "너무 가깝잖아요. 여기서 오발이라도 나면 우리는 바로 죽는 거예요, 여기서…. 지금 이런 사격장이 없어요, 우리나라에."]

[최태환·지옥희 : "일절 행위를 못 해. 땅을 팔려고 해도 길을 내려고 해도 못 해. 우리 이렇게 둘이 사는데 진짜 굶어 죽을 판이야 땅을 팔려고 해도 팔리지도 않지 농사도 못 짓지, 어떻게 살아 우리가…."]

사흘에 한 번꼴로 포 사격훈련을 하는 다락대 사격장 인근 주민들은 차라리 집단이주를 시켜달라고 촉구한 지 벌써 10년째입니다.

[김준문/고문2리 이장 : "지금은 주민들은 불안해서 살 수가 없다는 겁니다. 언제 어느 때 우리 마을에 포가 떨어져서 인명 피해가 날지 아무도 알 수 없기 때문에…."]

1966년 7만 명이던 연천군의 인구는 현재 4만 천 명도 안 됩니다.

국가 안보를 위한 희생에, 이젠 보상이 있어야 할 때라고 주민들은 말합니다.

KBS 뉴스 선재희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불안해서 못 살겠다”…연천군 주민들 대책 호소
    • 입력 2025-04-09 07:48:29
    • 수정2025-04-09 07:51:23
    뉴스광장
[앵커]

경기도 최북단 연천군은 전체 면적의 90% 이상이 군사시설 보호구역입니다.

국가안보라는 테두리 안에서 일상생활과 재산상 피해까지 감수한 주민들이 이젠 불안해서 더는 못 살겠다고 말합니다.

선재희 기자가 만나봤습니다.

[리포트]

수도권 전철 1호선, 청산역.

개통된 지 1년이 지났지만 주변은 허허벌판이나 진배없습니다.

근처에 탄약고가 있는데, 탄약고 주변 600여 m는 개발 자체가 어렵습니다.

[최충열/연천군 민군협력팀장 : "(예전부터 있었던 것들은 어쩔 수 없지만) 새로 뭘 짓거나 하는 건 안 되는 거죠. 신축 증축은 안 되는 거죠. 증축도 다 허가받아야 됩니다."]

낡은 집을 새로 지으려고 해도 군과 협의를 거쳐야 합니다.

[유기문/연천군 초성1리 이장 : "군 동의, 협의가 안 되어서 집을 2월달에 헐어서 10월~11월에 입주했어요. 3개월이면 집을 완성해서 입주하거든요. 그런데 그렇게 못 했습니다."]

마을 바로 옆에 자리잡은 사격장, 주민들에게 불안은 일상입니다.

[박창수/초성4리 주민 : "너무 가깝잖아요. 여기서 오발이라도 나면 우리는 바로 죽는 거예요, 여기서…. 지금 이런 사격장이 없어요, 우리나라에."]

[최태환·지옥희 : "일절 행위를 못 해. 땅을 팔려고 해도 길을 내려고 해도 못 해. 우리 이렇게 둘이 사는데 진짜 굶어 죽을 판이야 땅을 팔려고 해도 팔리지도 않지 농사도 못 짓지, 어떻게 살아 우리가…."]

사흘에 한 번꼴로 포 사격훈련을 하는 다락대 사격장 인근 주민들은 차라리 집단이주를 시켜달라고 촉구한 지 벌써 10년째입니다.

[김준문/고문2리 이장 : "지금은 주민들은 불안해서 살 수가 없다는 겁니다. 언제 어느 때 우리 마을에 포가 떨어져서 인명 피해가 날지 아무도 알 수 없기 때문에…."]

1966년 7만 명이던 연천군의 인구는 현재 4만 천 명도 안 됩니다.

국가 안보를 위한 희생에, 이젠 보상이 있어야 할 때라고 주민들은 말합니다.

KBS 뉴스 선재희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